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5.5℃
  • 구름조금강릉 7.4℃
  • 흐림서울 6.0℃
  • 구름많음대전 4.5℃
  • 박무대구 5.9℃
  • 구름많음울산 10.3℃
  • 흐림광주 7.3℃
  • 맑음부산 11.1℃
  • 맑음고창 8.5℃
  • 구름조금제주 15.2℃
  • 흐림강화 6.4℃
  • 흐림보은 0.7℃
  • 흐림금산 4.0℃
  • 맑음강진군 5.9℃
  • 구름많음경주시 7.4℃
  • 맑음거제 11.4℃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27일 목요일

메뉴

건설


부동산 거래량 9.6% 하락.. 전국 아파트 거래 ‘한파’

지난해 11월 전국 거래량은 9.6%, 거래금액은 3.2% 감소
아파트 거래량 거의 20% 둔화...오피스텔 거래량만 늘어

 

부동산플래닛이 2024년 11월 기준 전국 부동산 유형별 매매시장 동향 보고서를 16일 발표했다.

 

지난해 11월 전국 부동산 시장은 다수의 유형별 거래가 줄며 약 10%에 가까운 거래량 감소율을 보였다. 특히 아파트의 경우 전국 17개 시도를 막론하고 거래량과 거래금액 모두 하락했다. 이는 대출 규제 강화 등 국내 경제의 불확실성으로 실수요자 및 투자자들의 관망세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

 

●11월 전국 부동산 거래량 전월比 9.6%↓

 

지난해 11월 전국 부동산 거래량은 총 8만1888건으로 직전월 9만568건 대비 9.6% 하락했으며 거래금액은 30조3525억원에서 3.2% 내린 29조3695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월(7만8820건, 22조2522억원)과 비교하면 3.9%, 32%씩 상승한 수치다.

 

각 유형별 거래 현황으로는 총 9개의 부동산 유형 중 6개 유형의 거래량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상가·사무실이 전월 거래량 3932건보다 24.5% 떨어진 2968건으로 하락률이 가장 컸고 뒤이어 아파트가 18.9%, 연립·다세대 17.4%, 공장·창고 등(집합) 11.4%, 단독·다가구 10.7%, 상업·업무용빌딩이 5.1% 내린 것으로 확인됐다. 거래금액 또한 상가·사무실이 1조3342억원에서 25.7% 줄어든 9909억원을 기록했으며 공장·창고 등(일반)이 19.9%, 아파트 18.7%, 연립·다세대 18.5%, 공장·창고 등(집합) 11.2%, 단독·다가구는 7.5% 감소했다.

 

이와 반대로 10월 대비 거래량이 증가한 유형으로는 오피스텔(6.9%)과 공장·창고 등(일반)(6.7%), 토지(3.1%) 등이었으며 거래금액 기준으로는 상업·업무용빌딩(73.5%), 토지(19.8%), 오피스텔(13.7%) 순으로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아파트 거래량 및 거래금액 뚝...상가·사무실, 직전월 대비 거래량 24.5%↓

 

11월 한달 간 전국에서 발생한 아파트 거래량은 3만707건으로 전월 3만7855건과 비교해 18.9% 떨어졌고 거래금액 또한 16조3343억원에서 13조2798억원으로 18.7% 수준의 감소를 보였다. 이는 직전년도 11월(2만6438건, 9조2607억원)과 비교하면 각각 16.1%, 43.4% 증가한 것이지만 이번에는 무엇보다 17개 시도별 아파트 거래 시장의 전월 대비 동반 하락세가 더욱 눈에 띤다.

 

거래 감소율이 가장 컸던 곳은 세종으로 직전월 361건에서 33.8% 떨어진 239건을 기록하며 월간 시장을 마감했다. 이어 제주(25.5%, 190건)와 경기(23.2%, 7148건), 인천(22%, 1723건), 충북(21.4%, 1315건), 충남(21.1%, 1778건) 등 전국 17개 시도 모두 거래량이 감소했다.

 

거래금액 상황도 마찬가지다. 하락률 1위를 기록한 세종(34.7%, 1183억원)과 더불어 인천(23.6%, 6551억원), 경기(23.3%, 3조6851억원), 대전(21.2%, 3602억원), 강원(21.2%, 2617억원), 충남(20.7%, 3665억원) 등 17개 지역 전체에서 아파트 거래금액이 일제히 줄어들었다.

 

11월 전국 상가·사무실 거래는 2968건이었으며 이에 따른 거래금액은 9909억원으로 집계됐다. 전월(3932건, 1조3342억원)과 비교하면 거래량은 24.5%, 거래금액은 25.7% 감소해 당월 전체 부동산 유형 중 하락률이 가장 컸으며 이는 전년 동월(3146건, 1조3601억원)보다도 각각 5.7%, 27.1% 내린 수준이다.

 

시도별 시장도 상황은 비슷했다. 10월 대비 거래량이 오른 충남(147.9%, 176건)과 대전(47.5%, 87건), 전북(17.9%, 66건), 서울(6.6%, 738건)을 제외하고 13개 시도 모두 감소세가 짙었다. 전남은 139건에서 38건까지 72.7% 하락했고 이어 부산(70%, 181건), 제주(69.6%, 35건), 울산(57.1%, 15건), 대구(56.6%, 49건) 등이 차례로 감소폭이 큰 지역으로 이름을 올렸다.

 

거래금액에서는 12개 시도가 내림세를 보인 가운데 제주가 71.3% 떨어진 48억원을 기록했고 부산(70.8%, 380억원), 대구(68.5%, 201억원), 전남(42.4%, 152억원), 세종(38.7%, 19억원) 순으로 이어졌다.

 

 

●주택 유형 거래 부진에도 나홀로 거래 들썩인 오피스텔

 

같은 달 전국 오피스텔 거래량은 3230건으로 3021건을 기록한 10월보다 6.9% 상승했다. 이는 전월 대비 거래량이 감소한 아파트(18.9%)는 물론 비(非)아파트 주택에 속한 연립·다세대(17.4%), 단독·다가구(10.7%)의 하락과는 대비되는 모양새다. 거래금액에서도 오피스텔은 5828억원에서 6627억원까지 13.7% 가량의 증가율을 찍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2023년 11월(2153건, 4481억원)과 비교시 각각 50%, 47.9%씩 늘어난 수치다.

 

17개 시도별 시장별로는 증감이 교차했다. 먼저 울산이 전월 거래량 40건에서 93건으로 132.5% 올랐고 전남(59.3%, 43건)과 충남(54.8%, 130건), 대구(50%, 57건), 경기(43.5%, 1241건) 등을 포함해 총 7개 지역의 거래량이 증가했다. 거래금액 기준으로도 울산(92%, 96억원)의 상승률이 가장 컸고 뒤이어 경기(64.2%, 2962억원), 광주(42.4%, 47억원), 충남(18.3%, 136억원), 대구(17.5%, 74억원) 등 9개 시도가 상승세를 띠었다.

 

반면 10월과 동일한 거래량을 기록한 인천(246건)을 제외하고는 전북(83.8%, 12건), 충북(67.5%, 26건), 세종(65%, 7건), 경남(47.1%, 165건), 경북(18.8%, 52건) 등 9개 지역의 거래량이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동시에 거래금액에서는 전북(73.1%, 18억원)과 세종(68.4%, 6억원), 충북(62.5%, 24억원), 경남(53.8%, 132억원), 부산(25.9%, 266억원) 등 8개 지역이 하락세를 보였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서울청 사이버수사대, 문자로 악성 앱 설치 후 120억 가로챈 일당 검거
경찰은 청첩장이나 부고장 등의 문자메시지로 악성 애플리케이션 설치 링크를 보내 계좌를 탈취하는 방식으로 총 120억원을 가로챈 스미싱 조직을 검거했다.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는 정보통신망법·통신사기피해환급법 등 위반 혐의로 국내 총책인 중국 국적 A씨를 비롯한 일당 13명을 검거해 검찰에 송치, 이들 중 4명은 구속 송치했다고 26일 밝혔다. A씨는 스미싱 범행을 위해 한국으로 파견돼 입국 직후 중국에서 알던 지인을 모아 1년 7개월 동안 범행을 이어온 것으로 파악됐다. 서울청 사이버수사대는 이번에 국내 조직원은 모두 검거했으며 중국에서 스미싱 범행을 지시한 중국인 해외 총책 2명은 인터폴 적색 수배령을 내렸다. 중국인 총책 중 한 명은 2014년 전자금융사기의 일종인 파밍 사기로 국내에서 8년간 징역을 살았던 전과도 있었다. 이들은 청첩장, 부고장, 교통법규 위반 고지서 등으로 꾸민 문자에 악성 앱 설치 링크를 포함시켜 이를 설치하게 한 다음 휴대전화 권한을 탈취해 금융계좌 등에서 자금을 이체한 것으로 조사됐다. 권한을 탈취한 이들은 피해자 명의 휴대전화 유심을 무단 개통해 피해자 휴대전화를 먹통으로 만들었다. 그러고는 휴대전화 본인인증, 신분증 위조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