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3.7℃
  • 흐림강릉 14.3℃
  • 맑음서울 14.5℃
  • 맑음대전 13.4℃
  • 맑음대구 14.6℃
  • 맑음울산 15.2℃
  • 맑음광주 15.9℃
  • 구름조금부산 16.2℃
  • 맑음고창 11.8℃
  • 맑음제주 17.9℃
  • 맑음강화 11.4℃
  • 맑음보은 10.4℃
  • 맑음금산 11.2℃
  • 맑음강진군 12.8℃
  • 맑음경주시 11.0℃
  • 구름조금거제 16.1℃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07일 금요일

메뉴

사회·문화


지난해 교통사고 사망자 3,781명…1976년 이후 최저

'사람·보행자' 교통안전 체계 전환 효과

 

지난해 교통사고 사망자가 3,700여명으로 1976년 이후 42년 만에 처음으로 가장 적은 것으로 집계됐다.

 

3일 국토교통부와 경찰청에 따르면 2018년도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2017년4,185명에 비해 9.7% 감소한 3,781명으로 6년 연속 감소세를 유지했다.

 

교통사고 발생 사고건수는 21만7,148건으로 2017년 21만6,335건과 비교해 0.4%(813건) 증가했고, 부상자는 32만3,036명으로 2017년 32만2,829명)에 비해 0.1%(207명) 증가했다. 

 

사망자 수가 크게 감소한 것은 전년에 비해 음주운전 사망자가 21.2% 감소했기 때문이다. 또 어린이 37.0%, 보행자 11.2%가 감소했다.

 

교통사고 사망자를 사고 시 상태별로 구분해 살펴보면, 보행 중일 때가 39.3%(1,487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자동차 승차중 35.5%(1,341명), 이륜차 승차중 19.5%(739명), 자전거 승차중 5.5%(207명) 순으로 나타났다. 

 

보행 사망자 비중은 OECD 국가 평균인 19.7%과 놓고 보면 2배 수준으로 여전히 우리나하 보행자 안전은 취약한 수준이엇다.

 

항목별로 보면  보행 중 사망자는 1,487명으로 2017년 1,675명 보다 11.2% 감소했으며, 시간대별로는 18∼20시(229명), 20∼22시(199명), 22∼24시(156명) 순으로 사고가 발생해 퇴근 이후 저녁 시간대에 집중됐다. 무단횡단 사망자는 518명으로 2017년 562명 보다 7.8% 감소했으나, 보행 사망자의 34.8%를 차지하고 있다. 

 

65세 이상 노인 사망자는 1,682명으로 2017년 1,767명 보다 4.8% 감소했지만, 전체 보행 사망자 중 65세 이상은 56.6%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13세 미만 어린이는 34명으로 2017년 54명과 비교해 37.0% 크게 감소했다. 

 

음주운전으로 인한 사망자는 346명으로 2017년 439명과 비교해 21.2% 대폭 감소했다. 

 

버스, 화물차 등 사업용 차량으로 인한 사망자는 748명으로 2017년 821명과 비교해 8.9% 감소했다. 

 

고속도로 사망자는 252명으로 2017년 248명 보다 1.6% 소폭 증가했다. 노선별로는 경부선(41명), 중부내륙선(36명), 서해안선(33명), 중부선(24명) 순으로 발생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지난 해 교통사고 사망자 감소는 도심 제한속도 하향, 교통안전 취약 계층에 대한 지원 정책 등 교통안전 체계를 '차량·운전자’ 중심에서 ‘사람·보행자’ 중심으로 전환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또 "전 좌석 안전띠 의무화, 대형차량 첨단안전장치 장착 의무화 등 교통사고 시 중상해를 예방하고 사고원인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제도개선이 연중 단계적으로 이루어 졌다"며 "특히, 지난 해 음주운전 근절에 대한 전 국민적 여론이 부각되고, 이른바 '윤창호법'이 순차적으로 국회에서 통과되며 음주운전 사고가 크게 감소했다"고 말했다.

 

국토부와 경찰청은 ‘보행자 우선’ 교통안전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보행자 수요가 많은 곳에 안전시설을 확충하고, 사고다발 지역에 교통사고 예방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소방관의 안전과 처우···"국가 차원에서 마련해야"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소방본부 관계자들이 5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앞 계단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소방관의 안전과 처우 개선을 위한 국가 차원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소방본부는 이날 발표한 기자회견문을 통해 "수많은 동료가 심각한 육체적·정신적 위험에 노출돼 있음에도 소방관의 고통에 대한 국가의 체계적 지원은 여전히 부족하고, 소방관 한 명이 감당해야 하는 부담은 커지고 있어 현장 사고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현장 경험이 부족한 지휘관이 재난 현장을 통솔하는 구조적 문제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현장을 잘 아는 지휘체계와 안전관리 시스템으로의 전환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또 실질적인 변화를 위해서는 대통령이 직접 현장 소방관들의 목소리를 듣고 고충과 현실을 면밀히 살펴야 한다며, 현장의 목소리가 반영되지 않는 정책으로는 조직 혁신을 기대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현장 소방관과의 대화에 나서라'고 적인 헌수막을 내건 소방본부는, ▲소방관 안전에 대한 국가 책임 강화, ▲인력 충원 및 예산 확충, ▲응급의료체계 개선, ▲소방관 PTSD(외상후스트레스장애) 대응책 마련, ▲대통령과의 대화 등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