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6 (수)

  • 맑음동두천 5.9℃
  • 맑음강릉 11.6℃
  • 맑음서울 7.5℃
  • 맑음대전 7.8℃
  • 맑음대구 10.0℃
  • 맑음울산 10.8℃
  • 맑음광주 8.4℃
  • 맑음부산 12.0℃
  • 맑음고창 6.0℃
  • 맑음제주 11.9℃
  • 맑음강화 7.0℃
  • 맑음보은 6.5℃
  • 맑음금산 6.3℃
  • 맑음강진군 7.0℃
  • 맑음경주시 11.3℃
  • 맑음거제 11.8℃
기상청 제공

사회·문화


보이프렌드, 카자흐스탄 팬들과 만났다

-지난 6일 카자흐스탄 수도 아스타나 수도 지정 20주년 기념 공연 참여

- 10만 관객 운집하며 현지 국영방송 KAZAKH TV 생중계

-보이프렌드, “특별한 기념 공연에 초대해주셔서 너무나 영광” 소감 전해

 

보이프렌드가 카자흐스탄 초청 공연에 참석해 화려하게 무대를 빛냈다.

 

보이프렌드는 지난 6일 카자흐스탄 카작엘르(kazakh Eli) 광장에서 개최된 <Day of the Capital 20th years “With love from Astana”>(수도의 날 20주년 "아스타나로부터의 사랑과 함께") 공연에 올라 카자흐스탄 팬들과 만났다.

 

해당 무대는 카자흐스탄의 수도 ‘아스타나’가 수로로 지정된 지 20주년을 맞아 열리는 기념 공연으로, 현지에서 높은 인기를 누리고 있는 보이프렌드가 초청돼 무대를 펼쳤다.

 

이날 보이프렌드는 콘서트를 방불케 하는 공연으로 열정적인 무대를 선보였다. 보이프렌드는 강렬하면서도 파워풀한 안무가 돋보이는 ‘너란 여자’, ‘아이야’로 공연의 흥을 돋궜다. 카자흐스탄의 팬들은 힘이 넘치는 보이프렌드의 무대를 보며 열광적인 환호성을 쏟아냈다.

 

보이프렌드는 ‘내가 갈게’, ‘내 여자 손대지마’로 경쾌하면서도 발랄한 모습도 함께 선보였다. 특히 보이프렌드의 상큼 발랄함이 더욱 빛나는 데뷔곡 ‘Boyfriend’(보이프렌드)의 무대는 팬들의 마음을 단숨에 사로잡았다. 또한, 보이프렌드는 서정적이면서도 성숙한 감성이 담긴 곡 ‘Star’(스타)로 매력적인 무대를 선보였고 팬들은 뜨거운 함성을 내지르며 무대를 즐겼다.

 

특히 이날 공연장에서는 보이프렌드를 보기 위해 몰려든 팬들로 인산인해를 이루며 현지 10만 관객들을 운집시켰다. 뿐만 아니라 해당 공연은 카자흐스탄 국영방송 KAZAKH TV에 생중계되는 등 큰 화제를 이끌어 현지에서 부는 보이프렌드의 높은 인기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보이프렌드는 소속사를 통해 “특별한 기념 공연에 초대해주셔서 너무나 영광”이라며 “보이프렌드의 공연으로 축하를 드릴 수 있어 기뻤다”고 공연에 대한 소감을 밝혔다. 또한, “카자흐스탄 팬들과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낸 것 같아서 너무 행복하다”라며 “공연을 응원해주시고 즐겁게 즐겨주신 관객 분들께 감사를 전한다”고 전했다.

 

앞서 보이프렌드는 지난 6월 한국과 태국의 수료 60주년을 맞아 태국 방콕에서 소유, 유승우와 함께 ‘K-드라마 OST’ 콘서트에 출연해 무대를 꾸미며 글로벌 인기를 자랑했다. 특히 해당 콘서트 티켓 예매 사이트에서는 티켓 오픈 당시 많은 동시 접속자가 몰려 서버가 다운되는 등 보이프렌드에 대한 현지 팬들의 높은 관심을 내비친 바 있다.

 

한편, 보이프렌드는 최근 데뷔 7주년을 기념하는 팬송 '여우비'를 발표했다. ‘여우비’는 보이프렌드 멤버 동현, 정민, 광민, 민우가 직접 가사를 쓰고, 정민이 작곡에 참여해 그 어느 때보다 진솔한 이야기를 담았고, 가사 마디마디 절절함이 묻어나 멤버들의 진심을 느낄 수 있다. 이와 함께 보이프렌드는 데뷔 7주년을 팬들과 함께 기념하는 팬미팅 '[타임캡슐(Time Capsule)]-함께 걸어온 일곱 발자국'도 개최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관련기사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쌀 의무수입 이대로 좋은가? “재협상으로 공정한 농업통상 길 찾아야”
전종덕 의원(진보당, 비례)과 국민과함께하는 농민의길, 진보당 농민당, 전국먹거리연대, 더불어민주당 이원택·문금주 의원이 4월 15일(화) 국회 의원회관 8간담회의실에서 트럼프 2.0시대 농업통상의 새로운 대안 모색 토론회 ‘쌀 의무수입 이대로 좋은가?’ 토론회를 열었다. 전종덕 의원은 인사말에서 “우리 정부는 30년간 쌀 소비량이 절반으로 줄었다며 농민들에게 재배면적 감축을 강요하지만, 정작 1995년에 WTO 의무 수입물량 기준이 되었던 1988~1990년 평균 국내 소비량이 절반 이상 줄었음을 이유로 통상국가들과 재협상을 요구해 본 적이 없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와 통상 환경과 현안이 비슷한 일본이 ‘WTO 회원국들과 쌀에 대한 재협상을 벌이겠다’고 한 것을 거론하며 농업은 상품 생산의 일부가 아니라 국민의 생존을 지키는 근본이며, 국가의 식량 주권을 유지하는 바탕인 만큼 토론회를 통해 통상의 대안을 모색하고 식량주권을 지켜갈 공정한 농업통상의 길을 찾는 시발점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발제는 ‘한국의 쌀 의무수입물량 감축 및 철폐를 위한 재협상 전략(AI 기반)’을 주제로 이해영 한신대 글로벌인재학부 교수가 맡았다. 이해영 교수는 “지난 세계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