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메뉴

경제


지난해 방송매출 14조 7229억원…IPTV가 증가 주도

유료방송 가입 2983만 단자…프로그램 수출은 전년대비 9.1% ↑

지난해 방송 매출은 14조 7229억원으로 전년 대비 4.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문별로는 IPTV 매출액이 전년도 비해 33.2%가 증가하는 등 매출 증가를 주도한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방송프로그램 수출은 3억 1381만 달러로 전년 대비 9.1% 증가하는 등 호조세를 보였다.


미래창조과학부와 방송통신위원회는 이같은 내용 등을 담은 ‘2015년 방송산업 실태조사’ 결과를 9일 발표했다. 방송산업 실태조사는 국내 방송산업의 분야별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매년 실시된다. 총 414개 사업자(중계유선 포함)를 대상으로 지난 5월 22일부터 6월 25일까지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에서 인터넷조사 및 분석을 실시했다.


조사 내용은 ▲방송서비스 매출 ▲유료방송 가입자 ▲방송종사자(인력) ▲프로그램 제작과 유통 등 방송산업과 관련된 다양한 항목을 포함하고 있다.


이번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4년 12월말 기준 방송사업 매출은 14조 7229억원으로 IPTV사업과 방송채널사용사업의 매출 증가에 힘입어 전년(14조 347억원) 대비 4.9% 증가했다.


부문별로는 IPTV사업 1조 4984억원(33.2% 증가), 방송채널사용사업 6조 3067억원(3.8% 증가), 지상파방송(DMB포함) 4조 153억원(2.8% 증가), 위성방송 5532억원(1.4% 증가)이었으며, 종합유선방송사업(SO)은 2조 3462억원(1.4% 감소)으로 나타났다.


유료방송 가입자는 총 2983만 단자(OTS 중복가입 234만, 중계유선 가입자 9만 7000 포함)로 IPTV 가입자가 큰 폭(24.2%)으로 증가한 것에 힘입어 전년(2776만)대비 7.4% 증가했다.


디지털방송 기준으로는 IPTV 1086만(24.2% 증가), 종합유선방송 713만(15.9% 증가), 위성방송 426만(1.9% 증가) 등 총 2225만 단자로 전년(1907만) 대비 16.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사자는 3만 4615명으로 전년(3만 4714명) 대비 0.3% 감소했다. 부문별로는 IPTV 645명(9.5% 증가), 위성방송 320명(4.2% 증가), 방송채널사용사업 1만 4339명(1.2% 증가)인 반면, 지상파방송(DMB포함)은 1만 4468명(0.5% 감소), 종합유선방송은 4692명(5.1% 감소)으로 나타났다.


연간 방송프로그램 제작과 구매비용은 2조 5401억원으로 전년(2조 5851억원) 대비 1.7% 감소했는데, 이는 지상파방송과 방송채널사용사업의 자체제작비 감소로 풀이된다.


방송프로그램 등 수출 총액은 3억 1381만 달러로 지상파방송사의 일본, 중국, 홍콩으로의 수출 호조에 힘입어 전년(2억 8776만 달러) 대비 9.1%로 증가했다.


한편 수입 총액은 5934만 달러로 방송채널사용사업의 수입 감소에 따라 전체적으로는 전년(1억 1449만 달러) 대비 48.2%가 감소, 흑자 폭이 크게 확대됐다.


미래창조과학부와 방송통신위원회는 이번 조사 결과가 정부 정책수립 뿐만 아니라 민간기업체의 경영전략 수립과 학계·연구소 등의 학술연구 등에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방송산업실태조사 보고서’는 2000년부터 매년 실시하고 있는 국가승인 통계로 미래창조과학부(www.msip.go.kr)와 방송통신위원회(www.kcc.go.kr) 홈페이지를 통해 이용할 수 있으며, 통계조사에 반영될 수 있는 의견 수렴도 병행할 예정이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경찰, 소비쿠폰 '불법 현금깡' 특별단속…'부정유통 신고센터' 운명
소비쿠폰의 불법 현금화 시도가 연일 신고되면서 정부가 팔을 걷고 특별단속에 나선다. 소비쿠폰이 지급 11일 만인 지난달 31일 90% 지급률을 보이며 국민에게 호응을 받고 있지만, 불법 현금화 시도와 카드 색상 구분 등 인권 논란은 붉어지고 있다. 정부는 불법 유통에 대한 특별단속에 나서는 등 소비쿠폰이 지역경제와 골목상권 회복이라는 당초 취지에 부합하도록 제도를 보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2일 광주시 5개 자치구에 따르면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첫날인 지난달 21일부터 지난달 31일까지 총 9건(광산구 6건·서구 2건·남구 1건)의 부정 사용 정황이 발견됐다. 연 매출액이 30억원을 넘는 등 소비쿠폰 결제가 불가한 업주들이 다른 업소의 카드단말기를 대여해 대리 결제하거나 매장 안에 입점한 임대 사업자의 카드단말기를 이용하는 편법을 사용하다가 적발된 것이다 소비쿠폰 결제 후 현금 환불을 요구하는 등 불법 현금화 시도도 계속되고 있다. 최근 한 자영업자는 커뮤니티에 글을 올려 “민생지원금으로 주문한 뒤 음식에서 머리카락이 나왔다고 해서 사진을 찍어 보내라 하니 카메라가 고장 났다고 한다”며 “식약처 고발 등을 이야기하길래 계좌로 환불을 해줬다”고 호소했다. 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