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2.08 (금)

  • 맑음동두천 6.8℃
  • 구름조금강릉 7.7℃
  • 맑음서울 5.4℃
  • 맑음대전 2.0℃
  • 맑음대구 1.0℃
  • 맑음울산 4.4℃
  • 맑음광주 8.8℃
  • 맑음부산 8.9℃
  • 맑음고창 8.8℃
  • 맑음제주 8.4℃
  • 맑음강화 6.0℃
  • 맑음보은 -1.9℃
  • 맑음금산 -1.1℃
  • 맑음강진군 1.6℃
  • 맑음경주시 -1.3℃
  • 맑음거제 4.5℃
기상청 제공

부동산


3月 전국 3만6,000가구 집들이 한다

수도권 86% 급증...주요 입주예정 아파트 분석

 

<M이코노미 박홍기 기자> 직방에 따르면 3월에는 전국적으로 3만6,115세대가 입주할 예정이다. 전년 동월(3월) 아파트 입주물량(3만2,027세대)과 비교해보면 12.76% 증가한 수치다. 구체적으로 수도권은 86.12%(1만9,021세대)가 증가했고, 지방은 21.61%(1만7,094세대)가 감소했다. 지역별 아파트 입주물량은 경기도가 1만5,610세대로 43.22%를 차지했다. 용인시와 화성시 등 경기 남부에서 집중적으로 입주가 시작될 예정이다. 이외에 강원도는 3,198세대로 8.85%, 부산시는 2,541세대로 7.03%, 울산시는 1,928세대로 5.33%, 서울시는 1,669세대로 4.62%의 비중을 나타냈다. 3월에 입주할 전국 주요 아파트 단지를 분석했다.

 

#1. 3월 ‘수도권’ 주요 입주예정 아파트

 

3월 전국 아파트 입주예정단지 총 49곳 가운데 수도권에는 21곳, 지방에는 28곳이 분포해 있다. 수도권 입주예정단지는 서울시 2곳, 인천시 2곳, 경기도 17곳으로 이 중 1,000세대 이상 단지는 총 10곳이다.

 

e편한세상염창

 

‘e편한세상염창’은 염창1구역 재건축사업으로 서울시 강서구 염창동 277-24번지에 위치한다. 해당 단지는 ▲지상 20층 ▲총 6개동 ▲499세대 ▲전용 51-84㎡로 구성돼 있다. 주거환경은 9호선 염창역이 인접해 있고 양천한강공원, 선유도공원 등 한강생활권이 조성돼 있다. 전용 84㎡ 매매가격은 10억원~10억5,000만원, 전세가격은 6억원~6억5,000만원으로 시세를 형성하고 있다.

 

송도동일하이빌파크레인

 

‘송도동일하이빌파크레인’은 인천시 연수구 동춘동 724번지에 위치한다. 해당 단지는 ▲지상 30층 ▲총11개동 ▲1,180세대 ▲전용 66-93㎡로 구성돼 있다. 주거환경은 미추홀대로, 제3경인고속도로, 인천대교 등 광역교통망을 구축하고 있고, 인근 송도국제도시의 우수한 생활 인프라를 이용할 수 있다. 전용 84㎡ 매매가격은 3억5,000만원~3억6500만원, 전세가격은 2억4,000만원~2억8,000만원으로 시세를 형성하고 있다.

 

평촌더샵아이파크

 

호계주공아파트를 재건축한 ‘평촌더샵아이파크’는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호계동 977번지에 위치한다. 해당 단지는 ▲지상 33층 ▲총 13개동 ▲1,174세대 ▲전용 59-114㎡로 구성돼 있다. 주거환경은 4호선 범계역, 평촌역과 복합문화시설인 롯데백화점, 뉴코아아울렛 평촌점이 인근에 있어 생활여건이 편리하다. 전용 84㎡ 매매가격은 7억3,000만원~7억7,000만원, 전세가격은 4억5,000만원~5억3,000만원으로 시세를 형성하고 있다.

 

 

e편한세상추동공원

 

‘e편한세상추동공원’은 유휴공간인 도시공원을 활용해 아파트를 준공하고, 나머지 부지에 생태공원을 조성하는 민간공원 특례방식으로 사업을 진행했다. 해당 단지는 경기도 의정부시 신곡동 산 33-22번지에 위치하고 ▲지상 29층 ▲총 13개동 ▲1,561세대 ▲전용 59-124㎡로 구성돼 있다. 주거환경은 인근에 대규모 생태공원이 조성돼 있어 쾌적한 자연을 누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용 84㎡ 매매가격은 3억7,000만원~3억9,000만원, 전세가격은 2억3,000만원~2억5,000만원으로 시세를 형성하고 있다.

 

용인기흥효성해링턴플레이스

 

‘용인기흥효성해링턴플레이스’는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 산 112번지에 위치한다. 해당 단지는 ▲지상 26층 ▲총 17개동 ▲1,679세대 ▲전용 73-123㎡로 구성돼 있다. 주거환경은 경부고속도로의 수원신갈IC와 용인-서울고속도로가 위치해 서울과의 접근이 용이하다. 인근에 청명산, 기흥호수 등이 있어 여가생활을 즐기기도 좋다. 전용 84㎡ 매매가격은 3억4,000만원~3억6,000만원, 전세가격은 2억원~2억5,000만원으로 시세를 형성하고 있다.

 

동탄더샵레이크에듀타운

 

‘동탄더샵레이크에듀타운’은 경기도 화성시 산척동 산 135번지에 위치한다. 해당 단지는 ▲지상 32층 ▲총 16개동 ▲1,538세대 ▲전용 84㎡로 구성돼 있다. 주거환경을 보면 초‧중‧고교를 도보로 통학할 수 있다. 왕배산 근린공원, 동탄호수공원이 위치해 있어 풍부한 녹지공간도 조성돼 있다. 전용 84㎡ 매매가격은 4억8,000만원~5억5,000만원, 전세가격은 1억7,000만원~2억원으로 시세를 형성하고 있다.

 

 

#2. 3월 '지방' 주요 입주예정 아파트

 

3월 지방아파트 입주예정단지는 총 28곳으로 부산시 4곳, 광주시 2곳, 울산시 2곳, 세종시 2곳, 강원도 6곳, 충청북도 1곳, 충청남도 2곳, 전라북도 1곳, 전라남도 2곳, 경상북도 3곳, 경상남도 2곳, 제주도 1곳 등이다. 이 중 1,000세대 이상 단지는 부산시 ‘연산더샵’, 광주시 ‘힐스테이트리버파크’, 울산시 ‘반도유보라아이비파크’, 여수시 ‘웅천꿈에그린2단지’, 김해시 ‘중흥S클래스에코시티’ 총 5곳이다.

 

연산더샵

 

‘연산더샵’은 연산2구역 재개발사업으로 부산시 연제구 연산동 1990번지에 위치한다. 해당 단지는 ▲지상 30층 ▲총 11개동 ▲1,071세대 ▲전용 59-84㎡로 구성돼 있다. 주거환경은 물만골역 역세권으로 교통이 우수하며 행정기관 및 편의시설이 밀집해 있어 생활여건이 편리하다. 전용 84㎡ 매매가격은 4억5,000만원~4억9,000만원, 전세가격은 2억5,000만원~2억8,000만원으로 시세를 형성하고 있다.

 

힐스테이트리버파크

 

‘힐스테이트리버파크’는 광주시 광산구 쌍암동 695-1번지에 위치한다. 해당 단지는 ▲지상 36층 ▲총 9개동 ▲1,111세대 ▲전용 74-178㎡로 구성돼 있다. 주거환경은 인근에 영산강 조망권이 뛰어나고, 쌍암공원 등 녹지공간이 풍부하다. 전용 84㎡ 매매가격은 5억2,000만원~5억 5,000만원, 전세가격은 2억6,000만원~3억원으로 시세를 형성하고 있다.

 

 

호려울마을3단지

 

‘호려울마을3단지’는 세종시 보람동 664-52번지에 위치한다. 세종시 건설로 인해 이주했던 원주민이 재정착한 단지로 ▲지상 29층 ▲총 11개동 ▲713세대 ▲전용 59-84㎡로 구성돼 있다. 주거환경은 BRT라인과 광역교통망이 구축돼 있고, 세종시청, 교육청, 세무서 등 세종시 행정타운이 도보로 접근 가능하다. 전용 84㎡ 매매가격은 6억2,000만원~6억5,000만원, 전세가격은 1억9,000만원~2억원으로 시세를 형성하고 있다.

 

여수웅천꿈에그린2단지

 

‘여수웅천꿈에그린2단지’는 전라남도 여수시 웅천동 1889-2번지에 위치한다. 이 단지는 ▲지상 29층 ▲총 11개동 ▲1,448세대 ▲전용 75-100㎡로 구성돼 있다. 전용 84㎡ 매매가격은 2억7,000만원~2억9,000만원, 전세가격은 2억5,000만원~2억7,000만원으로 시세를 형성하고 있다.

 

중흥S클래스에코시티

 

‘중흥S클래스에코시티’는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 진영리 1690번지에 위치한다. 해당 단지는 ▲지상 29층 ▲총 19개동 ▲1,521세대 ▲전용 79-110㎡로 구성돼 있다. 주거환경은 인근에 일반산업단지, 농공단지, 테크노밸리 등 다수의 산업단지가 밀집해 있어 직주근접이 가능하고, 남해고속도로를 통해 부산으로 접근이 용이하다. 전용 84㎡ 매매가격은 2억2,000만원~2억4000만원, 전세가격은 1억3,000만원~1억4,000만원으로 시세를 형성하고 있다.

 

MeCONOMY magazine March 2019


관련기사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자원순환과 대기오염 방지의 합리적 방안은?
기후위기 극복을 위해서 환경을 되살리는 일이 우리 모두에게 최우선의 과제가 되고 있는 가운데, 7일 국회에서는 고형연료 적정 규제를 중심으로 「오염물질 배출 저감을 위한 연료제도 보완 토론회」가 열렸다. 고형연료(SRF)는 폐기물을 재가공한 뒤 이를 태워서 열로 회수하는 방식을 말하는데, 연소과정에서 나오는 다이옥신, 미세먼지 등 유해물질이 배출되면서 환경오염을 발생시키고 건강을 위협해 사업장과 인근 지역민들 간 갈등의 골이 생기고 있다. 해외 선진국들은 SRF 시설을 공영으로 운영하면서 엄격하게 관리하고 있으나 우리는 민간 사업자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국민적 피해예방을 위해서 고체연료 사용 금지 대상 지역을 선정하고 있으나 인구분포 변화에 따른 한계가 따르는 게 현실이다. 이날 토론회는 오염물질 배출 저감을 위해서 연료제도 개선 방안을 논의하고 고형연료의 적정 규제와 자원순환과 대기오염 방지의 합리적 절충 방안을 찾고자 마련됐다. 최기철 한국환경연구원은 ‘연료 사용제한제도의 과거와 현재’에 대해 발제했고, 토론자로는 박정철 환경부 대기관리과장, 조영제 산업통상자원부 전기위원회 사무국장, 박래혁 경기도 기후환경정책과장, 최현정 SRF 발전소 및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