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기로운 의사생활 시즌2' 3화에서는 확장성 심근병증으로 바드 치료를 받고 있던 민찬이가 심장이식 수술을 받을 수 있게 됐다. 민찬이 보다 먼저 바드 치료를 받고 있던 은지의 엄마는 ‘기적’을 외쳤지만, 다시 미뤄진 딸의 이식 기회에 대한 아쉬운 눈물을 흘리면서 시청자들에게 찡한 장면을 보여줬다.

심장 이식은 수술 중에서도 가장 어려운 수술로 꼽히는 소아심장이식에 대해 서동만 이대서울병원 흉부외과 교수와 함께 자세히 알아봤다.
Q. 우리 몸에서 혈액이 하는 역할?
혈액은 우리 몸 전체를 돌며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합니다. 정맥을 통해 심장의 우심방으로 들어온 다음에는 우심실, 폐동맥을 거쳐 폐로 가게 되는데요. 이산화탄소 대신 산소를 받아 폐정맥, 좌심방, 좌심실을 거쳐 대동맥을 통해 온몸을 돌게 됩니다.
Q. 선천성 심장병이란?
아이가 출생 시 존재하는 심장의 기형 및 기능 장애를 나타내는 질환입니다. 심장은 자궁 내 태아기 3주에서 8주 사이에 만들어지는데 선천성 심장병이란 심장 형성 및 발달 과정 중에 문제가 발생하여 초래되는 질환으로, 흔히 선천성 심장 기형을 말하며, 태아기에 진단되기도 하고 출생 후 수년 후에 진단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Q. 진단은 어떻게?
우리나라 소아 100명당 1명은 선천성 심장질환을 가지고 태어나는데 이 중 60~70%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선천성 심장질환은 임신 중 심장이 발달하는 시기에 초음파를 통해 진단되거나 태어난 후 진단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Q. 발병 원인과 주의점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가족 중 선천성 심장질환을 가진 사람이 있으면 임신 전 유전 상담을 하거나 임신 초기에 약물 복용을 삼가고 다른 질환에 걸리지 않게 주의해야 합니다.
Q. 가장 흔한 심장질환은?
선천성 심장질환으로 가장 흔한 심실중격 결손증, 심방중격 결손증 등의 비교적 단순 기형과 덜 흔한 복잡 심장 기형들이 있습니다.
Q. 치료는 어떻게?
선천성 복잡 심장 기형을 가진 아이들은 수술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심장의 기능이 정상적으로 돌아오지 못할 경우엔 심장이식이 필요하게 됩니다. 또한, 선천성 또는 후천성 심근증으로 인해 심장의 주요 구성 요소인 심근에 병변이 생겨 회복하기 어려운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이식 수술을 받아야 합니다.
심장이식은 뇌사자로부터 공여를 받아야 하므로 이식받을 수 있는 기회가 매우 적습니다. 특히나 소아 심장이식 수술의 경우 성인에 비해 소아 뇌사 사례가 드물고 기증자와 공여자의 연령이나 체중이 비슷한 경우를 찾기가 쉽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