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18일 토요일

메뉴

사회·문화


“일본은 백제다”, 일본 천황에 오른 백제 ‘제명공주’ 미스터리가 풀린다

‘한복입은 남자’에 이은 이상훈의 두 번째 역사소설 출간

    

'한복입은 남자' 이상훈 작가가 이번엔 한일 고대사에서 지워진 '제명공주'를 살려냈다. 백제의 공주로 일본 천황의 자리에 오른 제명공주를 둘러싼 미스터리가 특유의 흥미진진함 속에 풀려나간다.


일본 천황에 오른 백제의 제명공주를 알고 있는 우리 국민이 몇이나 될까? 제명공주는 일본의 역사상 두 번째 여성 천황인 일본의 35대 고교쿠 천황(재위 642~645)에 올랐다가, 다시 37대 사이메이 천황(재위 655~661)에 오르며, 일본 역사상 유일하게 두 번 천황의 자리에 오른 여인이다.


또 제명공주는 백제의 마지막 왕인 의자왕과 사촌 사이로 일본에 불교를 전파한 임성태자 밑에서 함께 자랐다.


이렇게 한일 양국 고대사에 중요한 발자취를 남긴 인물임에도 일본의 역사에는 일부러 외면하려는 듯 언급을 회피하거나 사료 자체가 감추어져 있으며, 우리 역사에서는 아예 기록 자체가 없어 오늘에 전해지지 않고 있는 비운의 여인이기도 하다.


이상훈 작가는 일본은 백제라고 말한다. ‘삼국사기에는 기록돼 있지 않지만, ‘일본서기에는 중요한 인물·사건으로 자주 언급되는 백제의 흔적들은 여전히 일본에 고스란히 남아있다고 전한다.


저자는 일본이 그토록 감추려고 애썼으나, 곳곳에 드러나는 백제의 흔적을 따라갔다. 일본 아스카를 직접 찾은 저자는 백제역·백제천·백제교·백제소학교 등 백제라는 이름과 마주하고, 본격적으로 흔적을 찾아 모으기 시작했다. 수십 번의 일본방문과 자료수집에 걸린 시간만 10. 결국 20185제명공주가 세상에 나왔다.

 

한일 고대사의 최대 미스터리, 백촌강 전투의 진실은 무엇인가?


백제 멸망 후 3년 후인 663백제부흥군·왜 연합군신라·당나라(나당) 연합군사이에 처절한 전투를 벌인 끝에 나당 연합군의 승리로 끝났다. 이 전투에서 강에 집결해 있던 1천척의 함선 가운데 4백척이 불타며 삼국사기연기와 불꽃은 하늘을 붉게 물들였고, 바닷물마저 핏빛이 되었다라고 당시의 처절했던 전쟁을 묘사하고 있다.

 

이 전투를 위해 일본은 전 인구를 동원해 수년간 배를 건조했으며 5만명이 넘는 군사를 보냈다. 그야말로 국운을 건 대사업이었던 것이다. 이 지점이 바로 한일 고대사에서 아직도 풀리지 않는 미스터리다. 대체 일본은 백제를 구하기 위해 왜 그렇게까지 해야만 했던 것인가?

 

이 소설은 치밀한 역사적 고증에 기반을 두고 잃어버린 역사적 고리들을 상상력을 꿰맞춘 끝에 그 미스터리에 대한 답을 내린다. 바로 제명 공주라고.

 

작가는 말한다.

 

백제는 우리의 과거이자 미래다. 그리고 그 미래는 우리와 일본이 함께 걸어가야 할 길이다. 그러려면 일본과 우리를 연결하는 백제의 진실을 찾아내야만 한다. 특히 일본에서 두 번이나 천황의 삶을 살았던 제명 공주의 삶을 밝혀낸다면 증오의 뿌리도 서서히 사라지리라.”


관련기사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국감] 무자격 날씨 유튜버 활개...기상청, 관리·제재 전무
17일 오전 열린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기상청 대상 국정감사에서 잘못된 기상 정보를 유포하는 유트버들로 인해 국민들의 심각한 피해가 예상된다는 지적이 나왔다. 기상법 17조는 예보 또는 특보를 할 수 있는 자격을 ‘기상사업자로 등록한 자’로 규정하고 있다. 김태선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기상사업자로 등록하지 않은 채 유튜브에 날씨 영상을 올리는 채널들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면서 “(그럼에도) 많은 국민들이 기상청 공식 채널보다 무자격 유튜브 채널을 통해 날씨 정보를 얻고 있는 상황”이라고 심각성을 지적했다. 김 의원은 제6호 태풍 위파에 대한 예보 영상을 예로 들었다. 지난 7월 13일 한 유튜브 채널에 위파가 동해안을 따라 북상하고 있다는 예보 영상이 올라왔지만, 실제로 위파는 한반도에 닿지 않았고 이 영상의 조회수는 9만4000회나 됐다. 반면, 같은 날 기상청 공식 채널에 공개된 예보 영상에는 ‘밤부터 더 강하게 온다. 전국 비. 남부와 강원 집중호의 주의’라는 내용이 담겼고, 조회 수는 1만회에 그쳤다. 김 의원은 “태풍이 안 와서 다행이지만 반대로 안 온다고 예보했다가 실제로 오는 경우가 발생하면 국민들은 심각한 피해를 입을 수 있다”며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