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23일 목요일

메뉴

국내


권한 없는 韓 대행 오버에 국힘 “헌법재판관 지명, 높이 평가”

“마은혁 헌법재판관 임명, 매우 유감”
“민주, 권한대행의 용단 폄훼하지 말라”

 

국민의힘은 8일 “헌정 질서를 지키고자 헌법재판관을 지명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의 결단을 높이 평가한다”고 밝혔다.

 

서지영 국민의힘 원내대변인 논평은 이날 논평을 내고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의 헌법재판소 공백을 막기 위한 헌법재판관 임명과 지명은 아쉽지만, 어려운 결단이었다”면서도 “특히 마은혁 헌법재판관 임명은 매우 유감”이라고 했다.

 

서지영 대변인은 “마 재판관은 자유민주주의 체제 수호 의지를 의심받는 좌편향적 판사라는 국민적 불신을 감안할 때 ‘자진사퇴’ 했어야 마땅하다”며 “마 재판관에 대한 우려가 현실이 되는지, 전 국민이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서 대변인은 “한 권한대행의 헌법재판관 2인 지명은 헌재의 공백을 최소화하고, 민주당의 줄탄핵에 의한 국정 붕괴를 막기 위한 용단으로 높이 평가한다”면서 “이미 민주당은 국무위원 전원탄핵을 공언했고, 언제 어떻게 국정이 붕괴될지 모를 상황에서 헌재까지 마비돼선 안 된다는 고심 끝에 내린 결단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민주당은 대통령 권한대행까지 탄핵하며 특정 이념과 정치성향으로 점철된 마 재판관 임명을 압박하더니, 국정 붕괴와 헌정 마비 시도를 막기 위한 한 권한대행의 용단에 반성은커녕 또다시 ‘전가의 보도’마냥 ‘내란’프레임을 들이밀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이미 지난달 법사위에서 김정원 헌재 사무처장이 ‘권한대행은 재판관 임명권을 행사할 수 있다’고 했음에도 불구하고, 민주당은 권한대행에겐 재판관 지명권이 없다는 억지 주장을 펼치고 있다”며 “지금은 대통령 ‘궐위’ 상태로 더욱이 대통령 권한대행의 헌정 공백을 막기 위한 헌법재판관 지명은 당연한 권한 행사”라고 주장했다.

 

그는 “그럼에도 우원식 의장은 지명 철회와 인사청문회 요청 접수 거부를 밝혔다”며 “우 의장에겐 행정부의 권한을 통제할 어떠한 권한이 없으며, 이는 자신의 권한을 넘어선 정치적 몽니에 불과하다”고 읽갈했다.

 

서 대변인은 “우원식 국회의장과 민주당은 국정의 안정과 국민의 불안 해소를 위한 한 권한대행의 용단을 폄훼하지 말라”면서 “자신들인 벌인 ‘의회 독재’ 만행에 대한 최소한의 양심이 있다면 후임 헌법재판관들의 임명절차에 협조하기 바란다”고 촉구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섬 주민의 유일한 교통수단 여객선 "운항 중단 없어야"
섬 주민들의 유일한 교통수단인 여객선이 정비나 검사에 들어갈 경우 이를 대체할 예비선박이 없어 섬 주민들이 사실상 ‘고립’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서삼석 의원(더불어민주당, 영암·무안·신안)이 해양수산부로부터 제출받은 ‘여객선 항로 단절 현황’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부터 올해 9월까지 여객선 정비를 이유로 여수와 인천, 통영 등 8개의 지자체에서 총 33건의 여객선 운항 중단이 발생됐다. 이로 인한 누적 운항 중단 일수는 405일에 달했다. 여객선 본선이 정비나 검사에 들어가면 섬 주민의 이동권 보장을 위해 대체 여객선 투입이 필수적이나 현재는 여객선 운영 선사가 예비선을 의무적으로 투입해야 할 규정은 존재하지 않는다. 해양수산청은 운항 계약 시 업체에 “선박 대체 운항 책임”을 부과하고 있지만, 계약상 필수 조건에는 제외되어 있어 여객선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대체 여객선 투입은 전적으로 민간 선사의 ‘선의’ 에만 의존하는 실정이다. 특히 국가보조 항로의 경우에도 운항비용을 국가가 지원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민간 항로와 같은 상황이 반복되고 있다. 국가보조 항로 운영 선사들은 3년 단위 위탁계약 구조 탓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