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메뉴

사회·문화


'The Future of NUP 국제 콘퍼런스' 인천에서 개막

12.14.~12.18. OECD 등 국제기구, UN-Habitat 회원국 등 32개국 도시 관련인사 참석

스마트 그린 도시정책 활용과 저탄소 도시 플랫폼 구축 등 다양한 도시정책을 논의하는 자리인 ‘The Future of National Urban Policy 국제 콘퍼런스’가 12월 14일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개막했다.

이번 콘퍼런스는 UN-Habitat(총장 후안클로스, Joan Clos i matheu), 국토연구원(원장 김동주), 한국건설기술연구원(원장 이태식)이 공동 주최하고, 국토교통부(장관 유일호)와 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가 후원한다.

‘The Future of National Urban Policy 국제콘퍼런스’는 전 세계 32개 국가 약 17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오는 12월 18일까지 5일간 열린다.


이 기간 동안 국가도시정책, 스마트그린시티를 의제로 발표·토론하는 학술세미나, UN-Habitat 회원국인 개도국 인사 30여 명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도시정책 관련 워크숍과 청계천, 판교, 세종시 등 도시개발 현장 시찰 등의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이날 개막식은 전성수 인천시 행정부시장의 환영사, 김동주 국토연구원장과 이태식 한국건설기술연구원장의 개회사와 UN-Habitat Joan Clos 사무총장의 축사 영상메세지에 이어 김경환 국토교통부 제1차관의 기조연설이 이어졌다. 

전성수 인천시 행정부시장은 환영사에서 “도시정책은 쾌적하지 못한 환경에 거주하는 도시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IT 기술과 도시의 결합, 녹색 환경 조성 등을 통해 도시 발전을 도모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U-City사업, 원도심 재생사업, 맞춤형 주거 복지사업, 국제도시 인천의 이미지 제고를 위한 도시경관 조성사업 등을 통해 쾌적한 도시 주거 환경을 만드는 데 힘쓰고 있다.”고 말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UN-Habitat의 컨퍼런스 안내 웹사이트(http://www.urbangateway.org/icnup/2015/)를 참고하거나, 국토연구원 (☎031-380-0549)으로 문의하면 된다.

한편, UN-Habitat(United Nations Human Settlements Programme, 유엔인간정주계획)은 인간의 정주환경 개선 및 도시문제 해결을 목적으로 활동하는 UN 산하기구로 사무국 본부는 케냐 나이로비에 있다.


58개 이사국으로 구성된 집행이사회는 매 2년마다 회의가 열리며, 우리나라는 2008년 집행 이사국에 진출했다.


주요 활동사항으로는 도시화에 대한 종합적·국제적 접근방식 개발 및 국제 협력사업을 수행한다.

백현 인천시 마이스산업과장은 “이번 콘퍼런스 기간 동안 OECD 등 국제기구와 UN-Habitat 회원국 등 20여 개국, 50여 명의 콘퍼런스 참가 인사들에게 송도신도시 투어를 제공할 예정”이라며, “향후 국제회의 개최 시 다양한 지원을 통해 인천시를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국제회의 도시로 육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경찰, 소비쿠폰 '불법 현금깡' 특별단속…'부정유통 신고센터' 운명
소비쿠폰의 불법 현금화 시도가 연일 신고되면서 정부가 팔을 걷고 특별단속에 나선다. 소비쿠폰이 지급 11일 만인 지난달 31일 90% 지급률을 보이며 국민에게 호응을 받고 있지만, 불법 현금화 시도와 카드 색상 구분 등 인권 논란은 붉어지고 있다. 정부는 불법 유통에 대한 특별단속에 나서는 등 소비쿠폰이 지역경제와 골목상권 회복이라는 당초 취지에 부합하도록 제도를 보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2일 광주시 5개 자치구에 따르면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첫날인 지난달 21일부터 지난달 31일까지 총 9건(광산구 6건·서구 2건·남구 1건)의 부정 사용 정황이 발견됐다. 연 매출액이 30억원을 넘는 등 소비쿠폰 결제가 불가한 업주들이 다른 업소의 카드단말기를 대여해 대리 결제하거나 매장 안에 입점한 임대 사업자의 카드단말기를 이용하는 편법을 사용하다가 적발된 것이다 소비쿠폰 결제 후 현금 환불을 요구하는 등 불법 현금화 시도도 계속되고 있다. 최근 한 자영업자는 커뮤니티에 글을 올려 “민생지원금으로 주문한 뒤 음식에서 머리카락이 나왔다고 해서 사진을 찍어 보내라 하니 카메라가 고장 났다고 한다”며 “식약처 고발 등을 이야기하길래 계좌로 환불을 해줬다”고 호소했다. 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