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9 (목)

  • 맑음동두천 9.1℃
  • 맑음강릉 11.5℃
  • 맑음서울 11.3℃
  • 맑음대전 8.8℃
  • 맑음대구 7.4℃
  • 맑음울산 6.7℃
  • 맑음광주 11.1℃
  • 맑음부산 9.8℃
  • 맑음고창 7.5℃
  • 맑음제주 12.7℃
  • 맑음강화 7.6℃
  • 맑음보은 6.9℃
  • 맑음금산 6.2℃
  • 맑음강진군 9.6℃
  • 맑음경주시 4.9℃
  • 맑음거제 10.1℃
기상청 제공

경제


日 반도체·디스플레이 화학소재 평균 R&D 지출액, 韓보다 41배 많아

日, 소재 기업 평균 R&D 지출, 韓 기업 대비 1.6배 많아
韓, 반도체 빼면 부품 부문 평균 R&D 지출액 日 대비 1.6배 적어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은 25일 한국과 일본의 부품·소재 기업 1만117개(한국 2,787개, 일본 7,330개)를 분석한 결과 한국 핵심 부품·소재 기업의 R&D 지출액이 일본기업에 비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한경연은 소재·부품 품목을 산업부가 발표하는 ‘소재·부품 교역 동향’의 11개 세부 품목을 기준으로 분류했는데, 일본기업의 평균 R&D 지출액은 소재 부문 5개 품목 중 3개, 부품 부문 6개 중 3개에서 한국기업보다 높았다.

 

 

소재 부문에서 일본기업의 평균 R&D 지출액은 한국기업에 비해 1.6배에 이르렀다.

 

세부 품목별로는 1차 금속제품이 5.3배, 섬유가 5.1배, 화합물 및 화학제품이 3.1배 순이었다.

 

 

부품 부문에서 일본기업의 평균 R&D 지출액은 한국기업의 40%에 불과했다.

 

이는 전자 부품에서 한국기업의 평균 R&D 지출액이 일본기업의 8,2배에 달하는 등 한국기업의 평균 R&D 지출액이 일본기업에 비해 압도적으로 컸기 때문이다.

 

다른 품목을 보면 정밀기기 부품은 일본기업의 평균 R&D 지출액이 한국기업에 비해 7.0배, 수송기계 부품은 2.3배, 전기장비 부품은 2.0배 컸다.

 

 

반도체를 제외하면 부품 부문에서 일본기업의 평균 R&D 지출이 한국기업보다 1.6배 많았다.

 

이는 전자 부품에서 반도체를 제외할 경우 한국 전자 부품 기업의 평균 R&D 지출이 97% 가까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한국의 2개 반도체 회사 R&D 지출액은 한국 ‘전자 부품’ 업종 전체 R&D 지출액의 96.7%를 차지한다.

 

반도체를 포함할 경우 일본 전자 부품 기업의 R&D 지출이 한국기업에 비해 낮았으나, 반도체 제외 시 일본의 R&D 지출이 3.7배 높은 상대로 반전했다.

 

한경연은 전자 부품 품목에서 반도체 착시효과가 크다고 지적했다.

 

한편, 최근 이슈가 됐던 반도체·디스플레이 화학소재 기업들만 분석한 결과 일본의 반도체·디스플레이 화학소재 기업의 평균 R&D 지출액은 한국기업에 비해 무려 40.9배나 높았다.

 

평균 R&D 지출뿐만 아니라 평균 매출(17.9배), 평균 당기순이익(23.3배), 평균 자산(20.5배) 등 주요 재무 항목도 큰 차이를 보였다.

 

반도체·디스플레이 화학소재 기업이 포함된 업종은 Capital IQ 업종분류에 따라 특수화학(Specialty Chemicals), 다각화 화학(Diversified Chemicals), 산업용 가스(Industrial Gases) 등이다.

 

화합물 및 화학제품, 1차 금속제품, 정밀기기 부품 등 핵심 부품·소재 부문에서도 한국기업의 평균 R&D 지출액이 일본기업에 비해 부족했다.

 

유환익 한경연 혁신성장실장은 “한국의 부품·소재 산업은 반도체 쏠림이 심한 반면, 화학이나 정밀부품 등 다른 핵심 소재·부품에서는 갈 길이 멀다”며 “우리에게 부족한 핵심 부품·소재 R&D에 대한 꾸준한 지원과 화평법, 화관법 등 화학물질 관련 규제 및 노동관련 규제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고의로 임금 체불한 업체 선정, ‘특별 근로감독’
‘호화생활’을 과시한 요식업체 사장을 비롯해 고의·상습적으로 임금을 체불한 7개 기업에 대해 전국 6개 지방노동청이 동시에 특별근로감독에 착수했다. 고용노동부는 오늘 서울 강남을 중심으로 전국에 20개가 넘는 고급 음식점을 운영하면서 소셜미디어를 통해 호화로운 생활을 공개한 요식업체 사장 A씨를 비롯해 임금 체불 기업체 대해 특별근로 감독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통상의 특별근로감독은 언론보도 등을 통해 사회적 물의를 받은 기업 등에 대해 실시해왔으나 이번 특별감독은 그간의 임금 체불 신고를 분석해 선별한 기업을 대상으로 전국적으로 실시하는 첫 사례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A씨가 운영하는 음식점에서는 지난해 이후 최근까지 임금이 밀렸다는 직원들의 신고가 320여 건 제기됐다. 체불액은 15억 원에 달한다. 하지만 A씨는 소셜미디어를 통해 호화로운 생활을 공개해 왔다. 명품이나 고가 외제차, 고급 아파트 등이 등장하고 유명 연예인과의 친분을 과시하기도 했다. 대구 소재 요양병원 두 곳은 국가로부터 요양보호급여를 정상적으로 지급받고도 퇴직자들에게 고의로 임금을 지급하지 않았다. 특히 "고령자는 업무능력이 떨어져 퇴직금을 줄 수 없다"고 주장하며 지급을 거부하기도 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