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메뉴

과학·기술·정보


인간은 왜 소통(疏通)에 목숨을 거는가?(3)

-체스 이야기는 곧 광범위한 인간의 이야기다

 

체스 이야기는 곧 광범위한 인간의 이야기다

히카루 나카무라 

 

나는 이야기를 하고 있다. 왜냐하면, 트위치 스트리머 (Twitch streamer)로서 엔터테이너이길 기대하고 있으니까 말이다. 겉으로 보면, 사람들은 내가 체스하는 걸 보기위해 내가 펼치는 스트리머에 시선을 집중한다. 하지만 만약 내가 스트리머를 하는, 즉 내가 움직이는 이유에 대한 이야기가 빠진다면 차라리 나는 컴퓨터 프로그래머라고 하는 편이 나을 거다.

 

그래서 내가 더 높여야 하는 일은-혹은 창조해야만 하는 일은-내 팬들이 집중하고 더 많은 관 심을 쏟을 수 있도록 게임 속에서 드라마 같은 이야기를 만들어 내야 하는 것이다.  


내가 하는 스트리밍에서 나는 체스, 체스 토너먼트, 그리고 역사적 사건과 게임에 관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스스로를 체스 이야기의 등장인물로 만들고 있다. 내 경험상, 무미건조한 일련(一連)의 체스 포석에 관한 나의 분석을 참아낼 수 있는 사람은 겨우 몇 백 명만에 불과하겠지만, 수십만 명은 아마도 여러분의 상대가 테이블 밑에서 계속 발길질을 해댄다거나, 그의 입 냄새가 너무나 끔찍스러워 얼굴을 딴 데로 돌리게했다는 이야기를 듣기 원할 것이 다. 

 

이런 방식으로 체스 이야기도 광범위한 인간의 이야기가 될 수 있다. 체스게임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들조차 그런 이야기로 호감이 가지 않는 상대와 맞서는 체스 선수와 연결이 될 수 있고, 고통스런 패배, 혹은 역전의 드라마 같은 승리를 맛 볼 수 있다. 


그러나 체스를 사랑하는 우리들이 게임에 관해 이야기하는 것은 또 다른 목적에 부합하는 이유가 있다. 이를테면 체스 선수의 경쟁과 경험을 말하는 것은 지역 클럽에 소속된 선수들로 하여금 그들만의 작은 공간에서 정규적으로 상대해야 할 상대가 소수에 그치고 있는 그들이 클럽을 뛰어넘어 더 넓은 세상을 상상할 수 있도록 허락해 주기 위함이다.

 

그 세상은 다채롭고,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 며 다양한 문화를 가지고 있지만, 체스 경기를 통해 서로 소통할 수 있는 재능을 가진 사람들이 서로 모여 거대한 범세계적 공동체를 이룰 수 있는 가능성을 그들에게 보여 준다.

 

내가 체스에 관해 말하는 이야기들은 보편적 주제가 될 수 있을지 모른다. 하지만 이야기들은 매우 개인적인 장소에서 오는 것이다. 나를 가르쳤고, 나를 놀라게 했고, 내게 체스에 관해 특별한 것을 보여줬던 사람들에 관한 이야기를 할 때 나는 이 게임을 사랑하는 나의 일부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이야기들은 체스 게임에 관한 새로운 것-그리고 나 자신에 관한 것을 발견하면서, 체스경기에서 새로운 아이디어와 더 아름다운 주제를 찾을 수 있도록 나를 격려하고 있다. 


히카루 나카무라는 체스 그랜드 마스터로, 세계적인 블리 츠 체스(blitz chess, 9분 안에 두는 체스)선수들 가운데 한 사람이다. 5회에 걸쳐 미국 체스 선수권을 차지했고 체스로는 유튜브와 Twitch에서 가장 인기를 누리는 유명인이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신간] 잠재적 콘텐츠 발굴로 지역 관광 살린다...주제여행포럼 '지역관광' 출간
주제여행포럼이 지역관광의 본질과 미래를 다룬 신간 『지역관광』을 ㈜백산출판사를 통해 출간했다. 이번 책은 지역의 문화·역사·자연·생활 자원을 기반으로 한 관광 콘텐츠의 의미를 짚어내며, 도시재생·문화뉴딜·생활 SOC 사업 등 정부 정책과 연계된 다양한 현장 사례를 담아냈다. 더 나아가 국내외 지역관광 정책, 지역관광 발전 사례, 관광자원 해석과 관광 거버넌스 등 현장과 학문을 아우르는 주요 주제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저자들은 지역관광을 단순히 관광객 유치의 수단으로 한정하기보다 주민 삶의 질 향상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견인하는 전략적 수단으로 바라볼 것을 제안한다. 특히 청주 연초제조창 재생이나 ‘대한민국 문화도시’ 조성계획과 같은 구체적 사례를 통해 지역 고유의 매력을 발굴하고, 이를 지속가능한 관광으로 발전시키는 방안을 모색했다. 대표 저자인 고종원 교수(연성대 호텔관광과/주제여행포럼 회장)을 대신하여 참여저자인 주성열 교수는 "지역관광은 전통을 지키는 동시에 사회적 소통과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며 “이번 책이 지역관광 정책 입안자와 학계, 현장 관계자들에게 실질적 길잡이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번 집필에는 관광학과 문화예술 분야 전문가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