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2 (토)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건설


조선업 ‘활기’에 거제·창원·울산 아파트 거래량↑ 집값↑

 

조선업 도시인 거제, 울산, 창원의 아파트 매매량이 최근 크게 증가해 눈길을 끈다.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우리나라 조선업계가 13년 만에 최대 수주량을 달성하는 등 뚜렷한 실적 회복세를 보이면서 대표적인 조선업 도시인 이들 부동산 시장에 수요자들의 관심이 높아졌다. 

 

산업통상자원부 자료를 보면 국내 조선업계는 올해 상반기 전 세계 발주량 2,452만CGT(표준선 환산톤수) 가운데 약 44%인 1088만CGT(267억1천만달러)을 수주했다. 이는 작년 동기 대비 724%,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상반기보다는 183% 각각 증가한 실적이다.

 

조선업계가 살아나면서 조선업 도시인 거제, 울산, 창원의 아파트 거래량도 크게 증가했다. 한국부동산원 통계에 따르면 지난 5월 거제시 아파트 거래는 1,973건으로 4월 516건에 비해 약 4배 증가했다. 창원시도 5월 3,344건이 거래돼 전달인 4월 2,233건보다 1,100여건 더 거래됐다. 5월 울산 아파트 거래량은 2,517건으로 전달의 1,970건보다 약 600건 증가했다.
 
경제 회복 기대감에 시세도 상승 중이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거제시 아파트 평균 3.3㎡당 매매가는 올해 1월 554만원에서 6월까지 상승세를 보이며 561만원까지 올랐다. 실제로 지난 5월 ‘거제장평 유림노르웨이숲’ 전용 84㎡ 아파트가 4억3,800만원에 거래되면서 최고가를 신고했다. 올해 1월 거래되던 3억9,000만원대와 비교하면 약 5,000만원 올랐다. 경남 창원시도 지난 1월 3.3㎡당 909만원이었던 평균 매매가가 꾸준히 상승해 지난달에는 3.3㎡당 950만원까지 올랐다. 울산 3.3㎡당 평균 매매가도 지난 1월 907만원에서 740만원까지 상승했다. 

 

분양시장도 활기다. 지난 4월 거제서 분양한 ‘e편한세상 거제 스카이’는 14.5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고 6월 분양한 ‘더샵 거제 디클리브’도 6.7대 1의 1순위 경쟁률을 보였다. 또 창원시 마산회원구서 7월 분양한 ‘창원 롯데캐슬 센텀골드’는 70.5대 1의 경쟁률을, 마산합포구서 4월 분양한 ‘창원 푸르지오 더플래티넘’은 18.2대 1의 두 자릿수 경쟁률을 기록했다. 울산도 지난 7월 분양한 ‘번영로 센텀파크 에일린의뜰’이 19.6대 1, 5월 분양한 ‘율동지구 한신더휴’가 21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하는 등 인기를 끌었다. 

 

한국창업부동산정보원 권강수 이사는 “조선업계가 선박 수주 호황에 힘입어 부활 조짐을 보이면서 일자리 확대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 대한 기대심리도 살아나고 있다”며 “그동안 조선업 불황에 저평가를 받아왔던 거제, 창원, 울산 등 조선업 도시들에 수요자들이 몰리면서 아파트 거래량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거제, 울산, 창원에 신규 아파트 공급이 이어질 전망이다. 거제 옥포동에서 ‘거제 반도유보라’가, 창원 북면신도시에서 ‘창원 무동 동원로얄듀크1차’가, 울산 무거동에서 ‘삼호주공 비스타동원’ 등이 분양을 이어갈 예정이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민변·시민단체 “석포제련소 폐쇄 등 정부 차원 TF 구성해야”
더불어민주당 강득구·임미애 의원과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민변) 낙동강 석포제련소 TF, 낙동강 상류 환경 피해 주민 대책위원회는 11일 국회 소통관에서 ‘석포제련소 토양오염 원인규명 국민권익위 결과 발표 및 환경오염 기업 영풍 석포제련소에 대한 낙동강 1300리 주민 집단 손해배상청구’ 관련 기자회견을 열었다. 민변 석포제련소 TF와 낙동강 상류 환경 피해 주민 대책위원회는 이날 “낙동강 중금속 오염의 주범 영풍 석포제련소는 법의 심판을 받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지난 50년간 대한민국 낙동강 1,300리를 병들게 해 온 영풍 석포제련소의 위법 행위와 환경 파괴는 이제 더 이상 묵과할 수 없는 심각한 사회 문제가 됐다”며 “오염의 진실을 바로잡고 피해 주민들의 건강권과 환경권율 회복하며, 정의로운 전환을 요구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2025년 3월, 낙동강 1300리 지역의 주민들은 영풍 석포제련소로 인한 토양 및 수질 오염의 책임 규명을 촉구하며 국민권익위원회에 고충 민원을 제기했다. 그리고 지난 7월 7일, 권익위는 해당 민원에 대해 공식 의결했다”고 전했다. 의결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부 장관은 ‘경북 봉화군 석포면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