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메뉴

산업


바베큐용 소시지, 포화지방·나트륨 함량 높아 섭취량 조절 필요

한국소비자원, 바베큐용 소시지 14개 제품
안전성 시험, 제품 표시실태 및 가격 등 조사

 

캠핑바베큐용 소시지는 야외에서 숯불에 구워 먹기 좋게 제조·포장된 식품으로, 캠핑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국내 판매액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이 캠핑바베큐용 소시지 14개 제품의 영양성분, 안전성을 시험하고 제품 표시실태 및 가격 등을 조사했다고 14일 밝혔다.

 

조사 결과, 대부분의 제품이 포화지방과 나트륨 함량이 높아 과다섭취하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으며, 이물과 미생물, 식품첨가물 등의 안전성은 모두 기준에 적합했으나 일부 제품은 영양성분 표시 등에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포화지방과 나트륨 함량 높아, 섭취량 조절해야

 

조사대상 소시지 100g당 포화지방과 나트륨 함량은 1일 영양성분 기준치의 30%~63%로, 소시지를 반찬이나 간식으로 먹을 때 과잉 섭취하게 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했다.

 

소시지 100g 기준 포화지방은 5.8g~9.5g(1일 영양성분 기준치의 39%~63%)이 함유되어 있어, 프랑크 소시지 1개만으로 1일 영양성분 기준치의 절반가량인 46%(평균 6.9g)를 섭취하게 된다.

 

롯데 에센뽀득 슈퍼빅(롯데웰푸드㈜)의 포화지방 함량이 9.5g으로 가장 많았고, 육공육 더블에이징 후랑크(씨제이제일제당㈜)가 5.8g으로 가장 적었다. 또한, 소시지 100g의 나트륨 함량은 602㎎~929㎎으로, 프랑크 소시지 1개의 나트륨은 1일 영양성분 기준치(2,000㎎)의 32%로 확인됐다. 

 

존쿡델리미트 이탈리안 소시지(에쓰푸드㈜, 프랑크 소시지)의 나트륨 함량이 929㎎으로 가장 많았고, 육공육 더블에이징 킬바사(씨제이제일제당㈜, 킬바사 소시지)가 602㎎으로 가장 적었다.

 

● 일부 제품,  영양성분 및 소비자 주의문구 표시개선 필요

 

조사대상 14개 중 3개 제품이 중량 및 영양성분 표시치와 실제 함량에 차이가 있어 품질관리 및 표시개선이 필요했다.  3개 제품에는 ▲롯데 에센뽀득 슈퍼빅 ▲존쿡델리미트 이탈리안 소시지 ▲사조 캠프&하우스 킬바사가 포함됐다. 

 

또한, 일부 제품은 전자레인지 조리 시 포장재 제거를 안내하는 정보가 없어 소비자의 안전한 제품 조리를 위해 해당 문구의 표시를 자율 개선하도록 권고했다.

 

안전성 시험결과, 모든 제품에서 보존료 5종 및 아질산이온, 이물 및 대장균군, 병원성 미생물 4종은 검출되지 않았다. 

 

한국소비자원은 "캠핑바베큐 시 고기와 함께 소시지, 라면 등의 음식을 먹으면 한 끼로 포화지방과 나트륨 섭취량이 1일 영양성분 기준치를 초과할 수 있어, 함께 먹는 음식의 영양성분 함량을 고려하여 섭취량을 조절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국민연금연구원, 소득하위 70% 기초연금 '원점 재검토'
정부가 노인 빈곤 완화를 위해 지급하는 기초연금의 수급자 선정 기준을 면밀히 점검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국민연금연구원은 기존 기초연금 선정기준 산출 모형을 정밀 분석하는 연구를 시작하기로 하면서, 제도 개편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데 주력할 예정이다. 4일 국민연금공단에 따르면, 연구원은 최근 열린 ‘2025년 연구용역심의위원회’에서 ‘기초연금 선정기준 기존 모형 분석’ 과제를 만장일치로 승인받았다. 이번 연구는 그동안 보건복지부가 담당해 온 기초연금 선정 기준 연구를 연구원이 이관받아 수행하는 것으로, 기존 산출 방식에 오류가 없는지 철저히 점검하고 향후 제도 개선에 활용하려는 취지다. 기초연금은 만 65세 이상 노인 중 소득과 재산이 일정 수준 이하인 이들에게 지급되는 사회보장제도로, ‘기초연금 선정기준액’은 이들의 소득인정액을 기준으로 정해진다. 소득인정액은 근로소득, 사업소득, 재산 등을 월 소득으로 환산한 금액이다. 현행법은 전체 65세 이상 노인의 소득 하위 70%가 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정부는 매년 소득과 재산 분포를 분석해 이 경계선을 금액으로 발표한다. 이번 연구에서 주목하는 ‘오류 가능성’은 소득과 재산 산정 방식,

배너