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 권대영 부위원장이 빚을 내서 주식에 투자하는 '빚투'를 두고 "그동안 너무 나쁘게만 봤는데 레버리지의 일종"이라고 밝혔다.
권 부위원장은 오늘(4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청년층을 중심으로 빚투가 늘어나는 상황과 관련해 이같이 말했다. 다만, "적정 수준의 포트폴리오를 관리하고 리스크를 감내할 수 있는 수준의 투자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부동산, 예금, 시가총액 높은 10종목의 투자 수익률을 10년간 비교해보니 주식시장이 훨씬 나았다"며 "안정적인 배당수익을 주는 가치주 등에 장기 투자를 하는 게 좋고 정부도 이를 위해 제도적으로 노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최근 코스피가 4천 포인트를 넘어선 이유에 대해서는 "시장을 공정하고 투명하게 만들겠다는 것이 기본"이라며 "상법 개정 등 주주가치를 보장하는 노력이 국내외에서 일관되게 지지받았다"고 말했다.
이어 "더 중요한 것은 기업의 실적이 나아가는 좋은 국면에 들어갔고,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정상회의를 거치면서 불확실성이 상당히 해소된 것이 종합적으로 시장에 반영됐다"고 분석했다.
권 부위원장은 5천 포인트' 달성 가능성에 대해선 "당연히 가능하다"며 "힘차게 우상향하는 대한민국 주가지수가 될 것"이라고 답했다.
지난 7월 30일 출범한 주가조작근절합동대응단에 대해 한시적인 조직이란 지적에 대해서는 “주가조작이 사라질 때까지 대응단을 가동할 것이고, 좀 더 체계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할 것”이라며 "반드시 징역형을 살리고 경제적 이익을 박탈해야 자본시장이 깨끗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권 부위원장은 자본시장의 불공정고래를 조사하고 처벌 수위를 정하는 합의제 행정기관인 증권선물위원회 위원장이다.
슈퍼리치와 금융전문가들이 결탁해 1천억원 규모로 주가조작한 1호 사건에 대해서는 "부당이득의 2배인 최대 800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하고 5년간 증권계좌 개설과 상장사 임원이 되지 못하게 시장서 퇴출할 것"이라며 "원금 1천억원도 몰수하거나 추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 NH투자증권의 고위 임원이 미공개정보를 이용해 20억원대 부당이득을 챙긴 2호 사건과 관련해선 "검찰고발과 함께 부당이득의 최대 2배 과징금을 부과하고, 행정제재를 받으면 금융회사 직원도 될 수 없게 조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가족과 지인도 강제 조사를 통해 증거를 확보해 공범으로 처벌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