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6 (수)

  • 구름많음동두천 4.4℃
  • 맑음강릉 11.0℃
  • 박무서울 6.6℃
  • 박무대전 4.6℃
  • 맑음대구 4.7℃
  • 맑음울산 7.3℃
  • 맑음광주 6.1℃
  • 맑음부산 10.0℃
  • 맑음고창 4.4℃
  • 맑음제주 17.9℃
  • 구름조금강화 5.3℃
  • 구름조금보은 1.2℃
  • 맑음금산 1.6℃
  • 맑음강진군 3.8℃
  • 맑음경주시 6.1℃
  • 맑음거제 7.9℃
기상청 제공

사회·문화


SBS <기름진 멜로>‘낭만 갱스터’ 장혁의 ‘감동대사 모음집’

 

배우 장혁의 ‘감동대사 모음집’이 공개되었다. SBS 월화드라마 <기름진 멜로>(극본 서숙향 / 연출 박선호)의 ‘두칠성’(장혁 분)이 가슴을 먹먹하게 만드는 대사와 눈빛으로 시청자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

 

“내 돈 다 줄게.내 시간도.다주고. 자존심은 버리는거 아니야.울지마”

 

삐딱이(류승수 분)와 그 무리들에 맞서 싸우다 큰 상처를 입고 병원에 입원한 두칠성은 자신을 찾아와 칠성의 마음을 거절하는단새우(정려원 분)에게 이와 같이 말했다. 미안함에 눈을 맞추지 못하는 단새우를 향해 “고개들어.죽을 죄 지었어?고개 들라니까.”라며 오히려 다정하게 위로하는 모습은성숙한 사랑을 하는 ‘어른 남자’의 매력을 느끼기에 충분했다.

 

“미워하지마.좋아는 못해도”

 

서풍(이준호 분)과 단새우가 서로 좋아하는 사이라는 것을 알게 된 두칠성이 더 이상 단새우에게 다가가지 않겠다고 말하는 장면이다. 이어 “나 이제 부담같은거 안줄게.그냥 사장님만 할게.그러니까 어색해하지 말고.편하게 대해.기운내.”라고 말하며 마음 깊숙이 단새우를 배려하는 모습을 보여 안타까움을 높이는가 하면, 함께 소나기를 맞는 동화 같은 모습과 애써 웃고 있는 표정이 더해져두칠성의 애틋한 감정이 극대화됐다.

 

“들었지?잡상인 엄마야.껌장사 하는 엄마고.말도 안되는 엄마야.”

 

두칠성의 친모로 밝혀진 김선녀(이미숙 분)가 또다시 떠나려고 하자 헝그리웍 식구들에게 자신의 엄마라고 당당하게 소개해주는 장면이다. “좋은 일이야.그렇게들 알아.”라고 아무렇지 않은 척 무심하게 말했지만미안함에 자꾸만 도망치려는 김선녀를 배려하는 속 깊은 마음이 전해져 시청자들에게 감동을 선사했다.

 

“나도 한번 쯤은 엄마한테 키워지고 싶어요.이제라도 나 좀 키워봐.”

 

김선녀가 홀로 살고 있는 단칸방을 찾은 후 가족사를 전해들은 칠성이 전한 대사이다. ‘큰형님’으로서 든든한 모습만 보여주던 두칠성의 여린 모습을 엿볼 수 있어 보호 본능을 불러일으키는 동시에 비로소 가족을 갖게 된두칠성이 보여줄 새로운모습에 기대감을 높였다.

 

장혁이 출연하는 SBS 월화드라마 <기름진 멜로>는 매주 월,화요일 밤 10시에 방송된다.

 

 


관련기사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쌀 의무수입 이대로 좋은가? “재협상으로 공정한 농업통상 길 찾아야”
전종덕 의원(진보당, 비례)과 국민과함께하는 농민의길, 진보당 농민당, 전국먹거리연대, 더불어민주당 이원택·문금주 의원이 15일 국회 의원회관 8간담회의실에서 트럼프 2.0시대 농업통상의 새로운 대안 모색 토론회 ‘쌀 의무수입 이대로 좋은가?’ 토론회를 열었다. 전종덕 의원은 인사말에서 “우리 정부는 30년간 쌀 소비량이 절반으로 줄었다며 농민들에게 재배면적 감축을 강요하지만, 정작 1995년에 WTO 의무 수입물량 기준이 되었던 1988~1990년 평균 국내 소비량이 절반 이상 줄었음을 이유로 통상국가들과 재협상을 요구해 본 적이 없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와 통상 환경과 현안이 비슷한 일본이 ‘WTO 회원국들과 쌀에 대한 재협상을 벌이겠다’고 한 것을 거론하며 농업은 상품 생산의 일부가 아니라 국민의 생존을 지키는 근본이며, 국가의 식량 주권을 유지하는 바탕인 만큼 토론회를 통해 통상의 대안을 모색하고 식량주권을 지켜갈 공정한 농업통상의 길을 찾는 시발점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발제는 ‘한국의 쌀 의무수입물량 감축 및 철폐를 위한 재협상 전략(AI 기반)’을 주제로 이해영 한신대 글로벌인재학부 교수가 맡았다. 이해영 교수는 “지난 세계화 과정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