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메뉴

경제


인천시, ‘인천만의 가치 재창조’위해 애인(愛仁)과 한 목소리

유정복 시장 주재로 애인(愛仁)토론회에서 열띤 토론


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는 11월 10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인천을 사랑하는 시민 29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2015년 3대 시정 역점시책 중 하나인 「인천만의 가치 재창조」를 주제로 ‘애인(愛仁)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에는 시홈페이지와 전화·팩스 신청을 통해 접수한 직능·사회단체, 학생, 문화·관광관련 단체 등 각계각층 다양한 분야의 시민들이 참석했다. 일방적인 발표와 청취가 아닌 25개 원탁에 앉아 참가자 모두가 직접 토론에 참여하고 대화하는 컨퍼런스형으로 진행됐다.

이날 토론회는 인천의 역사․문화적 의미가 있는 ‘인천 성냥공장’을 배경으로 한 인천 대표 뮤지컬 「성냥공장 아가씨」 특별공연을 시작으로 유정복 시장이 직접 「인천만의 가치 재창조」에 대해 주제 발표를 하고 본격적인 토론이 진행됐다.

주제별 토론에서는 “유정복 시장의 주제 발표 자료 중 가장 공감하는 계획이 무엇인지”와 “내가 인천시장이라면, 인천만의 가치 재창조를 위해 가장 하고 싶은 일”에 대해 토론 참가자 모두가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는 시간을 가졌다. 원탁별 토론결과 발표 및 공유를 통해 시정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도 제고와 공감대를 형성하는 시민소통의 장으로 마련됐다.



애인(愛仁)토론에 참가한 시민들은 “유정복 시장의 「인천만의 가치 재창조」 주제발표 자료중 가장 공감하는 계획”에 대해 ①섬프로젝트-섬개발 투자유치(15%) ②스토리텔링-최고,최초 관광자원화(14%) ③가치증대-KTX,GTX 등 국책사업에 인천가치 반영(10%) ④원도심-내항개발(9%), ⑤섬프로젝트-천연자원 관광상품화(8%) 순으로 관심을 보였다. 

“내가 인천시장이라면 「인천만의 가치 재창조」를 위해 가장 하고 싶은 일”로는 ‘평화도시 인천, 평화관광사업 추진’, ‘자동차투어코스 개발/인천방송주권 확보’, ‘인천의 노래 창작보급’, ‘관광상품(공연) 활성화 및 특색있는 관광상품 개발’, ‘인천만의 문화 만들기’, ‘일자리 창출을 위한 중소기업혁신’ 등을 제안했다.

 
한편, 토론회 참가자 중 선인고등학교 한 학생은 ‘온라인,오프라인 소통의 장 시스템 구축’과 함께 ‘시민이 정책을 이야기할 수 있는 인천시민 만민공동회 개최’를 제안해 눈길을 끌기도 했다.

올해로 두 번째 개최한 시민원탁토론에서 290여 명의 참가자 모두 숨어있는 인천의 잠재력을 찾아 보석으로 만들기 위해 열띤 토론의 열기를 보여줬다. “인천만의 가치 재창조”에 대해 시민들의 관심과 기대가 한 곳에 모아지는 소중한 자리가 됐으며, 토론에 참가한 한 시민은 “그동안 시민들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소통의 기회가 없었는데 앞으로 이런 토론의 자리가 많이 마련되길 바라며, 시민으로서 인천시정에 참여할 수 있어서 보람을 느꼈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애인(愛仁)토론회에서 나온 시민들의 소중한 의견이 「인천만의 가치 재창조」 사업 추진에 적극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며, “향후에도 시민이 직접 참여하는 토론을 통해 ‘더 크게 듣고 더 넓게 반영”하는 소통행정을 적극 펼치겠다.”고 말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경찰, 소비쿠폰 '불법 현금깡' 특별단속…'부정유통 신고센터' 운명
소비쿠폰의 불법 현금화 시도가 연일 신고되면서 정부가 팔을 걷고 특별단속에 나선다. 소비쿠폰이 지급 11일 만인 지난달 31일 90% 지급률을 보이며 국민에게 호응을 받고 있지만, 불법 현금화 시도와 카드 색상 구분 등 인권 논란은 붉어지고 있다. 정부는 불법 유통에 대한 특별단속에 나서는 등 소비쿠폰이 지역경제와 골목상권 회복이라는 당초 취지에 부합하도록 제도를 보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2일 광주시 5개 자치구에 따르면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첫날인 지난달 21일부터 지난달 31일까지 총 9건(광산구 6건·서구 2건·남구 1건)의 부정 사용 정황이 발견됐다. 연 매출액이 30억원을 넘는 등 소비쿠폰 결제가 불가한 업주들이 다른 업소의 카드단말기를 대여해 대리 결제하거나 매장 안에 입점한 임대 사업자의 카드단말기를 이용하는 편법을 사용하다가 적발된 것이다 소비쿠폰 결제 후 현금 환불을 요구하는 등 불법 현금화 시도도 계속되고 있다. 최근 한 자영업자는 커뮤니티에 글을 올려 “민생지원금으로 주문한 뒤 음식에서 머리카락이 나왔다고 해서 사진을 찍어 보내라 하니 카메라가 고장 났다고 한다”며 “식약처 고발 등을 이야기하길래 계좌로 환불을 해줬다”고 호소했다. 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