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18일 토요일

메뉴

경제


고물가는 고금리를 낳고 고금리가 고환율을 낳는 이유

-우리나라아 주변 대강국의 겨제전쟁 (6-4)

 

우리가 예금하는 이유는 구매력 보존을 위해서다.

 

이게 무슨 말인가 하면, 여기 100원이 있다고 치자, 이 돈이면 100원짜리 물건을 살 수 있다. 그런데 A라는 사람은 물건을 사지 않고 항아리에 이 돈을 묻었다. 그런데 A가 1년 뒤에 꺼내 보니, 100원은 그대로 인데 1년 전 100원짜리 물건 값이 110원이 되어 있었다. 그럼 A의 입장에서는 항아리에 묻어 둔 100원은 구매력 보존이 안 된 것이다. 100원으로 살 수 있었던 물건을 살 수 없으니까 말이다. 

 

그때 B라는 사람은 100원을 예금에 넣었는데 예금 금리가 5%라서 1년 뒤에 105원을 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B역시 금리를 합한 원금으로는 110원까지 오른 물건을 구매할 수 없으니 구매력 보존에 실패한 셈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예금 금리가 아무리 높아도 물가 상승률보다 낮으면 예금 을 하지 않고 현물을 사려고 달려간다.  

 

그러면 가뜩이나 물가상승률이 높은데 너나없이 물건을 사려고 몰려오면 물건 값이 어찌되겠는가? 하늘 높이 치솟을 것이다. 그래서 이런 고리를 끊어주지 않으면 안 된다.

 

만약 물가가 10%로 상승하고, 금리가 15%라 면 사람들은 물건을 사지 않고 예금을 할 것이다. 그렇지 않은가. 이처럼 금리를 올리면 물가가 오르는 걸 어느 정도 제압할 수 있다. 그래서 물가가 빠르게 뛰면 필연적으로 금리를 올려 물가 상승에 대응할 수밖에 없는 것이니, 고 물가는 반드시 고금리를 낳게 된다는 얘기다.  

 

미국 물가와 금리 그리고 우리나라 경제에 미치는 영향 


그렇다면 미국의 물가가 올라가고 금리가 올라가는 게 우리나라 경제와 무슨 상관일까? 다 아시겠지만 이런 설명을 할 수 밖에 없다. 우리나라 금리보다 미국의 금리가 높다고 하면 우리나라에 투자한 외국인들이 우리나라에 돈을 투자해 놓고 싶을까? 아니면 금리가 높은 미국으로 가서 투자하고 싶을까?

 

당연히 투자한 돈을 빼서 미국으로 가져가고 싶을 것이다. 그래서 이들은 우리나라에 투자했던 원화를 팔고 달러로 바꿔서 우리나라에서 빠져나갈 것이다. 이 과정에서  달러 환율은 오를 것이다. 그래서 미국의 금리가 오르면 달러 환율이 빠르게 상승한다. 물론  나중에 내려 가긴 한다. 이유는 다른 편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처럼 미국의 물가가 오르면, 물가를 잡기 위해 금리를 올리고, 금리가 오르면 위에서 설명한대로 원화 대 달러 환율이 오른다. 달러 환율이 올랐다는 것은 원화가 약해졌다는 의미이다. 그렇지 않은가. 예를 들어 보자, 예전에 1 달러에 1000원하는 물건이 있었다고 치자.

 

그때는 그 물건을 1달러만 줘도 수입할 수 있었다. 그런데 환율이 올라서 1달러에 1450원이 되었다면 450원을 더 줘야 수입할 수 있다. 말을 바꾸자면, 물가가 천원에서 1450원으로 45%포인 트 뛰었다고 볼 수 있다. 그렇지 않은가? 


그러니 달러 환율이 오르면 우리나라의 수입물가가 뛰고, 수입물가가 상승하면 그만큼 국내 물가상승을 압박해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지게 된다. 미국도 물가가 오르면 금리를 건드려 금리가 오르고 금리가 오르면 환율에 영향을 미쳐 환율이 오르면 우리 입장에서는 수입물가가 오르고 수입물가가 오르면 우리나라의 물가가 뛴다. 그래서 물가 를 잡는 책임을 가진 한국은행은 물가를 잡기위해 기준금리 인상으로 대응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제 고물가, 고금리, 고환율 등 삼중고(三重高)가 서로 관련을 맺고 거대한 경제 쓰나미가 되는 것을 눈치 채셨는지? 그렇다면 이런 3중고를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 언제나 이게 문제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국감] 무자격 날씨 유튜버 활개...기상청. 관리·제재 전무
17일 오전 열린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기상청 대상 국정감사에서 잘못된 기상 정보를 유포하는 유트버들로 인해 국민들의 심각한 피해가 예상된다는 지적이 나왔다. 기상법 17조는 예보 또는 특보를 할 수 있는 자격을 ‘기상사업자로 등록한 자’로 규정하고 있다. 김태선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기상사업자로 등록하지 않은 채 유튜브에 날씨 영상을 올리는 채널들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면서 “(그럼에도) 많은 국민들이 기상청 공식 채널보다 무자격 유튜브 채널을 통해 날씨 정보를 얻고 있는 상황”이라고 심각성을 지적했다. 김 의원은 제6호 태풍 위파에 대한 예보 영상을 예로 들었다. 지난 7월 13일 한 유튜브 채널에 위파가 동해안을 따라 북상하고 있다는 예보 영상이 올라왔지만, 실제로 위파는 한반도에 닿지 않았고 이 영상의 조회수는 9만4000회나 됐다. 반면, 같은 날 기상청 공식 채널에 공개된 예보 영상에는 ‘밤부터 더 강하게 온다. 전국 비. 남부와 강원 집중호의 주의’라는 내용이 담겼고, 조회 수는 1만회에 그쳤다. 김 의원은 “태풍이 안 와서 다행이지만 반대로 안 온다고 예보했다가 실제로 오는 경우가 발생하면 국민들은 심각한 피해를 입을 수 있다”며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