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1 (금)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사회·문화


직장인 10명 중 9명 "주 4일제 찬성"...가장 쉬고 싶은날은 ‘수요일’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을 중시하는 사회적 분위기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탄력 근무제가 활발해지면서 ‘주4일제’에 대한 직장인들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잡코리아는 알바몬과 함께 직장인 1,164명을 대상으로 ‘주4일제 근무’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해 30일 발표했다.

 

먼저 주4일제 시행에 대한 우려는 없는지 조사했다. 설문 참여자들에게 ‘주4일제 시행에 찬성하는지’ 질문한 결과, 88.3%가 '찬성한다'고 답했다. 그 이유로는(*복수응답), △자기계발을 할 수 있는 시간이 생겨서(50.1%), △개인적인 업무를 볼 수 있는 시간이 생겨서(은행, 병원 등) (46.2%), △업무 스트레스를 겪지 않아도 돼서(25.0%), △교통비/점심값 등 돈을 절약할 수 있어서(21.3%) 등이 꼽혔다. 주4일제가 시행된다면 가장 먼저 하고 싶은 일(*복수응답)로는 △취미 생활 시작(44.5%), △쇼핑/운동 등 개인시간(35.5%), △아무 생각 없이 쉬기(30.7%) 등이 있었다.

 

주4일제 시행 시 직장인들이 가장 쉬고 싶어 하는 날은 ‘수요일’로 꼽혔다. 37.2%의 직장인이 가장 쉬고 싶은 요일로 수요일을 선택했고, 이어 △금요일(35.7%), △월요일(25.2%), △목요일(1.4%), △화요일(0.6%) 순으로 나타났다. 한 주의 중간을 쉬어 갈 수 있는 ‘수요일’과 바짝 일하고 마음 편히 쉴 수 있는 ‘금요일’이 직장인들이 원하는 휴무일로 가장 많은 선택을 받았다.

 

한편, 주4일제를 지키기 위해 야근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찬성과 반대 의견이 비슷했다. 54.3%의 응답자는 '주4일제 근무를 위해 야근을 해도 괜찮다'고 답했고, 나머지 응답자인 45.7%는 '야근을 해야 한다면 주4일제 근무를 원치 않는다’고 답했다.

 

주4일제를 긍정적으로 생각하지 않는 직장인들은(*복수응답) ‘급여 감소’에 대한 염려가 가장 컸다. △급여가 삭감될 것 같아서(73.5%), △업무 과부화가 걸릴 것 같아서(32.4%), △야근이나 주말 출근을 하게 될 것 같아서(25.0%) 등의 이유로 주4일제에 대한 우려의 시

선을 전했다.

 

주4일제를 염원하는 직장인들이 많은 반면, 실제 시행될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은 많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주4일제 실현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 직장인 3명 중 1명이 '시행될 가능성이 없어 보인다'를 꼽았기 때문이다. 31.1%의 직장인이 주4일제가 시행될 가능성이 없어 보인다고 답했고, 이어 △3년 이내(23.9%), △5년 이내(19.2%), △10년 이내(15.8%), △1년 이내(10.0%)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직장인들은 회사 생활에 만족하기 위한 요소로 '높은 연봉(37.6%)' 보다는 '정시 퇴근(69.9%)'을 더 높이 평가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설문에 참여한 남녀 직장인들에게 회사 생활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는 무엇인지 물은 결과(*복수응답), △정시 퇴근(69.9%), △복지 수준(53.9%), △좋은 상사나 팀, 구성원을 만나는 것(51.8%), △높은 연봉(37.6%) 순으로 꼽았다.

 

이 외에도 △내가 하고 싶었던 일을 할 수 있는 것(17.1%), △나의 커리어에 도움이 되는 업무를 맡는 것(13.1%), △회사의 위치(13.1%) 등을 중요한 요소로 꼽았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민변·시민단체 “석포제련소 폐쇄 등 정부 차원 TF 구성해야”
더불어민주당 강득구·임미애 의원과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민변) 낙동강 석포제련소 TF, 낙동강 상류 환경 피해 주민 대책위원회는 11일 국회 소통관에서 ‘석포제련소 토양오염 원인규명 국민권익위 결과 발표 및 환경오염 기업 영풍 석포제련소에 대한 낙동강 1300리 주민 집단 손해배상청구’ 관련 기자회견을 열었다. 민변 석포제련소 TF와 낙동강 상류 환경 피해 주민 대책위원회는 이날 “낙동강 중금속 오염의 주범 영풍 석포제련소는 법의 심판을 받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지난 50년간 대한민국 낙동강 1,300리를 병들게 해 온 영풍 석포제련소의 위법 행위와 환경 파괴는 이제 더 이상 묵과할 수 없는 심각한 사회 문제가 됐다”며 “오염의 진실을 바로잡고 피해 주민들의 건강권과 환경권율 회복하며, 정의로운 전환을 요구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2025년 3월, 낙동강 1300리 지역의 주민들은 영풍 석포제련소로 인한 토양 및 수질 오염의 책임 규명을 촉구하며 국민권익위원회에 고충 민원을 제기했다. 그리고 지난 7월 7일, 권익위는 해당 민원에 대해 공식 의결했다”고 전했다. 의결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부 장관은 ‘경북 봉화군 석포면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