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1.27 (월)

  • 구름많음동두천 6.8℃
  • 구름많음강릉 10.5℃
  • 박무서울 8.7℃
  • 구름조금대전 9.7℃
  • 구름조금대구 12.1℃
  • 구름조금울산 13.7℃
  • 구름많음광주 11.7℃
  • 구름조금부산 13.3℃
  • 구름많음고창 11.2℃
  • 흐림제주 14.5℃
  • 구름많음강화 8.6℃
  • 구름조금보은 8.8℃
  • 구름조금금산 9.9℃
  • -강진군 13.1℃
  • 구름많음경주시 13.2℃
  • 구름많음거제 13.7℃
기상청 제공

사회


[리얼미터] 국민 10명 중 8명, '박사방' 가입 전원 신원 공개해야

'찬성' 82.0%, '반대' 11.0%…여성· 20대·30대·진보층 전체 평균보다 '찬성' 높아
남성 16.1%, 50대 16.0% 반대 의견

 

국민 10명 중 8명이 인터넷 메신저 텔레그램을 통해 미성년자를 포함한 여성의 성 착취물을 제작하고 유포한 이른바 '박사방'에 가입한 전원의 신원을 공개해야 한다는 의견에 찬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는 25일 '오마이뉴스' 의뢰로 'N번방 사건'과 관련된 가입자 전원의 신상공개 의견을 물은 결과 '찬성' 응답이 82.0%(매우 찬성 58.0%, 찬성하는 편 24.0%), '반대' 응답은 11.0%(매우 반대 3.5%, 반대하는 편 7.5%)로 집계됐다. 모름·무응답은 7.0%.

 

세부적으로 보면 찬성 응답은 여성과 20대, 30대, 진보층에서 전체 평균보다 많았다.

 

성별, 연령별, 이념성향 등 모든 응답자 특성별로 찬성이 다수인 것으로 집계됐다. 다만 남성의 16.1%와 50대의 16.0%가 반대한다고 응답해 타 응답자의 특성과 비교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찬성' 응답은 여성(찬성 87.0% vs 반대 5.9%)과 20대(88.2% vs 7.8%), 30대(86.4 vs 10.8%), 진보층(88.2% vs 6.1%)에서 평균보다 많았고, 남성(76.9% vs 16.1%)과 50대(75.8% vs 16.0%)에서 반대 응답이 타 집단보다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번 조사는 지난 24일 전국 18세 이상 성인 7,296명에게 접촉해 최종 500명이 응답을 완료해 이뤄졌으며, 응답률 6.9%,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4%p다.


관련기사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1960년대에 사라진 트램, 제주도가 2030년 부활을 목표로 추진한다
지난 1968년에 운행을 중단한 트램(전차)이 기후위기 시대를 맞아 친환경 교통수단의 대안으로 주목받기 시작하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2021년 제3차 제주국제자유도시 종합계획(21년~31년)에서 수소트램 도입을 검토하고 추진중이다. 제주건설환경포럼(회장 장경호)이 주최하고 국토교통부와 제주도가 후원하는 ‘제주도 수소트램 건설 방향 및 미래비전’ 세미나가 23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렸다. 트램은 도로 위에 깔린 레일 위로 주행하는 교통수단으로 철도의 장점과 버스의 장점을 갖춘 친환경 교통수단이다. 유럽, 북미 등 400여개 도시에서 트램은 대중교통 수단으로서 여전히 인기를 누리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1960년대 자취를 감춘 이래 이제서야 부활을 시도중이다. 제주도가 도입하려는 트램은 친환경 수소연료를 이용, 제주 시내 구간 통행을 목표로 추진이 진행되고 있다. 이창운 전 한국교통연구원장은 이날 세미나에서 “제주도는 교통수단에서 대중교통(노선버스)의 분담률이 10%대로 전국 최저이며, 제주 여행의 교통수단으로서 렌터카가 76%를 차지하는 등 승용차와 렌터카로 인한 교통 혼잡비용이 연간 5,000억원에 달한다”고 밝히며 “트램 등 신교통시스템이 제주도의 가치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