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메뉴

사회·문화


"소나무의 광복을 선언합니다" 우리 식물주권 바로알기 전시회

11.11~11.13 국회 의원회관 중앙홀

광복 70주년을 맞아 산림청과 국립수목원이 한반도에서 자생하는 식물들의 주권을 바로잡고 올바른 영어이름을 알리는 '우리 식물주권 바로알기 전시회'가 국회 의원회관 중앙홀에서 개최 중이다.


우리 민족과 함께해 온 소나무의 영어이름이 '재패니즈 레드 파인(Japanese red pine)' 즉, '줄기가 붉은 일본의 소나무'라는 뜻의 이름으로 사용되고 있다.


세계적으로 한반도가 소나무 분포의 중심이지만 일본의 소나무가 서양인들에게 먼저 알려졌기 때문이다.


다른 예로 세계에서 울릉도에만 분포하는 고유식물인 섬초롱꽃의 학명은 'Campanula takesimana Nakai'로 울릉도·독도의 일본이름인 다케시마(takesima)와 일본 식물학자인 나케이(Nakai)의 이름이 붙어 있다.


이 처럼 우리 식물이 다른 나라의 식물로 알려진 경우 외에도 영어이름이 없는 식물도 있다.


이에 산림청은 우리 식물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그 가치를 세계에 알리기 위해 비정상적인 자생식물의 영어이름을 새롭게 정상화하여 알리고 있다.


산림청은 전시회를 통해 한반도 자생식물 4,173종 중 새롭게 바꾸거나 새로 지은 영어이름 2,500종, 한글 발음을 명사화한 영어이름 330종 중 몇 몇 사례를 소개하고 있다.


올바른 영어이름으로 고쳐부픈 사레는 대표적으로 'Japanese red pine'으로 표기되었던 소나무는 'Korean red pine'으로, 'Takeshima flowering cherry'로 표기되었던 섬벚나무는 'Ulleungdo flowering cherry'로 바꾸었다.


또 우리말 이름을 그대로 사용하는 사례로 과거 'Korean goldenbell tree'로 표기했던 개나리를 그대로 'Gaenari'로 바꾸고 'Kobus magnolia'로 표기했던 목련을 그대로 'Mokryeon'로 바꾸었다.


국립수목원은 "식물 이름은 단순한 '이름'이 아니라, 민족의 문화와 역사 그리고 식물이 가진 가치를 포함하는 '상징'이다"라고 말하며 우리 식물 이름으로 우리 문화를 알리자고 홍보햇다.


우리 식물 영어이름에 대해 더 알고 싶으면 국립수목원 홈페이지(www.kna.go.kr)와 구글 플레이북에서 '한반도 자생식물 영어이름 목록집'을 다운로드하여 찾을 수 있고, 국가표준식물목록(www.nature.go.kr/kpni)와 네이버 어학사전의 식물명 검색을 통해서도 찾을 수 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경찰, 소비쿠폰 '불법 현금깡' 특별단속…'부정유통 신고센터' 운명
소비쿠폰의 불법 현금화 시도가 연일 신고되면서 정부가 팔을 걷고 특별단속에 나선다. 소비쿠폰이 지급 11일 만인 지난달 31일 90% 지급률을 보이며 국민에게 호응을 받고 있지만, 불법 현금화 시도와 카드 색상 구분 등 인권 논란은 붉어지고 있다. 정부는 불법 유통에 대한 특별단속에 나서는 등 소비쿠폰이 지역경제와 골목상권 회복이라는 당초 취지에 부합하도록 제도를 보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2일 광주시 5개 자치구에 따르면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첫날인 지난달 21일부터 지난달 31일까지 총 9건(광산구 6건·서구 2건·남구 1건)의 부정 사용 정황이 발견됐다. 연 매출액이 30억원을 넘는 등 소비쿠폰 결제가 불가한 업주들이 다른 업소의 카드단말기를 대여해 대리 결제하거나 매장 안에 입점한 임대 사업자의 카드단말기를 이용하는 편법을 사용하다가 적발된 것이다 소비쿠폰 결제 후 현금 환불을 요구하는 등 불법 현금화 시도도 계속되고 있다. 최근 한 자영업자는 커뮤니티에 글을 올려 “민생지원금으로 주문한 뒤 음식에서 머리카락이 나왔다고 해서 사진을 찍어 보내라 하니 카메라가 고장 났다고 한다”며 “식약처 고발 등을 이야기하길래 계좌로 환불을 해줬다”고 호소했다. 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