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메뉴

금융


저축은행 작년 4천억대 손실...상호금융권 순이익 '반토막'

PF부실 여파로 2년연속 적자...연체율 8%대 9년만에 최고치
금융당국 "저축은행업권이 손실 충분히 흡수 가능하는 수준"

 

국내 저축은행 업계가 지난해 4,000억원에 가까운 순손실을 냈고,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여파로 연체율은 8%대 중반으로 치솟았다.

금융감독원이 21일 발표한 '2024년 저축은행 및 상호금융조합 영업실적(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79개 저축은행의 당기순손실은 총 3,974억원으로 집계됐다. 저축은행 업계는 2023년에도 5,758억원의 순손실을 낸 데 이어 작년까지 2년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연체율도 2015년 말(9.2%) 이후 최악의 수치를 냈다. 저축은행의 작년 말 기준 연체율은 8.52%로 전년 말(6.55%) 대비 1.97%포인트(p) 상승했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4.53%로 전년 말(5.01%) 대비 0.48%p 하락한 반면, 기업대출은 12.81%로 전년 말(8.02%) 대비 4.79%p 올랐다.

 

저축은행중앙회는 "부동산 경기회복 지연, 거래자 채무상환 능력 저하 등 부정적 영업환경이 지속되면서 부실채권 감축을 위한 자구책에도 연체율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금융당국은 저축은행업권이 손실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저축은행들의 자기자본비율은 15.02%로 전년말(14.35%) 대비 0.67%p 상승해 규제비율(7~8%)을 상회하고 있다.

 

상호금융조합 또한 작년 1조556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지만 이는 전년(2조382억원) 대비 반토막(-48.2%) 수준이다. 신용사업 부문(금융) 순이익이 전년보다 16.5% 감소했고, 경제사업부문은 적자 규모가 소폭 확대됐다.

 

농협의 경우 1조6,464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지만, 전년(2조357억원) 대비 19.1% 줄었고, 신협은 3,419억원의 순손실을 내며 적자 전환했고, 수협의 순손실은 2,725억원으로 적자 폭이 확대됐다.

 

상호금융권 작년 말 연체율 또한 4.54%로 전년 말(2.97%)보다 1.57%p 상승했다. 수협(6.74%), 신협(6.02%), 산림조합(5.68%), 농협(3.88%) 순으로 연체율이 높았다. 상호금융권 고정이하여신비율 또한 5.26%로 같은 기간 1.85%p 올랐다.

 

금감원은 "저축은행의 순이익은 적자 지속에도 소폭 개선된 반면, 상호금융조합의 순이익은 대손비용 증가 등으로 전년 대비 감소했다"고 평가하며, "올해에도 대내외 경제 불확실성 지속 등에 대비해 경·공매, 자율 매각 등 부실자산 정리를 통한 건전성 제고를 유도하고, 손실흡수능력을 지속 제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국민연금연구원, 소득하위 70% 기초연금 '원점 재검토'
정부가 노인 빈곤 완화를 위해 지급하는 기초연금의 수급자 선정 기준을 면밀히 점검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국민연금연구원은 기존 기초연금 선정기준 산출 모형을 정밀 분석하는 연구를 시작하기로 하면서, 제도 개편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데 주력할 예정이다. 4일 국민연금공단에 따르면, 연구원은 최근 열린 ‘2025년 연구용역심의위원회’에서 ‘기초연금 선정기준 기존 모형 분석’ 과제를 만장일치로 승인받았다. 이번 연구는 그동안 보건복지부가 담당해 온 기초연금 선정 기준 연구를 연구원이 이관받아 수행하는 것으로, 기존 산출 방식에 오류가 없는지 철저히 점검하고 향후 제도 개선에 활용하려는 취지다. 기초연금은 만 65세 이상 노인 중 소득과 재산이 일정 수준 이하인 이들에게 지급되는 사회보장제도로, ‘기초연금 선정기준액’은 이들의 소득인정액을 기준으로 정해진다. 소득인정액은 근로소득, 사업소득, 재산 등을 월 소득으로 환산한 금액이다. 현행법은 전체 65세 이상 노인의 소득 하위 70%가 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정부는 매년 소득과 재산 분포를 분석해 이 경계선을 금액으로 발표한다. 이번 연구에서 주목하는 ‘오류 가능성’은 소득과 재산 산정 방식,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