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5 (화)

  • 구름조금동두천 12.1℃
  • 맑음강릉 15.5℃
  • 맑음서울 11.5℃
  • 맑음대전 11.6℃
  • 맑음대구 15.7℃
  • 맑음울산 15.2℃
  • 맑음광주 13.2℃
  • 맑음부산 12.8℃
  • 맑음고창 11.1℃
  • 맑음제주 15.5℃
  • 맑음강화 8.8℃
  • 구름조금보은 12.7℃
  • 맑음금산 11.2℃
  • 맑음강진군 13.7℃
  • 구름조금경주시 15.7℃
  • 맑음거제 12.7℃
기상청 제공

사회·문화


식약처, 미세먼지 대비 분야별 안전관리 정보 제공!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정승)는 최근 미세먼지가 자주 발생하면서 황사 방지용 마스크 사용 요령과 콘택트렌즈 및 안약 사용 시 주의사항, 식품 취급요령 등‘미세먼지(PM10)대비 분야별 안전관리 정보’를 제공한다.

〈황사방지용 마스크의 올바른 사용법〉

○ 식약처로부터 허가를 받은 황사방지용 마스크는 일반 마스크와 달리 미세입자를 걸러내는 성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흡기질환 예방을 위해서는 황사방지용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좋다.

황사방지용 마스크는 0.04~1.0 μm(평균 약 0.6 μm) 크기의 미세입자를 80% 이상 걸러낼 수 있어 미세먼지(PM10, PM2.5)도 차단이 가능하다.

○ 황사방지용 마스크는 세탁하면 모양이 변형되어 기능을 유지할 수 없고 오히려 먼지나 세균에 오염될 수 있으므로 세탁하여 재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 일부 여성의 경우 화장이 지워지는 것을 우려하여 수건이나 휴지 등을 덧댄 후 마스크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밀착력 감소로 인해 미세먼지 차단 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소비자들이 약국, 마트, 편의점 등에서 ‘황사방지용 마스크’를 구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제품 용기 또는 포장에 「의약외품」이란 문자와 「황사방지」 또는 「황사마스크」란 표시를 꼭 확인해야 한다.

아울러, 의약외품으로 허가 받은 황사방지용 마스크 제품은 식약처 홈페이지(www.mfds.go.kr)→ 분야별정보→ 바이오→ 의약외품정보→ ''황사방지용 마스크'' 허가현황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안약 사용 시 주의 사항〉

○ 미세먼지로 인애 안과질환이 발생할 수 있어 눈 건강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며, 안약 및 콘택트렌즈 사용 시 주의사항은 다음과 같다.

- 외출 후 눈이 따갑거나 이물감이 느껴지면 눈을 비비거나 소금물로 씻지 말고 인공눈물 또는 세안(洗眼)을 사용해 눈을 깨끗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소금물로 눈을 씻으면 안과 질환 예방이나 증상 호전에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으나, 오히려 눈에 자극을 주어 증상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

○ 만일, 이물질로 인해 눈이 가렵고 붉어지며 눈에서 끈끈한 분비물이 나오는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 약사나 의사와 상담 후 적합한 안약을 선택해야 한다.

○ 안약을 사용하기 전에는 반드시 손을 깨끗이 씻고, 안약 용기의 끝이 눈꺼풀이나 속눈썹에 닿으면 오염될 수 있어 주의하여 사용해야 한다.

- 일회용 안약은 개봉 후 즉시 사용하고, 두 종류 이상의 안약을 함께 사용할 경우에는 일정시간 간격(3분 내지 5분 정도)을 두고 투약하는 것이 좋다.

〈콘택트렌즈 사용 시 주의 사항〉

○ 미세먼지 발생 시 콘택트렌즈보다는 안경이나 선글라스를 착용하는 것이 좋지만 부득이하게 콘택트렌즈를 착용할 경우에는 렌즈 소독 및 세정 관리를 보다 철저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 미세먼지가 많은 경우 렌즈로 인해 눈이 보다 건조해지면서 충혈, 가려움증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8시간 이상의 장시간 착용을 피해야 한다.

- 콘택트렌즈 착용자는 외출 후 렌즈를 즉시 빼고 인공눈물 등으눈을 세척해주는 것이 좋으며, 안약을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렌즈를 빼낸 후 안약을 넣고 안약을 넣은 후에 최소 30분 후에 렌즈를 다시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품 섭취 시 주의 사항〉

○ 포장되지 않은 과일이나 채소는 2분간 물에 담근 후 흐르는 물30초간 씻고, 필요에 따라 1종 세척제(채소용 또는 과일용)를 이용해 세척하도록 한다.

○ 또한 노상이나 야외 조리음식은 미세먼지로 인해 오염 가능성이 높으므로, 가급적 어린이들이 사먹지 않도록 지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외부공기가 주방으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창문을 닫은 후에 조리하고, 조리된 음식은 뚜껑이나 랩으로 포장해 보관한다.

식약처는 미세먼지가 심할 때 외출을 가급적 자제하되 외출 시에는 황사방지용 마스크를 착용하고, 외출 후 집에 돌아와서는 반드시 얼굴과 손발 등을 깨끗이 씻는 등 생활습관을 좀 더 철저히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당부하였다.

 

김미진 기자 / sy1004@m-economynews.com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쌀 의무수입 이대로 좋은가? “재협상으로 공정한 농업통상 길 찾아야”
전종덕 의원(진보당, 비례)과 국민과함께하는 농민의길, 진보당 농민당, 전국먹거리연대, 더불어민주당 이원택·문금주 의원이 4월 15일(화) 국회 의원회관 8간담회의실에서 트럼프 2.0시대 농업통상의 새로운 대안 모색 토론회 ‘쌀 의무수입 이대로 좋은가?’ 토론회를 열었다. 전종덕 의원은 인사말에서 “우리 정부는 30년간 쌀 소비량이 절반으로 줄었다며 농민들에게 재배면적 감축을 강요하지만, 정작 1995년에 WTO 의무 수입물량 기준이 되었던 1988~1990년 평균 국내 소비량이 절반 이상 줄었음을 이유로 통상국가들과 재협상을 요구해 본 적이 없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와 통상 환경과 현안이 비슷한 일본이 ‘WTO 회원국들과 쌀에 대한 재협상을 벌이겠다’고 한 것을 거론하며 농업은 상품 생산의 일부가 아니라 국민의 생존을 지키는 근본이며, 국가의 식량 주권을 유지하는 바탕인 만큼 토론회를 통해 통상의 대안을 모색하고 식량주권을 지켜갈 공정한 농업통상의 길을 찾는 시발점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발제는 ‘한국의 쌀 의무수입물량 감축 및 철폐를 위한 재협상 전략(AI 기반)’을 주제로 이해영 한신대 글로벌인재학부 교수가 맡았다. 이해영 교수는 “지난 세계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