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3.20 (월)

  • 맑음동두천 8.1℃
  • 구름조금강릉 14.8℃
  • 맑음서울 9.5℃
  • 구름많음대전 10.9℃
  • 구름많음대구 14.2℃
  • 구름많음울산 12.3℃
  • 구름많음광주 12.3℃
  • 구름많음부산 12.7℃
  • 구름많음고창 6.8℃
  • 흐림제주 14.3℃
  • 맑음강화 3.9℃
  • 구름많음보은 10.9℃
  • 구름많음금산 8.8℃
  • 구름많음강진군 9.7℃
  • 구름많음경주시 13.0℃
  • 구름많음거제 12.7℃
기상청 제공

사회


국민 10명 중 6명, 국가 에너지 정책 '국민 안전성' 우선 58.3%

'비용 효율성' 응답 34.7%…모든 권역에서 '국민 안전성' 응답 다수
대구·경북에서는 다른 지역 대비 '안정성' 응답 낮은 비율 보여

최근 감사원의 월성1호기의 경제성이 불합리하게 낮게 평가됐다는 감사 결과가 발표되면서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대한 변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오는 가운데 국민 10명 중 6명 가까이는 국가 에너지 정책에서  안전성을 우선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22일 TBS 의뢰로 국가 에너지 정책 관련 여론을 조사한 결과 '국민 안전성' 응답이 58.3%로 다수였고, '비용 효율성' 응답이 34.7%로 집계됐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7.0%였다.

 

'안정성'을 우선시한다는 의견은 모든 권역에서 우세했다. 특히 광주·전라 거주자 10명 중 7명 정도인 71.5%가 국민 안전성을 우선 고려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이어 부산·울산·경남(62.3% vs. 35.9%)과 서울(59.8% vs. 32.1%), 대전·세종·충청(55.1% vs. 42.5%), 인천·경기(53.4% vs. 38.9%) 순으로 '국민 안전성' 응답이 많았다.

 

대구·경북에서도 '국민 안전성' 응답이 '비용 효율성'보다 많았지만, 다른 지역과 비교했을 때는 다소 낮았다.

 

연령대별로도 '국민 안전성' 응답이 '비용 효율성' 응답보다 많았다. 30대(62.6% vs. 34.1%)와 40대(62.0% vs. 33.9%), 60대(61.9% vs. 27.7%), 50대(60.8% vs. 35.3%)에서는 '국민 안전성' 응답이 60%대로 집계됐다.

 

반면, 20대에서는 '국민 안전성' 48.3%, '비용 효율성' 44.4%로 우선 고려사항에 대한 의견이 팽팽하게 갈렸다.

 

이념 성향별로 진보층의 10명 중 7명 정도인 67.0%는 '국민 안전성'을 우선시했다. 중도층의 절반 이상은 에너지 정책의 우선 고려사항으로 국민 안전성을 꼽았다.

 

보수층에서는 '국민 안전성' 50.3%, '비용 효율성' 44.1%로 두 응답이 비슷했다.

 

지지하는 정당별로는 응답이 갈렸다. 민주당 지지자 중 80.6%는 '국민 안전성'을 꼽았지만, 국민의힘 지지자 중 60.2%는 '비용 효율성'을 꼽았다.

 

무당층에서는 '국민 안전성' 응답이 53.3%로 '비용 효율성' 응답보다 많았다.

 

이번 조사는 지난 21일 전국 18세 이상 8,154명에게 접촉해 최종 500명이 응답을 완료해 이뤄졌으며, 응답률 6.1%,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4%p다.


관련기사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대통령실 “주 60시간, 尹 가이드라인 아니야”
대통령실은 20일 윤석열 대통령의 ‘주60시간 이상 무리’ 언급에 대해 “그렇게 일하는 것 자체가 힘들지 않겠냐는 생각에서 말씀한 것이지 (근로시간 개편) 논의 가이드라인을 주고자 하는 의도는 아니었다”고 밝혔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캡(상한선)을 씌우는 게 적절하지 않으면 윤 대통령이 굳이 (캡을) 고집할 이유는 전혀 없다. 여러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겠다는 말씀으로 이해해달라”고 말했다. 이어 “(근로시간 개편 관련) 의견을 수렴해 60시간이 아니고 더 이상 나올 수도 있다”며 ‘최대 주 69시간제’가 포함된 현행 근로시간 개편안을 철회한 것이 아님을 분명히 했다. 안상훈 대통령실 사회수석은 지난 16일 브리핑에서 “윤 대통령은 연장근로를 해도 주 60시간 이상은 무리라는 인식을 갖고 있고 적절 상한 캡을 씌우지 않은 것에 대해 보완을 지시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날 대통령실 설명으로 해당 발언은 충분한 여론 수렴에 방점이 있지 60시간 자체에 얽매일 필요가 없다는 취지에서 나온 것으로 읽혀지게 됐다. 실제 이날 고위 관계자는 “바꾸고자 하는 제도(근로시간 개편안)로 가더라도 급격한 장시간 근로를 할 가능성은 작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