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18일 토요일

메뉴

기후


한국, 메탄 배출 관리 안하면 국제적 왕따 못 피한다

한국 해외 석유가스 자산 메탄 배출 290만 톤에 달해 국내 메탄 배출량의 45%에 해당
“한국 에너지 공기업이 모니터링과 자체 관리하지 않으면 국제사회 비판에 직면할 것”

강력한 온실가스인 메탄에 대한 감축 논의가 아제르바이잔 바쿠에서 열린 제29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9)에서 활발하게 이어지고 있다. 이 가운데 국내 메탄 배출량의 절반이 한국의 해외 석유, 가스 자산에서 배출되고 있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기후솔루션은 17일, ‘메탄 감축, 한국 기업의 해외 석유가스 개발의 필수 과제’ 보고서를 내고 한국의 해외 화석연료 자산에서 배출되는 메탄 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한국 기업의 해외 석유·가스 자산에서 발생하는 메탄 배출량 현황을 종합 분석한 이번 보고서에서는, 그 양이 290만 이산화탄소환산(CO2eq)톤으로 국내 에너지 부문 메탄 배출량의 약 45%에 달한다고 밝혔다.

 

메탄은 우리 주변에서도 흔히 접할 수 있는 액화가스(LNG)의 주요 성분으로 이산화탄소의 최대 80배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강력한 온실가스이다. 그만큼 메탄 배출을 줄이면 지구 가열화를 완화하는 데 탁월한 효과가 있다. 

 

메탄 배출 감축에 특히 주목을 받고 있는 분야는 에너지 부문(석유·가스)이다. 현존 기술만으로도 석유·가스 사업에서 나오는 메탄 배출량을 75% 이상 감축할 수 있기 때문에 국제 사회는 에너지 부문의 메탄부터 감축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보고서의 취합 결과 한국의 해외 석유가스 사업을 벌이는 주요 업체로는 공기업인 한국석유공사와 한국가스공사, 그리고 민간의 SK 어스온(Earthon), SK 이노베이션 E&S, 포스코인터내셔널, GS에너지 등이 있다. 

 

이들이 세계 각지에서 석유와 가스를 캐내면서 메탄이 유출되고 있는데 2019~2023년 데이터를 집계한 결과 이라크, 카자흐스탄, 호주, 우즈베키스탄, 이집트, 아랍에미리트(UAE), 미국, 캐나다 등 8개 국에서 유출된 메탄이 한국이 해외서 유출하는 메탄의 약 92~9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해외 자산 메탄 배출에서 두드러지는 특징 가운데 하나는 민간 기업보다 공기업 자산에서 배출되는 메탄의 비중이 더 크다는 점이다. 

 

한국석유공사와 가스공사가 생산하는 석유가스의 비중은 전체 가운데 62%(2023년 기준)인데 배출되는 메탄의 비중은 전체 가운데 85%에 육박한다. 온실가스 대응에 있어 보다 선도적인 역할이 기대되는 공기업이 오히려 메탄 배출의 주범인 셈이다.

 

기술적 진보와 더불어 규제 조치가 강화되면서 화석연료 산업의 메탄 배출에 대한 엄격한 감시의 시대가 열리고 있어 이런 상황은 해외에서 석유·가스 개발 사업을 추진하는 한국 기업들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COP29에서 메탄은 핵심 의제 가운데 하나로 다뤄졌다. 

 

지난 12일 열린 미국-중국-아제르바이잔 주축의 ‘메탄 등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정상회의’에서 각국이 보다 강화된 새 메탄 감축 정책을 앞다퉈 발표했다. 

 

미국은 연간 2만5000톤 이상의 메탄을 배출하는 석유·가스 시설에 적용되는 '폐기물 배출 요금(Waste Emissions Charge, WEC)’을 최종 확정했다. 그리고 위성 데이터 등을 활용해 대규모 메탄 누출 상황을 감지하고 환경보호청(EPA)이 배출원에 누출 상황을 보고하도록 의무화하는 '슈퍼 배출원(Super Emitter) 데이터 플랫폼’을 개설한다고 소개했다.

 

또한 카자흐스탄은 대기 중으로 일상적인 메탄 배출(venting)을 줄이고, 비산배출관리시스템(Leak Detection and Repair, LDAR) 관련 규제를 마련하고 2025년 COP30까지 메탄 배출 감축 국가 프로그램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COP29 주최국인 아제르바이잔의 국영에너지기업 SOCAR도 자사의 탐사 및 생산 사업에서 ‘제로 메탄 배출’을 목표로 하는 계획과 메탄 모니터링 시스템 도입 등을 발표했다.

 

기후솔루션 메탄팀 악셀 레무스(Axel Lemus) 연구원은 “미국 등 여러 국가에서 수행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석유·가스 시설에서 보고된 메탄 배출량이 실제보다 매우 축소 보고되는 경우가 많아 메탄 감지 위성 등을 통한 감시가 확대되고 있다”며 “한국 에너지 공기업이 자체적으로 위성 등을 활용해 메탄 데이터를 확인하고 배출 문제를 관리하지 않으면 국제사회의 비판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국감] 무자격 날씨 유튜버 활개...기상청, 관리·제재 전무
17일 오전 열린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기상청 대상 국정감사에서 잘못된 기상 정보를 유포하는 유트버들로 인해 국민들의 심각한 피해가 예상된다는 지적이 나왔다. 기상법 17조는 예보 또는 특보를 할 수 있는 자격을 ‘기상사업자로 등록한 자’로 규정하고 있다. 김태선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기상사업자로 등록하지 않은 채 유튜브에 날씨 영상을 올리는 채널들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면서 “(그럼에도) 많은 국민들이 기상청 공식 채널보다 무자격 유튜브 채널을 통해 날씨 정보를 얻고 있는 상황”이라고 심각성을 지적했다. 김 의원은 제6호 태풍 위파에 대한 예보 영상을 예로 들었다. 지난 7월 13일 한 유튜브 채널에 위파가 동해안을 따라 북상하고 있다는 예보 영상이 올라왔지만, 실제로 위파는 한반도에 닿지 않았고 이 영상의 조회수는 9만4000회나 됐다. 반면, 같은 날 기상청 공식 채널에 공개된 예보 영상에는 ‘밤부터 더 강하게 온다. 전국 비. 남부와 강원 집중호의 주의’라는 내용이 담겼고, 조회 수는 1만회에 그쳤다. 김 의원은 “태풍이 안 와서 다행이지만 반대로 안 온다고 예보했다가 실제로 오는 경우가 발생하면 국민들은 심각한 피해를 입을 수 있다”며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