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보당이 30일 “더불어민주당의 당대표 선거 마지막 TV토론에서 정청래, 박찬대 후보 모두 차별금지법에 대하여 ‘사회적 합의가 우선되어야 한다’며 다시금 미뤘다”고 비판하고 나섰다.
홍성규 진보당 수석 대변인은 이날 국회 소통관 브리핑에서 “지난 6개월간 함께 응원봉을 들고 광장에서 동고동락하며 끝내 내란수괴 파면을 힘모아 이끌어냈던 두 후보자들”이라면서도 “탄핵광장의 시민들이 절실히 염원했던 ‘새로운 대한민국’의 상징과도 같은 ‘차별금지법’ 앞에서 지금 이 순간에도 ‘나중에’를 되뇌이는 모습에 개탄과 분노를 금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청래 후보는 ‘갑작스럽게 일방적으로 처리하기엔 어렵다’고 했다. 민주당 소속의 김대중 전 대통령이 입법을 검토하라고 했던 것이 무려 1997년이다. 이후 노무현 전 대통령은 대선공약으로까지 내걸었다”면서 “지나간 세월만 28년이다. 이것이 갑작스럽고 일방적인가”라고 따져 물었다.
이어 “박찬대 후보도 ‘같은 의견’이라며 ‘사회적 논의와 국민적 공감대’를 전제로 내걸었다. 차별금지법만큼 오랫동안 광범위한 사회적 합의를 거쳐온 법이 있는지부터 되묻고 싶다”며 “최근 직장갑질119의 여론조사에서도 71%의 직장인들이 동의한 바 있다”고 강조했다.
홍 대변인은 “두 후보 모두 매일같이 ‘국민의힘 지도부 고발, 이준석 체포동의안’ 등을 거론하며 이른바 ‘선명성’ 경쟁에 여념이 없다”며 “새로운 대한민국을 향한 진짜 선명성 경쟁은, 탄핵광장의 민심을 존중하는데 있으며, 그 시작은 바로 ‘차별금지법 제정’‘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앞서 손솔 진보당 의원은 지난 22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차별금지법 제정을 위한 국회 공론화위원회 설치를 제안했다. 손 의원 이날 “차별금지법이 오해와 왜곡으로 훼손되는 것을 더는 두고 볼 수 없다"며 "국회에서 책임 있는 공론장을 만들자”라고 했다.
한편,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30일을 맞은 지난 7월 3일 기자회견에서 차별금지법에 대해 “중요한 의제지만 지금은 경제와 민생 회복이 우선”이라면서 “갈등이 많은 사안에 대해서는 집중적인 대화와 토론이 필요하다. 가능하면 국회가 나서서 미리 토론을 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