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15 부동산대책 이후, 수도권 주택시장은 전반적인 거래 감소 흐름이 나타난 가운데, 규제지역으로 지정되지 않은 일부 지역에서는 오히려 거래가 늘어나는 양상이 관측됐다.
10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국토교통부 수도권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대책 발표 후 20일 간(11월 4일까지) 수도권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8716건으로 대책 이전 20일 간(9월 25일부터) 거래량 1만5412건보다 약 43%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전역과 경기 12개 지역 등 규제지역에서는 같은 기간 1만242건에서 2424건으로 거래가 76% 감소했다. 반면 규제지역에서 제외된 수도권 비규제지역의 마파트 매매거래는 5170건에서 6292건으로 22% 증가했다.
대출 규제와 세제 부담이 덜한 지역을 중심으로 실수요자나 일부 관망세를 유지하던 수요층이 유입되며 비규제지역 거래량 증가에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 규제지역 인접지 풍선효과...수원시 권선구 거래량 73% 껑충
수도권 비규제지역 중 거래량이 특히 두드러지게 늘어난 곳은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다. 수원시 권선구의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대책 전 143건에서 이후 247건으로 늘며 73% 증가했다.
수원시는 장안구, 팔달구, 영통구가 규제지역으로 묶였지만 권선구만 비규제지역으로 남아있다. 삼환(구운동), 권선자이e편한세상(권선동), 호매실마을13단지(호매실동) 등 학군, 교통 등 입지가 양호한 대규모 단지 위주로 수요 유입이 늘며 거래가 늘었다.
이어 거래가 많이 증가한 지역은 화성시다. 화성시 매매 거래량은 대책 전 561건에서 대책 후 890건으로 거래가 증가하며, 단일 지역 기준으로는 가장 많은 건수를 나타냈다. 화성시가 규제지역에서 제외되며 동탄 일대 매물이 소진되는 등 수요 유입이 이어지고 있다.
갭투자로 매매가 가능한 몇 안 되는 지역으로, 시장에서 ‘유망 지역’으로 인식되며 수요자들의 관심이 집중된 것으로 보인다. 동탄역이지더원, 동탄역센트럴푸르지오, 동탄2하우스디더레이크 등 동탄신도시 내에 위치한 단지들 위주로 거래가 됐다.
경기도 파주시 역시 대책 전 148건에서 이후 209건으로 41%의 증가율을 나타냈다. GTX-A 개통으로 서울 접근성이 한층 나아지며, 실수요 중심의 매매 거래가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산내마을9단지힐스테이트운정, 한올마을1단지운정신도시IPARK, 운정신도시센트럴푸르지오 등 GTX역 인근 단지 위주로 거래가 이어졌다.
경기도 구리시는 대책 전 133건에서 이후 187건으로 거래량이 41% 증가했다. 인창동 주공6단지, 주공1단지 등 지하철 8호선 구리역 인근 역세권 단지 위주로 거래가 많았다.
그 외에도 군포시가 126건에서 169건(+34%), 부천시 원미구가 143건에서 179건(+25%)으로, 규제지역 인접 및 교통 여건이 우수한 생활권을 중심으로 거래가 늘어나는 흐름이 확인됐다.
◇ 주택 취득 자금출처 고강도 조사...자금 여건 변화에 따른 조정 국면
이미 규제지역이던 지역들은 감소 폭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특히 서초구는 대책 전보다 거래량이 소폭 증가(+2%)한 것으로 나타났고 송파구(-12%), 강남구(-40%) 등도 타 지역에 비해 감소 폭이 낮았다.
10.15 대책 이후 수도권 아파트 매매 시장은 규제 정도에 따라 지역별 온도차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규제가 강화된 지역에서는 자금 부담이 커진 반면, 비규제지역은 이를 피한 수요가 몰리며 단기적인 불균형이 나타나는 양상이다.
직방 관계자는 “정책의 여파가 지역별로 엇갈리면서 시장은 당분간 규제와 자금 환경 변화에 적응하는 조정 국면을 이어갈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한편 정부는 최근 주택 취득 자금출처에 대한 고강도 조사 방침을 예고했다. 국세청은 고가 아파트 매입 거래를 중심으로 자금출처를 철저히 검증하고 관계 기관 간 정보 공유를 강화해 불투명거래를 차단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 직방 관계자는 “일부 비정상 거래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이지만, 동시에 시장 전반에는 거래 자금에 대한 부담과 심리적 제약이 확대될 수 있다”면서 “결국 이번 대책 이후 수도권 주택시장은 규제 강도와 자금 여건 변화에 맞춰 균형을 조정해 나가는 과정에 놓여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정부의 추가 조치가 이어질 가능성도 남아있는 만큼, 단기적으로는 거래 위축과 수요 이동이 공존하는 혼조세가 지속될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