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18일 토요일

메뉴

기후경제


11차 전기본 국회보고 무산 우려에 정부 '원전 1기 축소' 조정안

원안 대비 신규 대형원전 3→2기·재생에너지는 추가 확대
"재생에너지 비중 적다" 野 반대에 산업부 조정…여야 합의 추진

산업통상자원부가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안에서 2038년까지 신규 대형 원전 건설 목표를 기존의 3기에서 2기로 축소했다. 대신 재생에너지를 추가 확충하는 조정안을 마련했다.

 

당초 지난해 말까지 완료를 목표로 한 11차 전기본의 국회 보고가 늦어지자 야당의 요구를 일정 부분 반영해 신규 대형 원전 1기를 줄이는 대신 재생에너지를 추가로 늘리는 절충안을 제안했다. 

 

정부와 국회에 따르면 정부가 국회 산업통상중기벤처위에 제시한 11차 전기본 조정안은 2038년까지 태양광 발전 설비용량 2.4GW(기가와트)를 추가로 확대하고 대형 신규원전을 원안의 3기가 아닌 2기만 반영한 것이 중심이다.

 

이에 따라 2038년 발전 예상량에서 원전은 기존 실무안 249.7TWh(테라와트시)에서 248TWh로 1.6TWh 축소 조정됐다. 원전 비중은 35.6%에서 35.1%로 0.5%포인트(p) 낮아졌다.

 

산업부는 수상태양광 및 주차장태양광을 확대하고 태양광 이격 거리 규제 개선, 데이터센터 수요 분산 등의 범부처 정책을 통해 태양광 보급을 추가 확대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다만 해상풍력의 경우 건설에만 8년 이상이 걸리는 만큼 2030년까지 추가 신규 진입에는 한계가 있다고 계산 했다. 

 

오는 2030년까지 태양광 발전설비 55.7GW 설치 목표를 달성하려면 향후 6년간 연평균 태양광 4.8GW 이상을 보급해야 한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보급된 태양광 설비용량은 27.1GW다.

 

조정안에 따라 2030년 전원믹스안에서 재생에너지 비중은 18.7%에서 18.8%로 0.1%p 늘어났다.

 

그러나 11차 전기본 조정안이 여야 합의를 거쳐 최종 확정될지는 미지수다.

 

11차 전기본 실무안이 지난해 5월 발표된 이후 야당은 글로벌 탄소제로 흐름에서 11차 전기본의 재생에너지 비중이 원전에 비해 적다는 점을 들어 반대해왔다.

 

여기에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 선포 사태 이후 정국 혼란이 가중되면서 11차 전기본 실무안은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보고를 거치지 못한 채 해를 넘기게 됐다.

 

산업계에서는 오는 2038년까지의 국내 전원믹스를 담은 11차 전기본이 확정되지 못하면 원전과 재생에너지를 포함한 전체 전원별 에너지·발전 업계 투자 계획이 어그러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 때문에 정부는 늦어도 설 전까지는 11차 전기본이 여야 합의를 거쳐 확정돼야 한다는 입장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국감] 무자격 날씨 유튜버 활개...기상청, 관리·제재 전무
17일 오전 열린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기상청 대상 국정감사에서 잘못된 기상 정보를 유포하는 유트버들로 인해 국민들의 심각한 피해가 예상된다는 지적이 나왔다. 기상법 17조는 예보 또는 특보를 할 수 있는 자격을 ‘기상사업자로 등록한 자’로 규정하고 있다. 김태선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기상사업자로 등록하지 않은 채 유튜브에 날씨 영상을 올리는 채널들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면서 “(그럼에도) 많은 국민들이 기상청 공식 채널보다 무자격 유튜브 채널을 통해 날씨 정보를 얻고 있는 상황”이라고 심각성을 지적했다. 김 의원은 제6호 태풍 위파에 대한 예보 영상을 예로 들었다. 지난 7월 13일 한 유튜브 채널에 위파가 동해안을 따라 북상하고 있다는 예보 영상이 올라왔지만, 실제로 위파는 한반도에 닿지 않았고 이 영상의 조회수는 9만4000회나 됐다. 반면, 같은 날 기상청 공식 채널에 공개된 예보 영상에는 ‘밤부터 더 강하게 온다. 전국 비. 남부와 강원 집중호의 주의’라는 내용이 담겼고, 조회 수는 1만회에 그쳤다. 김 의원은 “태풍이 안 와서 다행이지만 반대로 안 온다고 예보했다가 실제로 오는 경우가 발생하면 국민들은 심각한 피해를 입을 수 있다”며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