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메뉴

산업


대다수 기업 '정보보호 투자' SKT 3% 수준...해킹 대응력 빨간불

최근 3년간 1천억원 이상 투자한 기업은 10곳…삼성전자 7천억 돌파

 

 

SK텔레콤 해킹 사고를 계기로 정보보안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최근 3년간 정보보호 분야에 1천억원 이상을 집행한 국내 기업은 10곳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 주요 기업들의 연평균 보안 투자액은 SK텔레콤 수준의 3%에 불과한 것으로 분석됐다.

 

26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업계 자료에 따르면, 정보보호 투자 공시가 의무화된 2022년(2021년 실적 기준) 이후 3년간 가장 많은 보안 예산을 집행한 기업은 삼성전자로, 총 7천126억원을 투자했다. 연도별로는 2021년 1,717억원, 2022년 2,435억원, 2023년 2,974억원이다.

 

KT는 같은 기간 총 3,274억원을 투자해 2위를 차지했고, 해킹 피해를 입은 SK텔레콤(SK브로드밴드 포함)은 2,515억원으로 3위에 올랐다. 뒤이어 쿠팡(1,834억원), SK하이닉스(1,743억원), LG유플러스(1,366억원), 삼성SDS(1,307억원), 우리은행(1,246억원), 네이버(1,183억원), LG전자(1,170억원) 등이 1천억원 이상을 투자했다.

 

정보보호 투자 공시는 기간통신사업자와 매출 3천억원 이상 상장사가 의무적으로 보안 예산과 인력 현황을 공개하도록 하는 제도로, 2022년부터 시행되고 있다.

 

2024년에는 총 746개 기업이 관련 정보를 공시했으며, 이 중 91곳은 자율 참여 기업이다. 이들이 2023년에 투자한 정보보호 예산은 총 2조1,196억원으로, 공시제 도입 첫해인 2021년(1조5,072억원) 대비 40% 이상 증가했다.

 

기업 1곳당 평균 투자액은 2021년 23억원에서 2023년 29억원으로 상승했지만, 여전히 SK텔레콤의 투자 규모와 비교하면 매우 낮은 수준이다.

 

보안업계 한 관계자는 “평균 수치를 보면 다수의 국내 기업들이 SK텔레콤보다 보안 역량이 떨어진다”며 “특히 고도화된 해킹 수법에 대응하지 못할 경우 피해 규모는 걷잡을 수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다른 전문가는 “최근 해킹은 단순 금전 탈취를 넘어, 주요 기반시설을 겨냥한 공격으로 진화하고 있다”며 “국가 단위의 보안 체계 정비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경찰, 소비쿠폰 '불법 현금깡' 특별단속…'부정유통 신고센터' 운명
소비쿠폰의 불법 현금화 시도가 연일 신고되면서 정부가 팔을 걷고 특별단속에 나선다. 소비쿠폰이 지급 11일 만인 지난달 31일 90% 지급률을 보이며 국민에게 호응을 받고 있지만, 불법 현금화 시도와 카드 색상 구분 등 인권 논란은 붉어지고 있다. 정부는 불법 유통에 대한 특별단속에 나서는 등 소비쿠폰이 지역경제와 골목상권 회복이라는 당초 취지에 부합하도록 제도를 보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2일 광주시 5개 자치구에 따르면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첫날인 지난달 21일부터 지난달 31일까지 총 9건(광산구 6건·서구 2건·남구 1건)의 부정 사용 정황이 발견됐다. 연 매출액이 30억원을 넘는 등 소비쿠폰 결제가 불가한 업주들이 다른 업소의 카드단말기를 대여해 대리 결제하거나 매장 안에 입점한 임대 사업자의 카드단말기를 이용하는 편법을 사용하다가 적발된 것이다 소비쿠폰 결제 후 현금 환불을 요구하는 등 불법 현금화 시도도 계속되고 있다. 최근 한 자영업자는 커뮤니티에 글을 올려 “민생지원금으로 주문한 뒤 음식에서 머리카락이 나왔다고 해서 사진을 찍어 보내라 하니 카메라가 고장 났다고 한다”며 “식약처 고발 등을 이야기하길래 계좌로 환불을 해줬다”고 호소했다. 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