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메뉴

과학·기술·정보


현금사용 주는데, 한국은행 5년간 179조원 화페 발행 … 제조비용만 4,358억

김두관 의원, 신용카드사용 · 전자상거래 활성에 따른 화폐발행 축소 필요

 

신용카드와 핀테크 산업에 따른 간편결제서비스의 활성화와 전자상거래의 비중이 급증하고 있음에도 한국은행의 화폐 발행은 2017년까지 매년 증가했고, 화폐 발행비용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더불어민주당 김두관의원(김포시 갑)이 한국은행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한국은행이 최근 5년간 발행한 화폐 금액은 179조6,272억원이며, 화폐 제조비용은 4,358억원이 소요됐다.

 

5년간 권종별 발행액을 보면 5만원권이 109조2,749억원을 발행했고, 만원권이 66조1,898억원, 5천원권이 1조9,581억원, 천원권이 2조2,046억원을 발행했다.

 

연도별 발행액을 보면 2014년에 32조5,726억원에서 2015년에는 35조8,250억원, 2016년에는 37조1,088억원을 발행했으며, 2017년에는 가장 높은 38조6,456억원을 발행했고, 2018년에는 전년보다 3조1,704억원 감소한 35조4,572억원을 발행했다.

 

5년간 179조원을 발행하는데 발생한 화폐 제조비용은 총 4,358억원으로 연간 871억원의 비용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한국은행이 발표한‘2018중 지급경제동향’을 보면 신용카드나 체크카드, 어음수표, 계좌이체 등 현금이외의 지급수단을 통한 결제금액은 일 평균 80조6천억원이며, 2018년 기준 신용카드와 체크카드, 선불카드 등 일평균 지급카드 사용금액은 2조3,670억원으로 연간 환산하면 863조9,550억원에 이르고 있다.

 

또한 지급카드의 사용량 증가를 보면 2016년도는 전년도에 비해 11.7% 증가했으며, 2017년도는 5.9%, 2018년도는 6.2% 증가했다. 또한 2018년도 전자상거래 및 통신판매의 일평균 이용액은 2,095억원으로 연간 76조 4,675억원으로 나타났으며, 지난해에 비해 18.4% 증가했다.

 

 

김두관 의원은 “신용카드와 체크카드, 전자상거래의 활성화와 핀테크를 기반으로 하는 간편결제건수의 사용건수가 급증하면서 현금 사용의 감소현상이 뚜렷하게 증가하고 있다”면서 “화폐 발행을 줄이고, 화폐 발행을 절감한 비용으로 고연령층과 저소득층에 전자지급수단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는 활동을 펼쳐나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신간] 잠재적 콘텐츠 발굴로 지역 관광 살린다...주제여행포럼 '지역관광' 출간
주제여행포럼이 지역관광의 본질과 미래를 다룬 신간 『지역관광』을 ㈜백산출판사를 통해 출간했다. 이번 책은 지역의 문화·역사·자연·생활 자원을 기반으로 한 관광 콘텐츠의 의미를 짚어내며, 도시재생·문화뉴딜·생활 SOC 사업 등 정부 정책과 연계된 다양한 현장 사례를 담아냈다. 더 나아가 국내외 지역관광 정책, 지역관광 발전 사례, 관광자원 해석과 관광 거버넌스 등 현장과 학문을 아우르는 주요 주제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저자들은 지역관광을 단순히 관광객 유치의 수단으로 한정하기보다 주민 삶의 질 향상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견인하는 전략적 수단으로 바라볼 것을 제안한다. 특히 청주 연초제조창 재생이나 ‘대한민국 문화도시’ 조성계획과 같은 구체적 사례를 통해 지역 고유의 매력을 발굴하고, 이를 지속가능한 관광으로 발전시키는 방안을 모색했다. 대표 저자인 고종원 교수(연성대 호텔관광과/주제여행포럼 회장)을 대신하여 참여저자인 주성열 교수는 "지역관광은 전통을 지키는 동시에 사회적 소통과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며 “이번 책이 지역관광 정책 입안자와 학계, 현장 관계자들에게 실질적 길잡이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번 집필에는 관광학과 문화예술 분야 전문가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