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주요 기업에서 50대 이상 직원의 비중이 20대 이하를 앞지르는 '세대 역전' 현상이 실제 수치로 확인됐다. 이는 청년층 채용 위축과 고령층의 퇴직 지연이 맞물린 결과로 풀이된다.
5일 기업분석기관 리더스인덱스는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공시한 상위 500대 기업 중 연령별 인력 구성이 파악 가능한 124개사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30세 미만 인력의 비중은 전년 대비 1.2%포인트 줄어 19.8%를 기록한 반면, 50세 이상 인력은 0.6%포인트 증가한 20.1%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 같은 추세로 50대 이상 직원 비중이 20대보다 많은 것은 해당 조사가 시작된 2015년 이래 처음이다. 특히 30세 미만 인력 비중이 20% 아래로 떨어진 것도 이번이 최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30세 미만 인력 수는 2022년 23만5,923명(21.9%)에서 2023년 23만888명(21.0%), 2024년 22만1,369명(19.8%)으로 꾸준히 감소했다. 반대로 50세 이상은 같은 기간 20만6,040명(19.1%)에서 22만4,438명(20.1%)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업종별로는 이차전지 분야에서 세대 격차가 가장 뚜렷했다. 이 분야의 30세 미만 직원 비중은 최근 3년간 9.7%포인트 감소한 반면, 50세 이상은 1.2%포인트 늘어나 두 연령대 간 차이가 10.9%포인트에 달했다.
IT 및 전기전자 업종에서도 30세 미만 인력이 5.4%포인트 줄고, 50세 이상은 3.1%포인트 증가해 세대 격차가 8.5%포인트로 집계됐다.
박주근 리더스인덱스 대표는 “경기 침체 영향으로 이차전지나 IT 업계는 신입 채용에 보수적으로 전환하고 있으며, 정년 연장 등으로 퇴직 시기가 늦어지고 있다”며 “기업 인력 구성에서 뚜렷한 세대 전환의 기점에 도달했다”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