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1.27 (월)

  • 구름많음동두천 6.8℃
  • 구름많음강릉 10.5℃
  • 박무서울 8.7℃
  • 구름조금대전 9.7℃
  • 구름조금대구 12.1℃
  • 구름조금울산 13.7℃
  • 구름많음광주 11.7℃
  • 구름조금부산 13.3℃
  • 구름많음고창 11.2℃
  • 흐림제주 14.5℃
  • 구름많음강화 8.6℃
  • 구름조금보은 8.8℃
  • 구름조금금산 9.9℃
  • -강진군 13.1℃
  • 구름많음경주시 13.2℃
  • 구름많음거제 13.7℃
기상청 제공

경인뉴스


양평군-중국 영성시인민정부, 대한민국 청소년 영화제‧예술제 교류 협의

양 도시 “청소년 문화교류를 시작으로 발전된 관계 이어 가겠다”

 

중국 산둥성 영성시인민정부 방한단이 지난 12일(월) 경기도 양평군을 찾았다. 중국 영성시인민정부 방한단은 10월25일부터 27일까지 양평군에서 열리는 ‘제19회 대한민국 청소년 영화제‧예술제’에서 한중 청소년 문화교류 방한을 협의하기 위해 양평군을 전격 방문했다.

 

리훙샤(李洪霞) 영성시위원회 선전부장을 단장으로 류샤오웨이(刘少伟) 문화와여유국장(荣成市文化和旅游局长), 자오정(赵征) 여유발전센터 부주임(旅游发展中心 副主任) 등 9여명이 양평군을 찾았다.

 

이날 영성시 방한단은 행사가 열리게 될 양평군민회관 일대를 둘러보고, 구체적인 교류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리훙샤(李洪霞) 영성시위원회 선전부장은 “중국 영성시내의 청소년 공연‧예술팀을 이번 예술제에 참가하도록 중국으로 돌아가 구체적인 내용을 보내겠다”면서 “이번 교류를 시작으로 청소년 수학여행 프로젝트 협의 등 양 도시간 좋은 관계를 이어나갔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정동균 양평군수도 “다음에는 우리 지역 청소년들도 영성시를 방문하는 등 교류의 폭을 넓혀 단계별로 양 도시가 발전적 관계로 진행됐으면 좋겠다”면서 “양평군에서도 더욱 청소년 교류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차질없이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양 도시는 양평군에서는 천년 은행나무, 의병의 고장인 양평을 상징하는 기념품을, 중국 영성시에서는 한중교류를 처음 시작한 인물로 평가받는 장보고 청동 기념품을 교환했다.

 

이후 방문단은 청소년 예술제 행사 교류협의 외에도 자매결연, 특산물 교류 등과 관련해서도 심도 깊은 논의의 시간을 가졌다. 이날 중국 영성시 방한단의 경기도 양평군 방문은 조재성 경기영상위원장 (중국영성시 경제고문)의 주선으로 마련되었다.  

 

한편 중국 산둥성 영성시는 한국과 가장 가까운 중국의 도시로, 가까운 거리만큼이나 한국과 오랜 인연을 자랑한다. 

 

영성시에 있는 석도항(당시 적산포)은 통일신라시대 당(唐)과 신라, 일본 사이의 무역을 중계하고, 교역을 위해 바다를 건너는 선단을 대상으로 노략질을 일삼던 해적으로부터 그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했던 장보고 장군이 지금의 전라북도 완도에 해당하는 청해(淸海)에 설치한 진(鎭)인 ‘청해진(淸海鎭)’과 함께 중국에서 무역의 거점으로 삼았던 곳이었다.

 

당시 장보고는 이곳에 살고 있는 신라인들을 규합하고 이들을 하나의 공동체로 만들기 위해 ‘적산법화원(赤山 法華院)’이라는 사찰(寺刹)을 세웠는데, 현재 이곳은 중국인들이 장보고 장군을 기억하고 기념할 수 있는 장보고 동상과 그의 생애, 업적을 자세히 소개하는 전 시관도 마련돼 있다.


관련기사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1960년대에 사라진 트램, 제주도가 2030년 부활을 목표로 추진한다
지난 1968년에 운행을 중단한 트램(전차)이 기후위기 시대를 맞아 친환경 교통수단의 대안으로 주목받기 시작하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2021년 제3차 제주국제자유도시 종합계획(21년~31년)에서 수소트램 도입을 검토하고 추진중이다. 제주건설환경포럼(회장 장경호)이 주최하고 국토교통부와 제주도가 후원하는 ‘제주도 수소트램 건설 방향 및 미래비전’ 세미나가 23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렸다. 트램은 도로 위에 깔린 레일 위로 주행하는 교통수단으로 철도의 장점과 버스의 장점을 갖춘 친환경 교통수단이다. 유럽, 북미 등 400여개 도시에서 트램은 대중교통 수단으로서 여전히 인기를 누리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1960년대 자취를 감춘 이래 이제서야 부활을 시도중이다. 제주도가 도입하려는 트램은 친환경 수소연료를 이용, 제주 시내 구간 통행을 목표로 추진이 진행되고 있다. 이창운 전 한국교통연구원장은 이날 세미나에서 “제주도는 교통수단에서 대중교통(노선버스)의 분담률이 10%대로 전국 최저이며, 제주 여행의 교통수단으로서 렌터카가 76%를 차지하는 등 승용차와 렌터카로 인한 교통 혼잡비용이 연간 5,000억원에 달한다”고 밝히며 “트램 등 신교통시스템이 제주도의 가치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