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메뉴

경인뉴스


경기도, 7월 개관 앞둔 경기도 반려동물 복합문화공간 명칭 공모

여주시에 들어서는 대한민국 동물복지 메카

경기도는 오는 7월에 개관을 앞둔 반려동물 복합문화공간(가칭)의 명칭을 공모한다고 27일 밝혔다. 

 

▲ 반려동물 복합문화공간 명칭 공모 홍보 포스터<경기도 제공>

 

경기도 반려동물 복합문화공간은 ‘사람과 동물이 함께 행복한 경기도’ 실현을 위해 498억원을 들여 여주시 상거동에 마련되며 반려동물 입양과 보호, 교육에 필요한 5개의 건물로 구성된다.

 

도는 ‘대한민국 동물복지의 메카’ 역할이 기대되는 공간인 만큼 공모전을 통해 반려동물 복합문화공간의 공식 명칭을 정하겠다는 계획이다.

 

공모 주제는 △전국 최대 규모 ‘경기도 반려동물 복합문화공간’의 특징을 잘 표현할 것 △반려동물과 함께 행복한 경기도 이미지에 어울릴 것 △도민이 친근하게 부르기 쉬운 새로운 명칭이어야 한다.

 

반려동물에 관심 있는 대한민국 국민이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공모 참여는 오는 4월 27일부터 5월 10일까지 경기도 원스톱 소통창구 ‘경기도의 소리’ 누리집(https://vog.gg.go.kr)을 통해 자신의 아이디어를 제출하면 된다.

 

심사 기준에 맞는 적합성, 상징성, 참신성, 친근성 등을 심사해 최우수상 1명, 우수상 1명, 장려상 2명을 선정해 소정의 상금을 지급할 계획이다.

 

시상은 6월 초 경기도청 구청사에서 열리는 반려동물 문화축제에서 진행한다.

 

한편, 경기도는 경기도 반려동물 복합문화공간 개관을 앞두고 4월 27일부터 6월 4일까지 ‘또 하나의 가족’이라는 이름의 반려동물 인식 개선 캠페인을 진행할 예정이다. 4월 27일은 동물보호법 전부개정법률안 시행일이다. 캠페인 기간 동안 도는 경기도 반려동물 복합문화공간 명칭 공모 참여를 독려하는 누리소통망(SNS) 캠페인을 병행할 예정이다

 

또 다음달 3일부터 14일까지는 캠페인 프로그램의 하나로 ‘우리집 막내, 이렇게 가족이 됐습니다’ 온라인 이벤트를 추진한다. 반려동물이 가족이 되기까지의 사연과 사진을 접수하고, 추첨을 통해 반려동물 동반 가능 숙박시설 이용권 등을 제공할 예정이다. 참여를 희망하는 도민은 도 공식 누리집 또는 블로그를 통해 자세한 방법을 확인할 수 있다.

 

박연경 경기도 반려동물과장은 “반려동물 양육 가구가 늘어남에 따라, 이제는 반려동물이 또 하나의 가족 구성원이 되었다”며 “동물복지에 대한 인식 개선의 필요성과 반려동물 복합문화공간의 역할이 더욱 기대되는 만큼, 이번 명칭 공모에 많은 도민의 관심과 참여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여성농민회총연합·전종덕 “성평등한 농촌사회 실현 촉구”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과 전종덕 진보당 의원은 15일 ‘여성농민의 날’을 맞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여성농민 법적 지위 보장 및 성평등한 농촌사회 실현을 촉구했다. 국회 농해수위 위원인 전종덕 진보당 의원은 이날 “농가인구의 51.1%, 농사일의 50.2% 등 여성농민이 농업농촌의 절반을 차지하는데도 법과 제도는 농가중심 구조에 머물러 정책결정 참여에 제한되거나 소외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대표적으로 정부에 여성농업인 전담부서가 임의조직으로 되어있고 농어업경영체에 공동경영주로 등록하더라도 법적 지위로 인정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전 의원은 “법과 제도로 여성 농민의 법적 지위와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여성농업인 전담부서 설치, ‘농어업경영체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과 ‘여성농어업인 육성법’ 개정에 나서 농정의 중심에 여성 농민을 세울 것”이라고 밝혔다. 정영이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회장은 “여성농민이 ‘한 사람의 농민’으로 온전히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며 “법적 지위를 확보하는 것은 농업정책과 마을, 법인, 지자체 모든 영역에서 여성농민의 목소리가 정책결정 과정에 반영될 수 있는 정치적 권리 문제인 만큼 전종덕 의원과 함께 법, 제도를 만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