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메뉴

산업


한국 'CES 2025' 1031개사 최대 참가... 미국·중국에 이어 3위

스타트업관 1,300여개 참가기업 중 625개사 참가로 절반 넘어

 

 

세계 최대 IT·전자 전시회인 'CES 2025' 라스베이거스 국제소비재전자박람회가 오는 7일부터 10일까지(현지시간) 라스베이거스 LVCC 및 베네치안 엑스포에서 개최된다.

 

'CES 2025'의 주제는 '다이브 인(Dive in)'이다. 기술을 통한 연결(Connect), 문제 해결(Solve), 가능성 발견(Discover)의 메시지가 담겼다. 특히 올해 CES는 인공지능(AI)이 가전·IT업계의 혁신을 이끌 것으로 전망되면서다. 여기에 로보틱스·모빌리티·스마트홈·디지털헬스 등 혁신 기술도 공개된다. 

 

'CES 2025' 주최측 홈페이지에 등록된 기업수는 160여개 국가에서 4,800여개사가 등록했다.  국가별 참가등록 기업수는 ▲미국 1,509개 ▲중국 1,339개 ▲ 한국 1,031개 ▲프랑스 189개 ▲대만 173개 등이며 일본, 캐나다, 독일, 네델란드, 이탈리아 등에서 참가한다. 특히 전체 참가업체 중 한국, 중국, 일본, 대만, 홍콩 등 2,700여개(60%)가 참가하여 아시아 기업 위주 전시회가 되었다.

 

 

한국은 코로나19 이후 ▲2022년 502개(일반기업 210개,스타트업 282개), ▲2023년 469개(일반기업 196개,스타트업 273개), ▲2024년 772개(일반기업 260개,스타트업 512개) 참가했으나 2025에는 1,031개(일반기업 390개,스타트업 641개) 등으로 2022년에 비하여 2배, 2024년에 비하여 259개가 증가했다. 

 

참가 형태로는 카테고리별 전문관에 대, 중소, 중견기업이 자부담하여 독립부스로 참가하는 기업 105개사, 국고 및 지방비로 지원하여 단체관에 참가하는 일반기업은 Global Pavilion 180개, Design & Source 105개 및 국고, 지방비, 학교, 대기업 등이 지원하는 스타트업관에는 600여개 등으로 총 1,031개 중 약 885개사(85%)다.

 

 

특히 스타트업관에는 전체 1,300여개 참가사 중 ▲한국 625개 ▲미국 189개 ▲프랑스 171개 ▲대만 65개 ▲네델란드 51개 ▲일본 50개 ▲이탈리아 46개 및 독일, 캐나다, 스위스, 이스라엘과 등과 중국도 참가한다. 절반에 가까운 48%가 한국으로 전시장 중앙 이후는 대부분 한국관으로 채워진다.

 

CTA는 독립부스 및 단체관 참가승인, 부스배정 등 중간역할을 위해 공식 에이전트를 매년 평가하여 지정하며 한국공식 에이전트 및 파트너인 KICTA(한국정보통신기술산업협회)는 10년 이상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의 참가를 위해 비영리목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KICTA 이한범 상근부회장은 "국고를 지원하여 설치하는 단체관의 한국을 상징하는 국가이미지 로고 통일 및 Eureka Park 스타트업관에는 참가 제한이 2년이므로 단체관 직접지원방식에서 기업 스스로가 카테고리별 전문관에 독립부스로 참가하고 국고 일부를 지원하는 수출 바우처제도 확대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경찰, 소비쿠폰 '불법 현금깡' 특별단속…'부정유통 신고센터' 운명
소비쿠폰의 불법 현금화 시도가 연일 신고되면서 정부가 팔을 걷고 특별단속에 나선다. 소비쿠폰이 지급 11일 만인 지난달 31일 90% 지급률을 보이며 국민에게 호응을 받고 있지만, 불법 현금화 시도와 카드 색상 구분 등 인권 논란은 붉어지고 있다. 정부는 불법 유통에 대한 특별단속에 나서는 등 소비쿠폰이 지역경제와 골목상권 회복이라는 당초 취지에 부합하도록 제도를 보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2일 광주시 5개 자치구에 따르면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첫날인 지난달 21일부터 지난달 31일까지 총 9건(광산구 6건·서구 2건·남구 1건)의 부정 사용 정황이 발견됐다. 연 매출액이 30억원을 넘는 등 소비쿠폰 결제가 불가한 업주들이 다른 업소의 카드단말기를 대여해 대리 결제하거나 매장 안에 입점한 임대 사업자의 카드단말기를 이용하는 편법을 사용하다가 적발된 것이다 소비쿠폰 결제 후 현금 환불을 요구하는 등 불법 현금화 시도도 계속되고 있다. 최근 한 자영업자는 커뮤니티에 글을 올려 “민생지원금으로 주문한 뒤 음식에서 머리카락이 나왔다고 해서 사진을 찍어 보내라 하니 카메라가 고장 났다고 한다”며 “식약처 고발 등을 이야기하길래 계좌로 환불을 해줬다”고 호소했다. 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