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2 (화)

  • 흐림동두천 17.3℃
  • 흐림강릉 12.2℃
  • 흐림서울 19.6℃
  • 대전 19.1℃
  • 흐림대구 13.5℃
  • 박무울산 12.0℃
  • 광주 17.1℃
  • 흐림부산 14.5℃
  • 흐림고창 16.5℃
  • 제주 19.3℃
  • 흐림강화 16.3℃
  • 흐림보은 15.3℃
  • 흐림금산 17.0℃
  • 흐림강진군 14.8℃
  • 흐림경주시 11.3℃
  • 흐림거제 13.8℃
기상청 제공

사회·문화


경기도 아파트 부조리분석모델, 전국으로 확대 된다


경기도가 전국 최초로 개발한 공동주택(아파트관리 부조리 분석시스템이 전국 지자체로 확산돼 전국 표준모델이 될 전망이다.


9일 경기도에 따르면 지난 1일 황교안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공공데이터 전략위원회는 경기도의공동주택 부조리 분석 모델의 전국 확대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공공데이터 전략위원회는 국무총리와 부처 장관공공기관장민간 전문가 등이 참여해 공공데이터의 제공과 이용활성화 계획 심의와 집행 실적 평가점검 등을 맡고 있다.


이에 따라 행정자치부는 올해 안으로 경기도 공동주택 부조리 분석 모델을 표준화 하는 작업을 추진할 것으로 알려졌다.


경기도는 지난해 2월 정부3.0(공공부분 빅데이터사업으로 행정자치부에 공동주택 관리비 부조리 분석방안을 제안해 공식 사업으로 채택됐다이후 도는 국토교통부와 함께 공동주택관리민원,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K-APT), 한전 및 상수도사업소 등 42개 유관기관 정보를 한 곳에 모아 분석하는공동주택 부조리 분석 모델을 개발했다.


분석 모델 개발 후 도는 안양시 등 도내 5개 아파트 단지를 대상으로 검증을 실시해 특정업체 낙찰을 목적으로 과도하게 입찰참가 조건을 제한하거나 인건비 과다 지급 등의 방법으로 부조리를 저지른 사례들을 적발한 바 있다.


경기도 관계자는 정부가 경기도의 공동주택 부조리 분석 모델의 필요성과 효용성을 인정한 것이라며전국으로 확산될 경우 단기적으로는 부조리지수가 높은 공동주택을 찾아내 행정기관 직권으로 감사를 시행할 수 있다장기적으로도 단지별 관리비 변화 추이를 모니터링해 자발적 자정노력이 부족한 공동주택도 감사에 포함시켜 행정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