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메뉴

산업


LG엔솔, 美서 ESS용 'LFP 배터리' 대규모 양산 돌입

AI 데이터센터 확산 등 글로벌 ESS 시장 꾸준한 성장 예상

 

 

LG에너지솔루션이 미국 내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 공략을 본격화했다. 1일 LG에너지솔루션은 미시간주 홀랜드 공장에서 ESS 전용 LFP(리튬인산철) 배터리의 본격적인 양산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생산을 시작한 제품은 롱셀(Long Cell) 구조를 적용한 파우치형 배터리로, 에너지 효율과 안전성, 가격 경쟁력까지 두루 갖춘 것이 특징이다. 이 배터리는 이미 테라젠(Terra-Gen), 델타(Delta) 등 주요 고객사에 공급이 확정되어 있다.

 

이번 양산은 LG에너지솔루션이 전략적으로 추진해온 '리밸런싱(Rebalancing)' 정책의 가시적인 성과 중 하나다. 글로벌 전기차 수요의 일시적인 둔화와 미국의 고율 관세 정책 등 불확실한 대외 환경 속에서, 회사는 투자 효율을 극대화하고 생산 자산을 최적화하는 방향으로 전략을 조정해왔다.

 

 

애초 ESS용 배터리는 애리조나에 건설 중인 신규 공장에서 2026년부터 생산을 시작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LG에너지솔루션은 기존 EV용 배터리를 생산하던 홀랜드 공장의 일부 공간을 빠르게 전환해 ESS 라인을 구축함으로써 초기 계획보다 앞당겨 양산 체제를 갖췄다.

 

이로 인해 북미 시장 내 고객사에게 보다 안정적이고 빠른 공급이 가능해졌으며, 미국 내 생산 제품으로 관세 부담도 피할 수 있게 되었다.

 

글로벌 배터리 업체 중 미국 내에서 ESS용 LFP 배터리를 대규모로 양산하는 기업은 LG에너지솔루션이 유일하다. 이는 미국 시장 내에서의 차별화된 경쟁 우위를 확보하는 기반이 될 전망이다.

 

특히 최근 AI 데이터센터, 재생에너지 등 전력 소비 증가가 예상되는 분야에서 ESS 수요는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전 세계 LiB 기반 ESS 시장은 2023년 약 185GWh에서 2035년에는 1232GWh로 6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러한 수요에 민첩하게 대응하기 위해 북미 지역 내 다수의 고객사들과 공급 협의를 활발히 진행 중이다.

 

회사 관계자는 “고객 맞춤형 기술력과 신속한 현지 대응을 바탕으로 북미 ESS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하겠다”고 밝혔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민노총 발전노동조합, 한전 해고자 전원복직 촉구 집회 열어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산하 한국발전산업노동조합은 3일 오후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해고자 복직 촉구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이날 참가자들은 한국전력으로부터 해고당한 뒤, 길게는 24년간 현장으로 돌아가지 못한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즉각적인 복직을 이재명 정부에 촉구했다. 제용순 발전노조 위원장은 2002년 38일간의 총파업으로 정부의 발전소 민영화를 막아냈으나, 이러한 투쟁으로 해고된 6명의 조합원이 23년간 복직하지 못하고 퇴직을 앞두고 있다고 밝혔다. 제 위원장은 “단 하루를 일하더라도 원직 복직으로 명예를 회복시켜야 한다”며 문재인 정부에서 시작한 해고자 복직을 이재명 정부가 마무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제 위원장은 지난해 8월 15일 해고된 181명의 도서전력지부 조합원 문제도 제기했다. 제 위원장은 이들이 2023년 6월 법원으로부터 불법파견을 인정받았으나, “한전이 항소하고 소송 취하와 자회사 전적을 강요하며 이를 거부한 이들을 해고했다”고 비판했다. 고기석 공공운수노조 수석부위원장은 발전사 비정규직 근로자들이 정부의 민영화 정책에 맞서 파업했다는 이유 등으로 해고 상태에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한전이 도서전력지부 근로자들을 해고한 사건에 대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