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메뉴

경제


올해 집값 뛴 서울 아파트... 내년 보유세 20∼30% 상승 전망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 지수 9월까지 평균 8.1% 상승
마·용·성 보유세 10%대 상승 전망…비수도권 아파트는 하락

 

내년 서울 강남권 아파트 보유세가 올해보다 20% 이상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가 공시값에 시세만 반영되도록 현실화율(시세 대비 공시가격 비율)을 동결했지만 올해 강남권 아파트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했기 때문이다. 

 

19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들어 9월까지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 지수가 8.1% 올랐다. 9월부터 지수가 하락하며 상승세가 꺾였지만 12월까지 하락한다 해도 아파트 공시가격이 지난해보다 올라 보유세는 높아질 수 있다.

이는 작년 시장 분위기와 비슷한 양상이다. 지난해에도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 지수는 9월까지 13.13% 올랐으나, 10월부터 감소하기 시작해 연말 누적 상승률이 10.02%로 줄어든 바 있다. 

 

우병탁 신한은행 부동산전문위원이 시뮬레이션한 결과에 따르면 서울 주요 단지 보유세는 최대 30%대까지 오를 것으로 전망됐다. 공시가격 추정치는 올해 9월 실거래 시세에 공동주택 공시가격 현실화율 69%, 공정시장가액비율 43∼45%를 적용해 산출했다.
 

올해 주택가격이 가장 가파르게 오른 곳인 서초구 반포의 아크로리버파크 전용면적 84㎡는 내년 보유세 추정치가 1407만9000원으로 추정됐다. 올해 납부 추정액(1160만8000원)보다 247만1000원(21.3%) 증가한 규모다. 공시값 추정치는 지난 9월 실거래 시세에 공동주택 공시값 현실화율 69%, 공정시장가액비율 43∼45%를 적용해 산출했다.

 

반포 래미안 퍼스티지 전용 84㎡는 내년 보유세가 1331만1000원으로 올해보다 372만3000원(38.8%) 오를 것으로 추산됐다.

 

송파구 잠실주공5단지 82㎡의 경우 올해 보유세 납부 추정액이 581만2000원인데, 내년은 728만5000원으로 147만3000원(25.3%) 늘고, 강남구 은마아파트 84㎡는 527만5000원에서 628만6000원으로 101만1000원(19.2%)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집값이 뛴 마포·용산·성동 아파트 소유자의 보유세 역시 10% 이상 오를 수 있다. 마포구 아현동 '마포래미안푸르지오' 전용 84㎡ 아파트를 보유한 1주택자는 내년 보유세 추정액이 275만2000원으로 올해 추정 납부액(239만4000원)보다 15%가량 오른다. 서대문구 북가좌동 'DMC래미안e편한세상' 전용 84㎡는 보유세가 올해 89만8000원에서 내년 102만8000원으로 13만원(14.5%)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단 올 연말까지 주택가격 변동에 따라 보유세 규모는 달라질 수 있다. 시세가 하락한 지방 중저가 아파트 단지의 경우 내년 보유세가 줄어들 것으로 예측된다. 지방 아파트 실거래가 지수는 올 들어 9월까지 0.4% 하락했다. 해당 기간  부산 아파트 실거래가지수가 0.9%, 대구 2.0%, 광주는 1.9% 하락했다.

 

작년과 달리 올해는 수도권 연립·다세대주택도 아파트 못지않게 가격이 올랐다. 이에 따라 내년 공시가격이 올해보다 상승하는 곳이 많을 것으로 관측된다. 

 

서울의 연립·다세대주택 실거래가지수는 작년 연간 0.41% 올랐으나 올해는 9월까지 누적으로 6.1% 상승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국민연금연구원, 소득하위 70% 기초연금 '원점 재검토'
정부가 노인 빈곤 완화를 위해 지급하는 기초연금의 수급자 선정 기준을 면밀히 점검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국민연금연구원은 기존 기초연금 선정기준 산출 모형을 정밀 분석하는 연구를 시작하기로 하면서, 제도 개편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데 주력할 예정이다. 4일 국민연금공단에 따르면, 연구원은 최근 열린 ‘2025년 연구용역심의위원회’에서 ‘기초연금 선정기준 기존 모형 분석’ 과제를 만장일치로 승인받았다. 이번 연구는 그동안 보건복지부가 담당해 온 기초연금 선정 기준 연구를 연구원이 이관받아 수행하는 것으로, 기존 산출 방식에 오류가 없는지 철저히 점검하고 향후 제도 개선에 활용하려는 취지다. 기초연금은 만 65세 이상 노인 중 소득과 재산이 일정 수준 이하인 이들에게 지급되는 사회보장제도로, ‘기초연금 선정기준액’은 이들의 소득인정액을 기준으로 정해진다. 소득인정액은 근로소득, 사업소득, 재산 등을 월 소득으로 환산한 금액이다. 현행법은 전체 65세 이상 노인의 소득 하위 70%가 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정부는 매년 소득과 재산 분포를 분석해 이 경계선을 금액으로 발표한다. 이번 연구에서 주목하는 ‘오류 가능성’은 소득과 재산 산정 방식,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