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3.21 (화)

  • 맑음동두천 6.5℃
  • 맑음강릉 16.7℃
  • 맑음서울 9.2℃
  • 맑음대전 9.5℃
  • 구름많음대구 13.1℃
  • 흐림울산 13.4℃
  • 구름많음광주 14.0℃
  • 흐림부산 13.9℃
  • 구름많음고창 12.8℃
  • 제주 13.5℃
  • 맑음강화 8.2℃
  • 맑음보은 7.2℃
  • 맑음금산 7.4℃
  • 구름많음강진군 11.9℃
  • 흐림경주시 11.0℃
  • 흐림거제 11.9℃
기상청 제공

사회


[리얼미터] 국민 5명 중 3명, 정부 코로나19 대응 '잘한다'

'잘한다' 응답 58.4%, '잘 못한다' 39.9%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한 우리 정부의 대응에 대해 국민 5명 중 3명은 '잘한다'고 평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18일 오마이뉴스 의뢰로 우리 정부의 코로나19 대응에 대한 평가를 조사한 결과 '잘한다'는 응답이 58.4%(매우 잘함 36.4%, 대체로 잘함 22.0%)로 나타났다. '잘 못한다' 응답은 39.9%(매우 잘못함 26.9%, 대체로 잘못함 13.0%)였다. 모름/무응답은 1.7%였다.

 

세부적으로 보면 '매우 잘한다(36.4%)'가 '대체로 잘 한다'(22.0%)보다, '매우 잘못한다(26.9%)'가 '대체로 잘 한다'(13.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보이며 국민의 평가가 양극화돼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응답자 특성별로 '잘한다'는 평가를 보면 광주·전라, 진보층 및 민주당 지지층에서 긍정적인 응답이 많았고, 보수층과 미래통합당 지지층에서 '잘 못한다'는 응답이 상대적으로 다수였다.

 

대전·세종·충청과 대구·경북, 60대 이상, 남성, 중도층과 무당층에선 긍·부정 여론이 비등했다.

 

'잘한다' 응답 비율은 권역별로 광주·전라(잘한다 83.1% vs 잘 못한다 13.9%), 지지정당별로 민주당 지지층(92.5% vs 7.5%), 이념성향별로 진보층(85.9% vs 13.3%)에서 특히 높았다. 연령대별로 40대(66.5% vs 30.8%)와 20대(64.8% vs 35.2%), 성별로 여성(65.0% vs 32.5%)에서도 긍정적인 평가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잘 못한다'는 응답은 보수층(잘한다 38.5% vs 잘 못한다 60.5%)과 미래통합당 지지층(17.0% vs 81.7%)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대전·세종·충청(잘한다 48.4 vs 잘 못한다 49.0%)과 대구·경북(46.7% vs 53.3%), 60대 이상(45.7% vs 51.0%), 중도층(51.1% vs 47.8%), 무당층(49.5% vs 43.6%)에서는 긍정과 부정이 비슷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17일 전국 18세 이상 성인 7,837명에게 접촉해 최종 500명이 응답을 완료해 이뤄졌으며, 응답률은 6.4%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4%p다.


관련기사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관련 규정 잘못 이해한 임대사업자에 '과태료' 경감해야
임대사업자가 관련 규정을 잘못 이해해 임대의무기간을 준수하지 못하고 임대주택을 양도했다면 과태료를 감경해야 한다는 결정이 나왔다. 국민권익위원회(이하 권익위)는 착오로 임대사업자 등록말소를 신청한 날 임대주택을 양도한 임대사업자에게 부과한 과태료를 감경할 것을 해당 지자체에 권고했다. 임대사업자 김씨는 2018년 오피스텔을 4년 단기 임대주택으로 등록한 후 2020년 7월 임대사업자에게 자발적 등록말소 기회를 부여한다는 국토교통부의 관련 규정을 확인했다. 이후 김씨는 2021년 1월 지자체에 임차인 동의서를 첨부해 임대사업자 등록말소를 신청하고, 같은 날 임대주택을 다른 사람에게 양도한 후 지자체로부터 임대의무기간 내 임대주택을 양도해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 제43조를 위반했다는 이유로 3,000만 원의 과태료 처분을 받았다. 김씨는 “임대사업자 등록말소 신청일에 임대주택을 양도한 것은 관련 규정을 잘못 이해한 단순 실수인데도 과태료 최대 금액을 부과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억울함을 호소했다. 이후 김씨는 "같은 처분청으로부터 같은 사유로 부과받은 지방세도 조세심판원의 심판청구를 통해 취소 결정을 받았으니 과태료에 대해서도 부과를 취소하거나 감경해 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