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메뉴

과학·기술·정보


해외서 '냉동김밥' 불티나는데...'동네 김밥집'은 사라지고 있다

재료비·인건비·배달비 부담...편의점 1000원대 김밥이 대세
자영업자, ‘서민 대표음식’이라 쉽게 가격 올리기도 어려워

 

‘서민의 대표음식’ 김밥 가게가 하나 둘 씩 사라지고 있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2020년까지만 해도 연 평균 4%의 성장세를 보이던 김밥집이 2022년에는 4.6% 감소했다. 전국 김밥 매장 가운데 장사를 포기하고 내놓은 점포는 공식 집계된 것만 무려 184곳이다.

 

최근 통계청이 조사한 김밥집 개수는 2016년 4만1천726개에서 2020년 4만8천822개로 꾸준히 증가했다. 그러나 지난 2021년 4만8천898개로 76개(0.2%) 늘어나는 데 그쳤고, 2022년 4만6천639개로 4.6% 감소했다.

 

김밥집 폐업이 늘어난 가장 큰 이유는 우선 재료비 때문이다. 김과 쌀, 각종 채소 등 주재료의 가격이 폭등했다.

 

김밥을 마는 사람이 고정적으로 필요한 김밥집 특성상 인건비 상승도 운영을 어렵게 하는 또 다른 요인이다. 또 늘어난 배달비도 부담이다. 일부 가게들은 배달 최소 주문을 3만원으로 올리며 대응하고 있는 실정이다.

 

MZ세대를 중심으로 탄수화물 소비가 줄어든 영향도 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56.4kg로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일각에서는 이러한 김밥집 감소세는 간단하게 끼니를 때우기 위해 분식집을 가는 대신 편의점이나 카페를 찾는 이들이 늘어난 결과라는 분석도 나온다. 최근 주요 편의점에서 1000원대에 김밥을 판매하고 있어 가격 올리는 것도 여의치 않아 김밥집 사장들의 근심이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반면, K-푸드 열풍이 불면서 김밥 수출은 호조를 보이고 있다. 25일 관세청 수출입 무역통계에 따르면, 냉동 김밥 수출량은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올해 1~8월 수출된 냉동 김밥 물량은 7382톤으로 잠정 집계됐다. 전년(1708톤) 대비 332.2% 폭증했다. 같은 기간 역대 최대 물량이다.

 

한 자영업자는 “원재료비는 20~30%가량 올랐고 인건비, 임대료 등 제반 비용 부담도 크다"며 "하지만 대표적인 서민 음식으로 꼽히는 만큼 판매가를 크게 올리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가격을 올리면 손님이 찾지 않고, 손해를 보고 유지하기에는 부담이 커 결국 폐업을 선택하는 업주가 많을 것 같다"고 말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속옷 저항’ 윤석열 구치소 CCTV 영상 온라인 유출 논란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 당시 서울구치소에서 찍힌 것으로 추정되는 CCTV 영상 일부가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확산되고 있다. 2일 온라인상에서 퍼진 19초짜리 구치소 영상에는 윤 전 대통령이 자리에 앉아 특검을 향해 고개를 돌리며 무언가 말하는 장면과 난감해하는 집행관들의 모습도 그대로 포착됐다. 앞서 여당 소속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위원들은 지난 1일 경기 의왕시 서울구치소 현장 검증을 통해 윤석열 전 대통령의 체포영장 집행 과정에 대한 CCTV 등 영상 기록을 열람한 바 있다. 여당 간사인 김용민 의원은 CCTV 영상 열람 후 기자들과 만나 “윤 전 대통령은 속옷 차림으로 누워 집행을 거부하면서 ‘나에게 강제력을 행사할 수 없다’고 강력하게 반발했다”며 “그러면서 변호인을 만나겠다고 하는 등 집행을 거부했다”고 주장했다. 해당 영상은 열람 현장에 참석했던 국회 관계자가 영상을 촬영해 유출한 것 아니냐는 논란이 일고 있지만, 국회 법사위원 쪽은 영상 촬영 및 유출은 불가능하다고 선을 그었다. 법무부 측은 영상 유출 경위 파악에 나섰고, 윤 전 대통령 측 변호인은 법적 대응 여부를 논의 중이다. 한편, 윤석열 전 대통령이 서울구치소에 수감된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