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30 (수)

  • 구름많음동두천 31.2℃
  • 구름많음강릉 30.1℃
  • 구름많음서울 33.4℃
  • 구름조금대전 33.1℃
  • 구름조금대구 31.8℃
  • 구름조금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1.5℃
  • 맑음부산 31.8℃
  • 맑음고창 33.2℃
  • 구름많음제주 30.4℃
  • 구름많음강화 30.5℃
  • 맑음보은 30.3℃
  • 맑음금산 31.1℃
  • 맑음강진군 31.7℃
  • 구름조금경주시 32.5℃
  • 맑음거제 29.8℃
기상청 제공

산업


美, 냉장고·세탁기도 '철강 관세 50%'…삼성·LG '비상'

건조기·식기세척기·냉동고·레인지 등도 철강 함유량만큼 부과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철강 원자재에 이어 철강 부품이 포함된 가전제품에도 최대 50%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면서, 삼성전자·LG전자 등 한국 가전업체들이 직접적인 타격을 입을 전망이다.

 

미 상무부는 12일(현지시간) 연방 관보를 통해 철강 파생제품 관세 부과 대상 품목을 대폭 확대한다고 공지했다. 이번에 새롭게 포함된 품목에는 냉장고, 세탁기, 식기세척기, 오븐, 전기레인지, 냉동고, 음식물 처리기 등 가정용 주요 가전이 대거 포함됐다.

 

이는 철강 관세 정책의 연장선으로, 철강이 일부라도 사용된 제품에 대해 해당 철강 부품의 가치만큼 50%의 관세를 부과하는 방식이다. 지난 3월 처음 발표된 이 정책은 당시 25% 수준이었으나, 이달 초 트럼프 행정부는 관세율을 50%로 상향 조정했다.

 

문제는 삼성·LG 등 한국 업체들이 일부 제품을 미국 현지에서 생산하고 있음에도, 여전히 멕시코 및 국내 공장에서 제조해 미국으로 수출하는 비중이 상당하다는 점이다. 업계는 "미국 생산 비중을 감안해도 타격은 불가피하다"며 단가 상승, 가격 경쟁력 약화 등을 우려하고 있다.

 

이번 조치는 6월 23일부터 본격 적용되며, 미국 철강업계는 이 외에도 에어컨, 산업용 로봇, 농기계, 헬스기구 등 다양한 제품군에 대해 관세 부과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관세 대상 확대가 어디까지 이어질지 가전업계는 긴장 속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

 

미국은 지난 3월 기준, 철강 및 알루미늄 파생제품 172개에 대해 관세를 부과한 바 있으며, 이후 상무부가 명단을 지속 업데이트 중이다. 업계는 향후 미 정부가 어떤 품목을 추가 지정할지에 따라 대미 수출 전략 전면 수정이 불가피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농협 하나로마트도 '소비쿠폰' 거절...지방 농어민 "어디에 쓰라는겨"
정부가 경기 부양과 민생 회복 차원에서 지급한 소비쿠폰이 사용처를 둘러싸고 도시와 농어촌 간 소비 불균형이 나타내고 있다. 정부가 쿠폰을 지급한 지 일주일 만에 국민 대다수인 78%가 쿠폰을 지급 받았지만, 전남 등 지방에 사는 주민들은 실질적인 쿠폰 사용처를 찾기 위해 주거 지역에서 먼 거리를 이동해야만 한다. 이석채 농협중앙회 이사(운남농협조합장)는 30일 “정부에서는 골목 상가 활성화 차원에서 소비쿠폰을 지원했는데, 면 단위나 도서 지역은 소비쿠폰을 사용할만한 상권이 없는 것이 현실”이라며 “정부가 어디에도 쓸 수도 없게 쿠폰을 발행했기 때문에 지역 주민들은 농협 하나로마트에서 쿠폰 사용을 거절당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행정안전부의 ‘지역사랑상품권 운영 지침’에 따라 마트, 슈퍼, 편의점 등 유사 업종이 없는 면 단위 지역의 하나로마트에서만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이 이사는 “읍 단위나 도심 지역은 골목 상권이 많기 때문에 국민 대다수가 쿠폰을 소비할 수 있다”며 “그러나 면 단위와 도서 지역에서는 주민들이 필요로 하는 물품이 전부 하나로마트에 있는 상황이고 정부는 주민들의 하나로마트 쿠폰 사용을 제한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동안 행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