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5℃
  • 맑음강릉 6.1℃
  • 맑음서울 1.8℃
  • 구름많음대전 4.0℃
  • 맑음대구 6.9℃
  • 맑음울산 7.8℃
  • 맑음광주 6.9℃
  • 맑음부산 9.5℃
  • 맑음고창 4.0℃
  • 구름많음제주 13.7℃
  • 맑음강화 0.0℃
  • 구름조금보은 4.1℃
  • 구름조금금산 4.4℃
  • 맑음강진군 8.7℃
  • 맑음경주시 7.5℃
  • 맑음거제 7.2℃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21일 금요일

메뉴

포토뉴스


의약외품 '마스크'와 '치약'이 달라진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정승)는 소비자의 마스크 선택 시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마스크 분류를 4개에서 2개로 통합하고 치약의 불소 함유량을 1,500ppm까지 사용할 수 있도록 상향 하는 내용의 「의약외품 범위 지정」고시 일부 개정안을 6월 19일 행정예고 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정예고는 의약외품 마스크의 품목별 정의와 범위를 명확히 하고 치약의 충치 예방 기능을 강화하여 국민 보건을 향상하기 위한 것으로, 주요 개정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마스크의 경우 입자 차단 기능이 없는 마스크를 품에서 제외하고 ‘황사방지용’과 ‘방역용’을 ‘보건용 마크’(입자단 성능 있음)로 통합하였으며, 치약의 경우 불소 함량을 기존 1,000ppm에서 1,500ppm으로 상향한다. 

또 기존에 ‘보건용’으로 분류된 마스크는 입자 차단 기능이 없고 한대 등 공산품과 큰 차이가 없어 소비자의 혼란을 야기할 수 있어 의약외품에서 제외한다. 

 ‘황사방지용’ 또는 ‘방역용’ 마스크는 황사는 물론 미세먼지나 신종플루 등 전염성 질환의 감염원으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할 수 있는 기능을 모두 갖고 있어 ‘보건용 마스크’로 통합한다. 

이들 제품의 경우 제품명 중 ‘황사’나 ‘방역’이라는 명칭으로 인소비자가 황사나 방역에만 사용하는 것으로 오인할 우려가 있어 왔다.

〈 마스크 분류 통합·개선(안) 〉

현 행

 

보건용(입자차단 성능 없음)

-

수술용

‘수술용 마스크’

황사방지용(KF80)

‘보건용 마스크(KFOO)

(입자차단 성능 있음)

방역용(KF94)

 

또한 치약의 주성분인 불소에 대한 안전성 검토를 거쳐 사용할 수 있는 양을 1,000ppm에서 1,500ppm 으로 늘려 충치 예방 기능을 강화한다.

 미국, EU, 호주 등 대부분의 나라에서도 불소 함유 한도를 1,500ppm 이하로 관리하고 있는 점을 고려했으며 전문가들의 충예방 기능 강화 요구와 기존의 함량으로는 수출에 어려움이 있다는 업계의 의견도 반영했다. 

식약처는 이번 「의약외품 범위 지정」일부 개정이 의약외마스크의 차별화된 성능을 원하는 소비자의 기대에 부응하고 황나 미세먼지 발생 시 올바른 선택을 유도하여 국민 보건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치약의 불소 함량 상향을 통한 충치 예방 기능 강화로 국민의 의료비 절감과 제품 개발 및 수출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www.mfds.go.kr) > 법령자료 > 법령> 입법/행정예고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의견 수렴을 거쳐 올해 8월에 개정할 계획이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개성공단 가동 중단 10년···멈춰선 남북의료 협력 방안은?
‘개성공단 재개전망 남북의료 협력방안 모색 세미나’가 20일 국회의원회관 제6간담회실에서 열렸다. 이날 세미나는 지난 2016년 개성공단 가동 중단 이후 사실상 10년 가까이 멈춰선 남북 경제·의료 교류의 돌파구를 찾기 위한 취지다. 세미나는 이재강 국회의원(전 경기도 평화부지사), 김남중 통일부 차관, 유성옥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이사장과 정근 온병원그룹 회장(이사장) 등 그린닥터스 관계자 3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그린닥터스 개성공단 남북협력병원은 2004년 11월 개성공단 응급진료소 무료 진료를 시작했다. 2006년에 개성공업지구 그리닥터스 남북협력병원을 설립한 이후, 2007년 1월부터 남북협력병원 정식 진료를 개시했으나 2012년 12월 운영을 종료했다. 정근 이사장은 개회사에서 “2004년 통일부 지정으로 시작된 개성병원은 1945년 이래로 60년만의 첫 남북협력병원인데 개성공단이 문을 닫으면서 중단됐다”며 “교류 중단 이후에는 저희가 역사에 기록을 남기기 위해 백서도 발간했다”고 말했다. 이어 “올해는 저희가 개성공단에 들어간 지 20주년이 되는 해인 만큼 이번 세미나를 통해 남북이 화해와 교류를 통한 대화의 물꼬가 터지길 바란다”고 덧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