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메뉴

경제


인천시, 올 제3회 추경예산 3,838억원 증가된 9조2,061억원으로 편성

필수경비 미부담분 우선 해소에 주력, 시의회 제228회 정례회 안건 상정 예정

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의 2015년도 제3회 추가경정예산안 총 규모가 기정예산(8조8,223억원) 대비 4.4%(3,838억원) 증가한 9조2,061억원으로 정해졌다.


일반회계는 기정예산 대비 3.9%(2,306억원) 증가한 6조1,306억원이며, 특별회계는 기정예산 대비 5.2%(1,532억원) 증가한 3조755억원 규모다.

2015년도 제3회 추경예산안 편성의 기본방향은 세입예산은 취득세 등 지방세 증가에 따른 목표액 조정, 국고보조금·지방교부세 등 의존수입의 증감사항 반영, APG 정산금 등 세외수입 변동분을 반영했다.


세출예산은 군·구 조정교부금, 교육청법정전출금 등 법정·의무적 경비 추가 확보, 제2회 추경예산 편성이후 국고보조금 등 변경에 따른 지방비 부담액을 조정했다.

추경예산안의 회계별 주요내용을 살펴보면 일반회계 세입예산은 부동산 경기 회복세의 영향으로 취득세 947억원 등 지방세 수입이 1,927억원 증가했고, APG정산금 반영과 검단산단 광역교통개선 부담금 등 감소에 따라 세외수입은 101억원 감소했다.


또한, 국고보조금, 지역발전특별회계 보조금, 기금 등 보조금 수입은 358억원 증가했으며, 지방교부세는 소방안전교부세 77억원, 가뭄극복 긴급대책 등 특별교부세 62억원이 추가 교부돼 139억원을 증액 편성했다.

일반회계 세출예산은 군·구조정교부금, 교육청 전출금, 시세징수교부금 등 법정·의무적경비 미확보분에 대하여 추가 반영했다.


주요 증액사업내역으로는 군·구조정교부금 1,269억원, 교육청 법정전출금 382억원, 시세징수교부금 187억원, 인천대 지원 150억원, 인천대송도캠퍼스 토지대금 138억원, 특별회계 예수금 상환 110억원 등을 반영했으며, 주요 감액사업내역으로는 인천관광공사 설립자본금 △40억원, 아시아경기대회특별회계 전출금 △31억원, 누리과정운영 △32억원, 교량보수보강공사 △16억원, 검단산업단지~검단우회도로간 도로확장 △210억원, 봉수대길 왕길사거리 지하차도 건설 △78억원, 일반회계 예비비 △128억원 등을 삭감해 추경 재원으로 활용했다.

특별회계 중 공기업특별회계(4개 사업)는 상수도사업은 사용료수입 증가, 하수도사업은 영업외 수입 증가, 경제자유구역사업은 매각사업수입 증가, 지역개발기금은 채권 매출수입 증가에 따라 기정예산 1조 4,022억원 대비 5.1%(718억원) 증가했다. 

기타 특별회계(17개 사업)는 학교용지부담금, 예탁금원금회수수입 등의 증가, 체비지매각수입, 수인선학익역사 건설부담금 감소 등에 따라 기정예산 1조 5,201억원 대비 5.4%(814억원) 증가했다. 

시 관계자는 “이번 3회 추가경정예산은 군·구조정교부금, 교육비특별회계전출금 등 재정여건상 부담하지 못한 필수경비 미부담분을 우선 해소해 군·구 및 교육청 재정운영에 차질이 없도록 하는데 주력했다.”고 말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경찰, 소비쿠폰 '불법 현금깡' 특별단속…'부정유통 신고센터' 운명
소비쿠폰의 불법 현금화 시도가 연일 신고되면서 정부가 팔을 걷고 특별단속에 나선다. 소비쿠폰이 지급 11일 만인 지난달 31일 90% 지급률을 보이며 국민에게 호응을 받고 있지만, 불법 현금화 시도와 카드 색상 구분 등 인권 논란은 붉어지고 있다. 정부는 불법 유통에 대한 특별단속에 나서는 등 소비쿠폰이 지역경제와 골목상권 회복이라는 당초 취지에 부합하도록 제도를 보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2일 광주시 5개 자치구에 따르면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첫날인 지난달 21일부터 지난달 31일까지 총 9건(광산구 6건·서구 2건·남구 1건)의 부정 사용 정황이 발견됐다. 연 매출액이 30억원을 넘는 등 소비쿠폰 결제가 불가한 업주들이 다른 업소의 카드단말기를 대여해 대리 결제하거나 매장 안에 입점한 임대 사업자의 카드단말기를 이용하는 편법을 사용하다가 적발된 것이다 소비쿠폰 결제 후 현금 환불을 요구하는 등 불법 현금화 시도도 계속되고 있다. 최근 한 자영업자는 커뮤니티에 글을 올려 “민생지원금으로 주문한 뒤 음식에서 머리카락이 나왔다고 해서 사진을 찍어 보내라 하니 카메라가 고장 났다고 한다”며 “식약처 고발 등을 이야기하길래 계좌로 환불을 해줬다”고 호소했다. 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