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메뉴

산업


몸값 7조원 거대 매물 ‘홈플러스’ 누가 인수할까? 업계 의견 '분분'

홈플러스 관계자 “매각 주관사조차 선정하지 않아 예측 이르다”

법정 관리를 받고 있는 홈플러스가 M&A 추진을 발표한 가운데, 어떤 기업이 인수자로 나설지 이목이 쏠린다. 기업 가치가 무려 7조원 대에 달하는 홈플러스를 인수할 기업이 선뜻 나올지에 대해 업계에서는 부정적인 시각이 지배하고 있다.

 

17일 홈플러스에 따르면 법원이 지정한 조사위원인 삼일회계법인이 지난 12일 홈플러스 강서구 본사에서 홈플러스 채권단을 대상으로 ‘조사보고서 설명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삼일회계법인은 홈플러스의 청산가치가 3조7,000억원으로, 계속기업가치 2조5,000억원보다 1조2,000억원 가량 높다는 내용의 조사 보고서를 법원에 제출했다.

 

보고서 발표에 따라 홈플러스는 사업 청산의 기로에 선 상황에서 새 주인을 찾기 위한 행보로 ‘회생계획안 인가 전 인수합병(M&A) 카드를 꺼내들었다.

 

법원이 홈플러스 채권자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M&A를 승인할 것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인 가운데, 업계 내에서는 쿠팡, 알리바바그룹, 네이버, 쿠팡, GS리테일 등 다양한 인수자 후보군을 제시한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 홈플러스 측은 “매각 주관사조차 선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어떤 기업이 관심있어 하는지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은 아직 이르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6월 홈플러스가 기업형 슈퍼마켓 부문인 ‘홈플러스 익스프레스’의 매각 주관사로 모건스탠리를 선정했다고 발표했을 때만 해도 쿠팡, GS리테일, 알리익스프레스 등 거대 유통기업들은 별다른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특히 알리익스프레스의 경우, 레이 장 대표이사가 직접 나서서 ‘홈플러스 인수전에 참여한 적 없다’고 강조한 만큼, 국내 유통업계는 홈플러스 인수와 관련해 몸을 사리는 반응을 내놓았던 것이 사실이다.

 

이와 관련해 홈플러스 대주주인 MBK파트너스는 몸값을 낮추기 위해 2조5,000억원 규모의

 

홈플러스 보통주 전량을 무상 소각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MBK파트너스가 경영권을 포함해 모든 권리를 내려놓고 새로운 매수자의 홈플러스 인수 지원을 위해 노력을 기울이겠다는 것이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회생계획안) 인가 전 M&A는 신주 발행이 원칙이기 때문에, 기존에 MBK파트너스가 갖고 있던 구주는 자연스럽게 소각해야 한다”며 “MBK파트너스가 보유한 모든 주식을 포기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홈플러스는 보도자료를 통해 “MBK 파트너스가 경영권을 포함해 모든 권리를 내려 놓겠다는 것”이라며 “새로운 매수자의 홈플러스 인수 지원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신간] 잠재적 콘텐츠 발굴로 지역 관광 살린다...주제여행포럼 '지역관광' 출간
주제여행포럼이 지역관광의 본질과 미래를 다룬 신간 『지역관광』을 ㈜백산출판사를 통해 출간했다. 이번 책은 지역의 문화·역사·자연·생활 자원을 기반으로 한 관광 콘텐츠의 의미를 짚어내며, 도시재생·문화뉴딜·생활 SOC 사업 등 정부 정책과 연계된 다양한 현장 사례를 담아냈다. 더 나아가 국내외 지역관광 정책, 지역관광 발전 사례, 관광자원 해석과 관광 거버넌스 등 현장과 학문을 아우르는 주요 주제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저자들은 지역관광을 단순히 관광객 유치의 수단으로 한정하기보다 주민 삶의 질 향상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견인하는 전략적 수단으로 바라볼 것을 제안한다. 특히 청주 연초제조창 재생이나 ‘대한민국 문화도시’ 조성계획과 같은 구체적 사례를 통해 지역 고유의 매력을 발굴하고, 이를 지속가능한 관광으로 발전시키는 방안을 모색했다. 대표 저자인 주성열 교수는 “지역관광은 전통을 지키는 동시에 사회적 소통과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며 “이번 책이 지역관광 정책 입안자와 학계, 현장 관계자들에게 실질적 길잡이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번 집필에는 관광학과 문화예술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했으며, 주제여행포럼이 그동안 진행해온 연구회·세미나 성과도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