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1 (금)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과학·기술·정보


[M경제레이더] 2017년 연간 무역액 1조 달러 돌파 … 3년만에 재진입

주력품목 비중 완화 등 질적성장도

 

관세청·산업통상자원부는 141420분 기준으로 잠정 집계한 결과 연간 무역액 누계실적이 1조 달러를 돌파했다고 밝혔다.

 

무역통계 작성(1956년 시작) 이래 역대 최단기간 수출 5,000억 달러 돌파(1117), 11월까지의 연간 누계 기준 사상 최대 수출실적(2017.111월 수출액 5,248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16.5%) 기록 등 성과에 힘입어, 2014년 이후 3년만에 연간 무역액 1조 달러 재진입에 성공했다.

 

올해 한국 무역은 세계 10대 수출국 중 1~9(누적) 수출 증가율 1(18.5%), 세계 수출 순위도 전년대비 두 단계 상승한 6위를 기록(’168)했다.

 

관세청은 글로벌 보호 무역주의 강화, 지정학적 불안정성 등 불리한 대외 여건에도 불구하고, 타 경쟁국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높은 성과를 달성했다는데 그 의미가 더욱 크다고 밝혔다.


 

한국의 올해 1~9(누적) 교역액은 7,852억 달러(전년동기대비19.2%)8위 영국(7,995억 달러)에 이어 근소한 차이로 전년과 동일한 교역 순위인 9위를 유지하고 있다.

 

다만, 전 세계 교역에서 차지하는 교역 비중은 금년 1~9(누적) 기준 3.3%, 2016년도 2.8%에 비해 상승해 최초로 3.0%대 진입 및 역대 최고 교역 비중(수출 비중도 3.6%로 역대 최고) 달성 가능성이 높다.

 

한편, 역대 무역 1조 달러에 진입했던 국가는 한국 포함 9개국이며, 2016년 기준으로 미국·중국(3조 클럽), 독일(2조 클럽)에 이어 1조 클럽 국가는 일본·프랑스·네덜란드·홍콩·영국 순이다.

 

13대 주력품목 수출비중 완화 8대 신산업 비중 증가

 

정부는 올해 한국 무역이 선전할 수 있었던 주요 요인으로 품목 다변화·고부가가치화, 품목·지역별 고른 성장세, 남북 교역축 신흥시장 성장 등으로 분석했다. 질적으로도 진전된 성과를 보였다는 평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반도체, 일반기계, 석유화학, 선박, 자동차 등 13대 주력품목 수출비중이 과거 마지막으로 1조불을 달성한 201480.6%에서 78.3%로 하락해 13대 주력품목에 대한 집중도가 완화됐다.

 

반면 차세대 반도체에너지신산업바이오헬스 등 8대 신산업의 수출 비중이 20148.4%에서 올해는 12.6%까지 늘었고, 생활용품농수산식품화장품 등 유망소비재 수출실적도 지난해 동기대비 15.1% 상승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2017.111(누적) 기준 10대 주요 지역 중 9개 지역(중동 제외)의 수출이 모두 증가해 지역별 편차 없이 수출이 성장하는 가운데, G2(·) 수출비중이 201437.6%에서 ’17.111(누적) 36.5%로 하락하는 등 수출 지역의 다변화도 진전됐다.


관련기사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민변·시민단체 “석포제련소 폐쇄 등 정부 차원 TF 구성해야”
더불어민주당 강득구·임미애 의원과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민변) 낙동강 석포제련소 TF, 낙동강 상류 환경 피해 주민 대책위원회는 11일 국회 소통관에서 ‘석포제련소 토양오염 원인규명 국민권익위 결과 발표 및 환경오염 기업 영풍 석포제련소에 대한 낙동강 1300리 주민 집단 손해배상청구’ 관련 기자회견을 열었다. 민변 석포제련소 TF와 낙동강 상류 환경 피해 주민 대책위원회는 이날 “낙동강 중금속 오염의 주범 영풍 석포제련소는 법의 심판을 받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지난 50년간 대한민국 낙동강 1,300리를 병들게 해 온 영풍 석포제련소의 위법 행위와 환경 파괴는 이제 더 이상 묵과할 수 없는 심각한 사회 문제가 됐다”며 “오염의 진실을 바로잡고 피해 주민들의 건강권과 환경권율 회복하며, 정의로운 전환을 요구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2025년 3월, 낙동강 1300리 지역의 주민들은 영풍 석포제련소로 인한 토양 및 수질 오염의 책임 규명을 촉구하며 국민권익위원회에 고충 민원을 제기했다. 그리고 지난 7월 7일, 권익위는 해당 민원에 대해 공식 의결했다”고 전했다. 의결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부 장관은 ‘경북 봉화군 석포면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