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박사 학위 수여자 10명 중 3명꼴로 '백수'로 조사됐다. 그중 30세 미만 청년 박사는 절반 가까이가 무직이다. 이는 통계 작성 시작 이래 가장 높은 비율로, 양질의 일자리가 충분히 공급되지 못하면서 고용 시장의 칼바람이 박사들에게까지 미치는 것으로 풀이된다.
2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2024년 국내 신규 박사 학위 취득자 조사' 결과 응답자 1만442명 중 현재 재직 중이거나 취업이 확정된 비율은 70.4%로 집계됐다. 일을 구하지 못한 미취업(실업자)은 26.6%, 취업도 실업도 아닌 비경제활동인구는 3.0%였다. 일자리를 확보하지 못하거나 구직 활동을 하지 않은 '무직자'의 비율은 총 29.6%로, 2014년 관련 조사를 시작한 이래 가장 높았다.
무직자 비율은 2014년 24.5%에서 시작해 2018년까지 25.9%로 20% 중반에 머물렀지만, 2019년 29.3%로 껑충 뛰어올랐고 지난해 역대 최고치를 찍었다. 이는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이 전국 대학에서 전년도 8월과 해당 연도 2월에 졸업한 박사 학위 취득자 전체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 결과다.
연령별로 보면 지난해 특히 '청년층 신규 박사'의 구직 어려움이 역대급으로 심각했다. 지난해 박사학위를 딴 30세 미만 응답자 537명 중 무직자는 47.7%로 역시 관련 조사를 시작한 이후 가장 높았다. 구직활동을 했음에도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실업자가 45.1%였고, 2.6%는 구직활동도 제대로 하지 않은 비경제활동인구였다.
지난해 2월 기준으로 전체 청년층 취업자는 1년 전보다 6만1,000명 줄었다. 2022년 11월부터 16개월 연속 감소세였다. 성별로 보면 무직인 여성 박사의 비율이 남성보다 더 높았다. 작년 무직자의 비율은 남성 박사(6천288명) 중 27.4%, 여성 박사(4천154명) 중 33.1%로 각각 나타났다.

무직자의 비율을 전공 분류별로 보면 예술 및 인문학이 40.1%로 가장 높았다. 자연과학·수학 및 통계학(37.7%), 사회과학·언론 및 정보학(33.1%) 전공자도 무직자의 비율이 높았다. 반면 보건 및 복지(20.9%), 교육(21.7%), 경영·행정 및 법(23.9%) 전공자는 상대적으로 취업자가 많아 무직자의 비율이 낮았다.
지난해 신규 박사 중 그나마 일자리를 구한 취업자의 절반 가까이는 2,000만원∼6,000만원 수준의 연봉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한 응답자 7,346명 중 27.6%가 2,000만원∼4,000만원 미만을 받는다고 했다. 19.8%는 4,000만원∼6,000만원 미만이라고 했다. 1억원 이상의 고액 연봉 박사는 14.4%였다.
전공기준으로 보면 1억원 이상 연봉자 비중은 경영·행정 및 법(23.5%)에서 가장 높았다. 보건 및 복지(21.9%), 정보통신 기술(20.3%)도 1억원 이상 고액 연봉자 비율이 높았다. 반면 연봉 2,000만원 미만의 박봉을 받는다고 응답한 전공은 예술 및 인문학(25.5%)에서 압도적으로 높았다. 교육(17.3%), 서비스(15.0%), 사회과학·언론 및 정보학(12.7%)에서도 2천만원 미만 비율이 적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