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3.20 (월)

  • 맑음동두천 8.1℃
  • 구름조금강릉 14.8℃
  • 맑음서울 9.5℃
  • 구름많음대전 10.9℃
  • 구름많음대구 14.2℃
  • 구름많음울산 12.3℃
  • 구름많음광주 12.3℃
  • 구름많음부산 12.7℃
  • 구름많음고창 6.8℃
  • 흐림제주 14.3℃
  • 맑음강화 3.9℃
  • 구름많음보은 10.9℃
  • 구름많음금산 8.8℃
  • 구름많음강진군 9.7℃
  • 구름많음경주시 13.0℃
  • 구름많음거제 12.7℃
기상청 제공

사회


경찰, 말레이시아 불법온라인 도박사이트 운영 한국인 해외총책 등 37명 국내 송환

말레이시아 경찰과 공조해 검거, 9일 만에 전원 국내 송환

말레이시아 수도 쿠알라룸푸르에서 불법온라인 도박 사이트를 개설해 운영해오던 한국인 37명이 국내로 상제 송환됐다. 이번 송환은 해외에서 검거된 불법온라인 도박사이트 조직원 송환 중 최대 규모다.


경찰청은 쿠알라룸푸르에서 도박사이트를 개설해 운영해온 해외총책 이모씨(4)와 노모씨(38세) 등 한국인 37명을 국내로 강제 송환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들은 지난 9일부터 17일까지 총 6번에 나눠 강제송환됐다.

 

경찰에 따르면 이씨 등 9명은 지난 2015년 3월부터 쿠알라룸푸르에서 도박사이트 '나눔365' 등을 운영하며 192억원의 부당이득을 챙긴 혐의를 받는다. 노씨 등 28명도 2017년 4월부터 도박사이트 '몽키스', '대작' 등을 운영한 혐의를 받는다.

 

이번 검거는 지난 5월 서울에서 개최된 '2019 국제 사이버범죄대응 심포지엄'에서 경찰이 말레이시아 경찰 대표단에 불법온라인도박사이트 해외총책 등에 대한 추적단서를 제공하고 검거를 요청하면서 시작됐다.

 

말레이시아 경찰은 대상자들의 은신처를 발견해 한국 경찰청에 합동검거 작전을 제안했다. 이후 경찰청 외사국과 사이버안전국 등으로 공동조사팀 꾸려 말레이시아에 현지에 파견했다.

 

공동조사팀은 현지 경찰 50여명과 함께 합동 검거작전을 펼쳐 37명을 검거하고 컴퓨터 25와 휴대전화 40여개 등을 증거물로 압수했다.

 

문제는 이들의 국내송환이었다. 송환 대상자가 37명에 달해 현지 이민청과의 추방협의에만 긴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었다.

 

특히 인천 직항 국적기가 1일 1편에 불과하고, 국적기 1대에 피의자 최대 2명을 송환할 수 있어, 송환에 최소 19일이 걸릴 것으로 예상됐다. 피의자들의 현지 수용소 구금을 장기화하는 문제도 고려해야 했다.

 

이에 경찰은 현지 당국과 협의해 해외총책 등 주요 피의자 6명은 한국 경찰관이 국적기를 통해 호송하기로 했다. 남은 피의자 31명은 현지 경찰의 협조 및 통제하에 매일 2편 운항하는 말레이시아 항공편에 탑승시켜 강제추방한 뒤, 인천공항에서 한국 경찰관들이 비행기에서 내리는 피의자들을 검거하는 방향으로 합의했다.

 

임병호 경찰청 외사수사과장은 "이번 도피사범 37명 대규모 송환은 아세안 국가 내 국제치안질서 확립에 이바지하고 정부의 신남방정책을 간접적으로 지원하는 것"이라며 "앞으로도 각국 경찰기관과의 유기적인 공조관계를 토대로 국외도피사범의 검거․송환을 지속 추진토록 하겠다"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대통령실 “주 60시간, 尹 가이드라인 아니야”
대통령실은 20일 윤석열 대통령의 ‘주60시간 이상 무리’ 언급에 대해 “그렇게 일하는 것 자체가 힘들지 않겠냐는 생각에서 말씀한 것이지 (근로시간 개편) 논의 가이드라인을 주고자 하는 의도는 아니었다”고 밝혔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캡(상한선)을 씌우는 게 적절하지 않으면 윤 대통령이 굳이 (캡을) 고집할 이유는 전혀 없다. 여러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겠다는 말씀으로 이해해달라”고 말했다. 이어 “(근로시간 개편 관련) 의견을 수렴해 60시간이 아니고 더 이상 나올 수도 있다”며 ‘최대 주 69시간제’가 포함된 현행 근로시간 개편안을 철회한 것이 아님을 분명히 했다. 안상훈 대통령실 사회수석은 지난 16일 브리핑에서 “윤 대통령은 연장근로를 해도 주 60시간 이상은 무리라는 인식을 갖고 있고 적절 상한 캡을 씌우지 않은 것에 대해 보완을 지시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날 대통령실 설명으로 해당 발언은 충분한 여론 수렴에 방점이 있지 60시간 자체에 얽매일 필요가 없다는 취지에서 나온 것으로 읽혀지게 됐다. 실제 이날 고위 관계자는 “바꾸고자 하는 제도(근로시간 개편안)로 가더라도 급격한 장시간 근로를 할 가능성은 작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