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6 (수)

  • 구름많음동두천 4.4℃
  • 맑음강릉 11.0℃
  • 박무서울 6.6℃
  • 박무대전 4.6℃
  • 맑음대구 4.7℃
  • 맑음울산 7.3℃
  • 맑음광주 6.1℃
  • 맑음부산 10.0℃
  • 맑음고창 4.4℃
  • 맑음제주 17.9℃
  • 구름조금강화 5.3℃
  • 구름조금보은 1.2℃
  • 맑음금산 1.6℃
  • 맑음강진군 3.8℃
  • 맑음경주시 6.1℃
  • 맑음거제 7.9℃
기상청 제공

사회·문화


'서른이지만' 신혜선, '상상 VS 현실' 극명한 갭차이 보여

 

‘서른이지만 열일곱입니다’ 신혜선의 상상과 현실의 극명한 차이가 느껴지는 비주얼이 공개돼 이목을 집중시킨다.

 

방송 첫 주 만에 지상파 주중 드라마 1위에 등극하며 돌풍을 예고하고 있는 SBS 월화드라마 ‘서른이지만 열일곱입니다’(극본 조성희/연출 조수원/제작 본팩토리)(이하 ‘서른이지만’) 측이 5-6회 방송을 앞둔 30일, 우서리(신혜선 분)의 상반된 모습이 담긴 스틸을 공개했다.

 

지난 방송에서는 열일곱에 겪은 불의의 사고로 코마 상태에 빠진 천재 바이올리니스트 서리가 13년 만에 깨어나 멘탈 붕괴에 빠진 모습이 그려졌다. 이에 인생에서 가장 빛나는 시간을 스킵한 채 서른 살이 되어버렸다는 충격과, 외삼촌 부부까지 홀연히 사라져버려 세상에 혼자가 됐다는 슬픔 속에서 서리가 현실을 어떻게 극복해 나갈지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 가운데 공개된 스틸 속 서리는 새하얀 민소매 드레스를 입고 바이올린을 켜고 있는 고고한 자태로 보는 이들의 숨을 멎게 한다. 무대 위에서 바이올린 자체에 온전히 몰입한 채 연주중인 그의 포착된 것. 또한, 빛이 뿜어져 나오는 것 같은 서리의 밝은 미소가 눈을 떼지 못하게 한다.

 

반면, 하단 스틸 속 서리는 바이올린 케이스를 꼭 껴안은 채 그늘 진 표정을 짓고 있어 짠내를 유발한다. 특히 수많은 생각들이 뒤섞인 듯 한 그의 표정이 무슨 상황인지 궁금증을 자극한다. 이에 더해 바이올린을 사뭇 어색하게 들고 있는 서리의 자태와 무언가에 충격에 빠진 듯한 표정이 궁금증을 더욱 높이고 있다.

 

이는 서리가 상상했던 미래와 13년 만에 코마에서 깨어난 현실의 극과 극 모습이 담긴 것으로, 어릴 적부터 천재 바이올리니스트로 미래가 유망했던 그는 자고 일어났더니 완전히 뒤바뀌어 버린 현실에 암울함에 빠졌다. 하지만 서리는 어릴 적부터 바이올린 외에는 모든 것에 ‘헐랭이’였던 인물로, 때 타지 않은 순수함과 긍정 마인드의 소유자. 이에 앞으로 그가 믿을 수 없는 현실을 어떻게 헤쳐나갈지 관심이 고조된다.

 

SBS 월화드라마 ‘서른이지만 열일곱입니다’는 열일곱에 코마에 빠져 서른이 돼 깨어난 ‘멘탈 피지컬 부조화女’와 세상을 차단하고 살아온 ‘차단男’, 이들의 서른이지만 열일곱 같은 애틋하면서도 코믹한 로코로 ‘믿보작감’ 조수원PD와 조성희 작가의 야심작. 오늘(30일) 5-6회가 방송된다.

 

 


관련기사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쌀 의무수입 이대로 좋은가? “재협상으로 공정한 농업통상 길 찾아야”
전종덕 의원(진보당, 비례)과 국민과함께하는 농민의길, 진보당 농민당, 전국먹거리연대, 더불어민주당 이원택·문금주 의원이 15일 국회 의원회관 8간담회의실에서 트럼프 2.0시대 농업통상의 새로운 대안 모색 토론회 ‘쌀 의무수입 이대로 좋은가?’ 토론회를 열었다. 전종덕 의원은 인사말에서 “우리 정부는 30년간 쌀 소비량이 절반으로 줄었다며 농민들에게 재배면적 감축을 강요하지만, 정작 1995년에 WTO 의무 수입물량 기준이 되었던 1988~1990년 평균 국내 소비량이 절반 이상 줄었음을 이유로 통상국가들과 재협상을 요구해 본 적이 없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와 통상 환경과 현안이 비슷한 일본이 ‘WTO 회원국들과 쌀에 대한 재협상을 벌이겠다’고 한 것을 거론하며 농업은 상품 생산의 일부가 아니라 국민의 생존을 지키는 근본이며, 국가의 식량 주권을 유지하는 바탕인 만큼 토론회를 통해 통상의 대안을 모색하고 식량주권을 지켜갈 공정한 농업통상의 길을 찾는 시발점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발제는 ‘한국의 쌀 의무수입물량 감축 및 철폐를 위한 재협상 전략(AI 기반)’을 주제로 이해영 한신대 글로벌인재학부 교수가 맡았다. 이해영 교수는 “지난 세계화 과정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