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2℃
  • 구름많음강릉 11.7℃
  • 흐림서울 8.1℃
  • 박무대전 3.2℃
  • 맑음대구 2.4℃
  • 맑음울산 5.1℃
  • 박무광주 4.0℃
  • 구름조금부산 9.4℃
  • 맑음고창 1.5℃
  • 맑음제주 8.7℃
  • 맑음강화 4.5℃
  • 구름조금보은 -0.5℃
  • 구름조금금산 -0.6℃
  • 맑음강진군 1.5℃
  • 맑음경주시 0.1℃
  • 구름조금거제 4.2℃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23일 일요일

메뉴

사회·문화


노인들에 발기부전치료제 섞은 가짜건강식품 판매한 일당 검거

가짜 오자환·옥타코사놀플러스 만들어 판매한 일당 2명 구속, 29명 불구속 입건

 

노인들을 상대로 저가의 한약재에 발기부전치료제 성분을 섞어 가짜 건강식품을 만들어 판매한 일당이 적발됐다.

 

서울시 민생사법경찰단 4일 순수한약재로 만든 천연 자연식품이라고 속여 판매한 전문 전화판매 일당 2명을 보건범죄단속에관한특별조치법과 식품위생법, 약사법 위반 혐의로 구속하고 29명을 불구속 입건했다고 밝혔다. 

 

서울시에 따르면 A씨(72)와 B씨(61)는 한약 냄새만 내기 위해 가격이 저렴한 쑥, 진피, 목향, 당귀, 감초 등과 발기부전치료제 성분을 혼합하는 방법으로 가짜 오자환을 제조했다. 원래 '오자'는 오미자, 사상자, 복분자, 구기자, 토사자를 지칭하며 자양강장에 효과가 있는 약재로 잘 알려져 있다. 

 

또 이들은 가짜 옥타코사놀플러스 제품을 만들어 판매했다. 이들이 만든 제품에는 옥타코사놀 성분이 1캡슐당 7mg이 함유됐다고 했지만, 실제로는 옥타코사놀 성분이 아예 없거나, 극소량인 0.05mg(1/140) 정도만 들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외에도 이들은 발기부전치료제인 '비아그라(실데라필 성분)'나 '시알리스(타다라필 성분)'는 중국 동포로부터 직접 구입하거나, 중국 공급책으로부터 염색약 등으로 위장해 분말 형태로 국제우편을 통해 구입한 가짜였다.

 

건강원을 운영하며 가짜 오자환을 판매하다 적발된 C씨(79)는 지네, 굼벵이, 거머리, 도마뱀, 전갈과 전문의약품인 덱사메타손을 갈아 섞은 캡슐에 넣어 정체불명의 관절염약을 만들어 판매하거나, '센나엽'을 갈아 임의로 변비약을 만들어 판매한 사실도 추가로 드러났다. 

 

이렇게 만들어진 제품의 이름과 허가번호, 성분함량, 제조원 등을 모두 허위로 기재했으며, 수입업체명 및 소재지 역시 폐업한 업소이거나 가짜였다.

 

이들이 만든 가짜 오자환을 복용한 소비자들은 가슴통증, 두통, 복통, 얼굴홍조, 속쓰림, 피부 알레르기 등 부작용 등을 호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제품의 판매는 주로 전화 상담을 통해 이뤄졌다. 판매자들은 오래전부터 텔레마케터(TM)일을 하면서 확보한 60~80대 노인층 남성들의 고객명단으로 마치 가짜 오자환이 당뇨, 혈압, 전립선, 방광, 발기부전 등에 도움을 주는 천연 자연식품이라고 하거나, 가짜 옥타코사놀플러스 제품은 외국에서 수입한 건강식품이라고 판매했다.

 

이들이 이렇게 판매한 가짜 오자환과 가짜 옥타코사놀플러스 제품은 2012년부터 총 92억 상당에 이르고, 제품을 구입한 소비자는 1만8,000여 명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됐다.

 

송정재 서울시 민생사법경찰단장은 "전화로 정력제라고 판매하는 제품이나 무표시 식품, 정체불명의 의약품 등은 자칫 건강을 해칠 우려가 있다"며 "각별히 주의할 것"이라고 했다.


관련기사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포스코, 가스흡입 사고에 사과...진보당 “위험의 외주화 끝내야”
포스코가 포항제철소에서 발생한 가스를 흡입한 사고와 관련해 21일 공식 사과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앞서 전날(20일) 포스코 포항제철소 STS 4제강공장에서 슬러지 청소를 하던 50대 용역업체 직원 2명과 현장에 있던 40대 포스코 직원 1명이 작업 중 발생한 유해가스를 흡입하는 사고를 당해 심정지 상태로 병원에 옮겨졌다. 이 가운데 2명은 자발순환회복했지만 여전히 중태이고 1명은 의식장애로 중증인 상황이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포스코 소방대 방재팀원 3명도 구조 작업 중 유해가스를 마셨으나 경증으로 전해졌다. 이를 두고 진보당은 “또다시 반복된 포스코의 중대재해, 이제는 위험의 외주화를 끝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미선 진보당 대변인은 이날 국회 소통관 브리핑에서 “포항제철소에서는 불과 보름 전에도 화학물질 누출로 하청노동자 1명이 숨졌다”며 “올해만 포항제철소에서 세 번째, 포스코그룹 전체로는 일곱 번째 인명사고”라고 지적했다. 이 대변인은 “사고 때마다 재발 방지를 약속한 포스코는 현장을 바꾸지 못했고, 결국 같은 참사가 반복되고 있다”면서 “특히 피해가 하청·협력업체 노동자에게 집중되는 현실은 포스코가 위험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