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3.23 (목)

  • 흐림동두천 12.9℃
  • 흐림강릉 13.3℃
  • 흐림서울 15.5℃
  • 대전 13.4℃
  • 대구 14.9℃
  • 울산 14.8℃
  • 광주 15.2℃
  • 부산 15.7℃
  • 흐림고창 12.3℃
  • 제주 14.9℃
  • 흐림강화 15.5℃
  • 흐림보은 14.8℃
  • 흐림금산 14.8℃
  • 흐림강진군 15.6℃
  • 흐림경주시 14.0℃
  • 흐림거제 14.7℃
기상청 제공

사회


‘대마도 사랑위원회’ 발족…‘가고 싶은 섬’ 조성 본격 추진 신호탄

대마도 주민·외부 전문가 구성…조재성 M이코노미뉴스 대표, 위원장 추대
조 위원장 “대마도 주민·외부 전문가와 합심해 ‘가고 싶은 섬’ 조성 위해 노력”

 

전라남도 진도 대마도가 ‘가고 싶은 섬’으로 선정된 것과 관련해 지난 8일 대마도 주민들과 외부 전문가들로 구성된 ‘대마도 사랑위원회’가 공식 출범했다.

 

M이코노미뉴스 주관으로 6~9일간 진행된 대마도 주민 위문 및 봉사활동 간 대마도 주민들은 ‘가고 싶은 섬’ 사업 대상자로 선정된 이후 지금까지의 추진상황을 공유하고, 준비에 보다 박차를 가하기 위해 ‘대마도 사랑위원회’를 발족시켰다.

 

‘가고 싶은 섬’ 가꾸기는 전남의 브랜드 시책으로, 2015년부터 2024년까지 10년간 24개 섬에 2,633억원을 들여 추진하는 중점 프로젝트다.

 

사업 첫해인 2015년 6개 섬을 지정한데 이어, 해마다 2개 섬을 추가하고 있다.

 

가고 싶은 섬으로 선정된 섬에는 마을 공동식당, 게스트 하우스, 탐방로 개설, 주민 역량강화 등 섬 가꾸기 명목으로 5년간 총 40억원이 지원된다.

 

이번에 꾸려진 ‘대마도 사랑위원회’는 대마도 마을 이장과 대표주민을 비롯해 이상훈 영화감독, 김기배 CTS 대표, 임장미 작가, 한기범 희망나눔 재단 회장, 문경환 (사)민족문화체육연합 이사장, 김경태 전 권익위원회 국장, 김진호 전문예술극단 예인방 대표(탤런트), 박성하 (주)투윈스컴 대표, 김재관 잉글리쉬 무무 상무, 성동률 동아일보 국장,  차영덕 M이코노미뉴스 국장, 이영기 토목시공기술사, 이재훈 토목설계전문가 등 외부 전문가 13인으로 구성됐다.

 

또 조재성 M이코노미뉴스(前MBC이코노미) 대표는 ‘대마도 사랑위원회’ 위원장으로 추대됐다.

 

조재성 위원장은 “대마도의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전 국민이 만끽하며 힐링을 하고 갈 수 있는 섬을 만들도록 노력하겠다”며 “대마도 주민들과 합심하고, 외부 전문가들의 다양한 의견을 듣고 자문을 얻어서 대마도가 ‘가고 싶은 섬’으로서 전 국민에게 알려지고, 국민이 찾는 섬이 되도록 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한편, 이번에 결성된 '대마도 사랑의원회' 위원들은 정기적인 모임을 갖고 '아름다운 섬 대마도', '머물고 싶은 대마도'를 만들어 가기 위한 국내외 다양한 사례들을 검토하고 아이디어를 모아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사랑위원회 위원 프로필 

 

 사랑위원회 위원장

 ▶조재성(경기영상위원회 위원장/ M이코노미뉴스 대표이사)

위원 명단 

▶이상훈 박스미디어 대표, 영화감독 (KBS/SBS 프로듀서 / 채널A 예능교양본부 본부장)

▶김기배 CTS 대표 (MBC/ SBS아트텍(방송운영본부 영상제작팀 부장)

▶임장미 작가

▶한기범 사단법인 희망나눔 회장

▶문경환 사단법인 민족문화체육연합 이사장

▶김경태 전 권익위원회 국장

▶김진호 전문예술극단 예인방 대표(탤런트)  소속사 / 퀀텀이엔엠

▶박성하 (주)투윈스컴 대표

▶성동률 동아일보 국장

▶차영덕 M이코노미뉴스 국장

▶김재관 잉글리쉬 무무 상무

▶이영기 토목시공기술사

▶이재훈 토목설계전문가  

 


관련기사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GS건설 "안전해" vs 주민들 "불안"...'펑' 하더니 기둥 일부 날아간 서울역 센트럴자이
전날(21일) 오후 서울 중구 서울역 센트럴자이 아파트 1층 건축물 하단부 기둥 대리석 일부가 떨어져 나갔다는 신고가 경찰과 소방에 접수됐다.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펑' 소리와 함께 아파트가 흔들렸다는 글과 함께 기둥 외벽 일부가 떨어져 나간 모습, 아파트 곳곳에 균열이 생긴 모습의 사진들이 올라왔다. 이에 기자는 22일 오전 해당 현장을 직접 찾았다. 파란색 천막으로 가려진 파손지점에는 출입을 통제할 수 있는 펜스나 가림막도 설치돼있지 않았고 현장을 관리하는 관계자도 없었다. 등교 시간 어린이들이 언제든 호기심에 파손 현장에 들어올 수 있는 위험한 상태였다. 관리사무소 관계자는 파손이 발생한 아파트 위치를 묻는 기자 질문에 “알려줄 수 없다”고 잘라 말했다. 서울역 센트럴자이 내 파손 현장은 동굴처럼 깜깜해 플래시나 전등을 켜지 않으면 아무것도 볼 수 없었다. 휴대폰 카메라 플래시를 켜고 본 현장에는 파손된 천장과 비내력벽(자체 하중만 받고 상부에서 오는 하중을 받지 않는 벽)이 파란색 천막으로 가려져 있었고 천장에서 낙하한 타일과 파손된 비내력벽 조각들이 한곳에 정리돼 있었다. 현장을 지나가던 서울역 센트럴자이 아파트 입주민 A씨는 기자에게 “연일 나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