2025.04.15 (화)

  • 구름조금동두천 8.3℃
  • 맑음강릉 13.2℃
  • 맑음서울 8.8℃
  • 맑음대전 9.3℃
  • 맑음대구 13.1℃
  • 맑음울산 12.4℃
  • 맑음광주 10.9℃
  • 맑음부산 11.7℃
  • 맑음고창 8.1℃
  • 맑음제주 13.2℃
  • 맑음강화 7.2℃
  • 맑음보은 9.5℃
  • 맑음금산 8.7℃
  • 맑음강진군 10.7℃
  • 맑음경주시 11.9℃
  • 맑음거제 11.4℃
기상청 제공

포토뉴스


‘서울 위안부 기림비’ 샌프란시스코-서울 이으며 역사의 진실 전해

 

서울 중구 남산 회현 자락 옛 조선 궁터 자리인 서울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 앞에 세워진 ‘서울 위안부 기림 비’가 8월14일 공식적으로 그 모습을 드러냈다.

 

기림비는 1931년부터 1945년까지 일본 제국군의 성노예로서 인권을 유린당했던 아시아 태평양 13개국, 수십만명의 여성 들과 소녀들의 고통을 증명하기 위한 것으로, 2017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건립된 ‘위안부’ 기림비를 모티브로 제작된 ‘자매 조각상’이다.

 

샌프란시스코의 교민들이 자발적으로 뜻을 모아 서울시에 기증한 ‘서울 위안부 기림비’ 건립에는 한국, 중국 ‘Comfort Women’ justice Coalition, 필리핀 커뮤니티 등 일본군 ‘위안부’로 성노예 피해를 입은 전 세계 커뮤니티가 역사의 진실을 알리기 위해 함께 참여했다.

 

일본 제국군의 성노예라는 어두운 역사는 생존자들이 침묵을 깨고 나와 용감하게 증언을 시작한 1990년대까지 은폐돼 있었지만, 1991년 일본 제국군의 만행을 처음 증언한고 김 학순 할머니의 용기 있는 고백으로 세상에 알려진 후 “전쟁 의 전략으로 자행한 성폭력은 가해국 정부에 책임을 물어야 할 반인륜범죄”라는 세계적인 선언을 끌어냈다.

 

기림비는 이를 기념해 고 김학순 할머니가 한국, 중국, 필리핀 소녀를 바라보고 있는 모습으로 만들어졌다.


관련기사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쌀 의무수입 이대로 좋은가? “재협상으로 공정한 농업통상 길 찾아야”
전종덕 의원(진보당, 비례)과 국민과함께하는 농민의길, 진보당 농민당, 전국먹거리연대, 더불어민주당 이원택·문금주 의원이 4월 15일(화) 국회 의원회관 8간담회의실에서 트럼프 2.0시대 농업통상의 새로운 대안 모색 토론회 ‘쌀 의무수입 이대로 좋은가?’ 토론회를 열었다. 전종덕 의원은 인사말에서 “우리 정부는 30년간 쌀 소비량이 절반으로 줄었다며 농민들에게 재배면적 감축을 강요하지만, 정작 1995년에 WTO 의무 수입물량 기준이 되었던 1988~1990년 평균 국내 소비량이 절반 이상 줄었음을 이유로 통상국가들과 재협상을 요구해 본 적이 없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와 통상 환경과 현안이 비슷한 일본이 ‘WTO 회원국들과 쌀에 대한 재협상을 벌이겠다’고 한 것을 거론하며 농업은 상품 생산의 일부가 아니라 국민의 생존을 지키는 근본이며, 국가의 식량 주권을 유지하는 바탕인 만큼 토론회를 통해 통상의 대안을 모색하고 식량주권을 지켜갈 공정한 농업통상의 길을 찾는 시발점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발제는 ‘한국의 쌀 의무수입물량 감축 및 철폐를 위한 재협상 전략(AI 기반)’을 주제로 이해영 한신대 글로벌인재학부 교수가 맡았다. 이해영 교수는 “지난 세계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