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2℃
  • 맑음강릉 8.9℃
  • 흐림서울 3.2℃
  • 구름조금대전 6.6℃
  • 맑음대구 9.5℃
  • 연무울산 11.2℃
  • 맑음광주 8.7℃
  • 연무부산 13.6℃
  • 구름조금고창 8.0℃
  • 흐림제주 13.5℃
  • 구름많음강화 2.0℃
  • 구름조금보은 5.4℃
  • 구름조금금산 6.7℃
  • 구름조금강진군 9.6℃
  • 맑음경주시 10.6℃
  • 맑음거제 13.4℃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17일 월요일

메뉴

과학·기술·정보


SK, AI 3대 강국 향해 600兆 투자 본격화...반도체 팹 구축 나서

용인 반도체클러스터에 초대형 팹 4기 구축...年 최대 2만명 고용 기대
울산·서남권 AI 데이터센터로 글로벌 허브 도약...오픈AI와 협력 확대

 

SK그룹은 2028년까지 국내에 128조원을 투자해 정부가 중점 과제로 삼고 있는 ‘인공지능(AI) 3대 강국’ 비전 실현에 동참한다. 구체적으로 용인 반도체클러스터에 초대형 규모의 팹 4개를 구축해 고용 효과를 극대화하고 급증하는 AI 메모리 수요에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최태원 회장은 16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에 참석해 “기존에는 2028년까지 128조원의 국내 투자를 계획했었으나 점점 투자 예상 비용이 늘고 있다”며 “정확한 추산은 어렵지만 용인에만 약 600조원 규모의 투자가 이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용인반도체클러스터는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고부가 AI 메모리 수요 급증과 고성능 최첨단 공정 증가로 기존 계획 대비 투자비가 대폭 증가한 것으로 전해진다.


SK그룹은 용인 반도체클러스터에 총 4기의 팹을 구축할 예정이다. 팹 1기가 청주캠퍼스 M15X 6기와 맞먹는 규모임을 고려하면, 용인 반도체클러스터에 총 600조원이 투입될 것으로 업계는 전망하고 있다. 회사는 반도체 수요와 업황에 따라 팹 건설속도를 조절하며 단계적으로 투자를 확대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날 최 회장은 고용 부분에서도 “매년 8000명 이상의 채용을 꾸준히 유지해 왔는데, 향후 매년 1만4000~2만명의 고용효과가 나타날 수 있게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같은 수치는 향후 반도체 팹 확대에 따른 고용 증가를 고려한 수치로 분석된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공장 팹이 일부 오픈할 때마다 2000명 이상의 추가 고용이 필요하다. 시장수요와 팹 가동 속도에 따라 직접 고용과 협력업체에 의한 간접 고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1기당 1만4000명에서 2만명의 고용 효과가 생길 수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이밖에도 SK그룹은 국내 첨단산업 생태계 활성화와 글로벌 AI 허브 국가의 위상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먼저 SK하이닉스는 국내 반도체 소재·장비·부품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트리니티 팹(Trinity Fab)’을 8600억원 규모로 정부와 공동 구축 중이다. 트리니티 팹이란 SK하이닉스와 정부 그리고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기업 간의 ‘삼위일체(Trinity)’ 협력을 상징하는 이름이다.


트리니티 팹은 SK하이닉스가 용인 반도체클러스터에 구축 중인 ‘첨단 반도체 개발용 미니 팹’이다. 이 팹은 비영리 재단법인 형태로 소부장 협력사뿐 아니라 연구기관, 학계, 스타트업 등 다양한 주체가 활용할 수 있는 개방형 플랫폼으로 운영될 계획이다.


SK텔레콤과 SK브로드밴드 등은 아마존웹서비스(AWS)와 협력해 울산에 AI 데이터센터를 건설하고 있다. 오는 2027년 가동 시 100메가와트(MW)의 하이퍼스케일급 규모로 운영돼 동북아 AI 허브로 기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업계에서는 SK AI 데이터센터 울산에만 수조원의 투자가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회사는 오픈AI(OpenAI)와의 협력을 통해 한반도 서남권 지역에 글로벌 AI 데이터센터를 건립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이를 통해 국내외 파트너사들과 국내 AI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 조성에 나설 계획이다. 이 AI 데이터센터는 최대 60조원의 경제적 파급효과와 4만5000명 고용 창출을 기대하고 있다. 또 RE100 기반 에너지 융합 산업과 연계해 지역 산업 고도화를 추진한다.


SKT는 국내 통신사 중 유일하게 오픈AI와 B2C 협력을 체결하며 B2C 협력 및 서비스를 확장하고 있다. 특히 오픈AI의 대표 모델인 챗GPT(ChatGPT)를 활용해 ‘ChatGPT 플러스’ 1+2개월 프로모션으로 소비자 접점을 확대하고 있다. 또 SKT의 AI 모델 ‘에이닷엑스(A.X)’와 GPT-5 기반 기능 통합도 추진 중이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한강버스, 강바닥에 걸려 멈춰...민주 “예견된 위기”
서울의 수상교통 수단인 한강버스가 강바닥에 걸려 멈춰서 승객 82명이 구조됐다. 서울시와 소방 당국 등에 따르면 어제(15일) 오후 8시 24분쯤 서울 송파구 잠실선착장 인근 강바닥에 걸려 멈췄다. 사고 직후 승객 전원이 구조됐으며 인명피해는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를 두고 더불어민주당은 16일 “'시민의 발'이 아닌 서울시 행정 난맥상을 드러낸 한강 버스, 오세훈 시장은 하인리히 법칙의 경고를 명심하라”고 지적했다. 박경미 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서면 브리핑에서 “이번 사고는 우발적 사고가 아니라 예견된 위기”라며 “1:29:300의 하인리히 법칙에 따르면 1번의 대형 사고는 우연히 발생하지 않으며, 29번의 작은 사고와 300번의 잠재적 위험이라는 경고가 선행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한강버스와 관련한 지금까지의 사고들은 하인리히 법칙의 임계점에 다다랐음을 보여주는 징후”라며 “더 큰 사고로 이어지기 전에 근본적인 대책을 강구하라”고 촉구했다. 이어 “그간 한강버스는 이물질 접촉, 프로펠러 로프 걸림 등 고장과 안전사고가 잇따르면서 서울시 행정의 안전불감증을 경고해 왔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운행을 강행하다가 또 다시 아찔한 사고가 발생한 것은 오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